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8/13 01:35:22
Name 김태엽
Subject 라이벌, 그리고 태동.
오늘 하루종일 시청했던 스타리그 데이의 대미는 코크배 결승전 5경기.
통칭 '임진록'의 서막을 알렸던 그 경기의 첫번째 진검승부가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에도 생방송으로 시청했던 경기고, 그 후에도 VOD로 몇번인가 시청했던
경기인지라, 큰 감흥은 없을거라고 생각했었지만, 막상 시청하면서의 느낌이 너무나도
다르게 다가오는군요.

임요환이라고 하는 선수가 원래 한빛소프트배 OSL이전부터 이미 매니아층에게는
알려져있던 선수였지만. 그 선수가 매니아를 떠나 대중으로 내려오게 된 최초의 계기가
한빛배였다면. 그가 영웅으로 발돋움하는 시기가 바로 코크배였다고 단언 할 수 있습니다.

당시 1.07이라고 하는 낭만의 시대, 지금 되돌아보면 지금처럼 빡빡하고 한치의 실수도
용납이 되지 않는 진화의 끝을 달리고있는 스타리그가 아닌. 개인개인의 스타일이 뚜렸
하고, 또한 어느정도는 지금보다 여유라는게 존재했던 그 낭만의 시대를 지나서.

물량과 빌드오더로 대변되는 현 1.08이후의 시대로 넘어오는 기점이 되는. 즉 한 시대의
종언을 알리는 나팔소리가 울렸던 대회가 바로 이 코크배였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처음에 임요환, 홍진호라는 두 선수가 이정도로 E-Sports의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을거라는 생각은 그당시 우리는 할 수 없었습니다.

스타계가 낳은 최초의 대중적 스타는 쌈장 이기석이지만. 스타를 E-Sports의 단계로 올린
주역의 역할을 했던 선수들은 단언코 임요환, 홍진호 둘입니다. 임요환은 화려한 황제의
모습으로. 홍진호는 그의 유일한 라이벌이라는 존재로.

라이벌이라는 존재는 서로 상대를 자극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존재들이고, 결국
서로를 자극하며 좋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존재일터. 두 선수는 진실로 라이벌이며. 그들의
경기는 결국 E-Sports판을 이정도까지 키워 올린 주역이라고 할 수 있을것입니다.

또한 우리가 임진록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앞으로 그다지 많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
E-Sports의 발전을 이끌었던 한축이 빠져나가게 될 작금의 상황에서.

우리는 또 다른 진정한 라이벌을 찾아 낼 수 있을까요?
또한, 그들이 만들어 나갈 새로운 시대를 우리는 어떠한 마음으로 기다리게 될까요.

한 시대를 만들었던 남자들의 경기를 한동안 우리는 볼 수 없을겁니다.
그러나, 두명의 라이벌이 우리에게 선물한 최고의 경기들은 남아있을겁니다.

고맙습니다. 황제, 그리고 폭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동저그
06/08/13 01:41
수정 아이콘
저도 오늘 마지막 경기를 보며 그 생각을 했습니다. 테란의 황제 임요환과 폭풍저그 홍진호(무관의 제왕ㅠㅠ) 두 선수가 있기에 이스포츠가 여기까지 온 것이겠죠^^
사다드
06/08/13 08:35
수정 아이콘
저그전 최강이라고 불리웠던 임요환 선수의 라이벌이 저그였습니다.
홍진호 선수 정말 화려하고 멋진 플레이였네요.
임진록....두 선수가 다시 멋지게 붙는 그날을 기다리며..
폭풍, 황제 화이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5024 프링글스 MSL Season 2..!! [36] Skyscraper4521 06/08/17 4521 0
25023 변은종 화이팅!!!! [13] 케이건4434 06/08/17 4434 0
25021 제가 개인적으로 꼽는 16강 최대매치 강민 VS 임요환! [32] SKY925245 06/08/17 5245 0
25017 프링글스 MSL SEASON2 조지명식결과 및 선수들 인터뷰정리 [66] 아리온12483 06/08/17 12483 0
25016 프링글스 MSL 조지명식!! [524] anistar9298 06/08/17 9298 0
25014 차기 OSL 테마의 중요성. [7] K.DD4358 06/08/17 4358 0
25012 온게임넷.. 우승자징크스.. 실험적인 맵들.. [24] jjune5119 06/08/17 5119 0
25007 2006 Starcraft 2nd Season 소식 - Prologue [4] 명랑4658 06/08/17 4658 0
25006 24강에 대한 변-어차피 바꿀 수도 없다 [28] pioren4747 06/08/17 4747 0
25004 온게임넷에서 진행하는 코오롱 하나은행 한국오픈 팡야리그 [16] hoho9na4061 06/08/17 4061 0
25003 [고민] 온게임넷 24강 체제가 과연 시청자들을 배려하고 있는가? [37] 불나비4664 06/08/17 4664 0
25000 사춘기의 추억.. 여드름 [20] 서형선4352 06/08/17 4352 0
24999 맵들에 대한 추억, 그리고 그 미래 [10] 쿠엘세라4979 06/08/17 4979 0
24998 나다와 페니- 나다의 조지명식을 기대하며 [18] 어둠의오랑캐4177 06/08/17 4177 0
24997 어떤 선수라고 생각 하세요..? [18] 에프마린4182 06/08/17 4182 0
24996 답이 없는 소모적 논쟁들. [6] 불꽃4364 06/08/17 4364 0
24994 안타깝습니다...게임큐게시판.. 나모모게시판.. [13] kips75819 06/08/17 5819 0
24993 과연 어떤선수가 폭동을 일으킬것인지 (신한 OSL 시즌2 조지명식 예상) [29] 초보랜덤5461 06/08/16 5461 0
24992 결국은 자폭을 .... [15] soo5157 06/08/16 5157 0
24990 오늘 대만전 개인적인 분석글 [93] 난앓아요4774 06/08/16 4774 0
24989 내일있을 2006 Pringles MBC 게임 스타리그 2nd Season 조지명식 관전포인트 [28] SKY924905 06/08/16 4905 0
24988 현재 스카이 프로리그 올스타전투표가 진행중입니다.. [53] 어리버리태지4868 06/08/16 4868 0
24987 LG TWINS 작년 5.26대첩 그대로 갚아줍니다. [31] 초보랜덤4430 06/08/16 443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