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8/11 03:12:48
Name Go_TheMarine
Subject 너무 잘하네요.... 허허허

요즘 스타리그가 비시즌이라 그래서 그런지 매우 심심해서 예전 vod들을 보고 있습니다..

가장 제 기억에 남는 대회는 01스카이배와 03올림푸스배인데

지금 막 01스카이 8강전 1경기 박정석선수와 김정민 해설의 경기를 다시 봤습니다..

코크배 16강 탈락이후 절치부심한 김정민 해설위원, 재차 도전하여 최대고비라던 16강을 통과하면서 슬슬 시동을 겁니다.

맵은 인큐버스에서 박정석선수 1시 김정민 해설 5시..

박정석은 옵드라체제(사업을 먼저 돌리긴 하더군요.), 김정민해설은 2팩후 멀티.

박정석선수는 김정민해설이 멀티하는 걸 확인후 바로 트리플 넥서스, 그리고 김정민해설은 멀티후 탱크를 모아가며 타이밍러쉬...

이 타이밍러쉬에 센터를 내준 프로토스는 조이기를 풀려고 시도하지만 김정민해설의 단단함을 극복하지 못하고 깔끔하게 gg...

5년전의 프토 대 테란의 경기치고 괜찮은 경기입니다. 그냥 프토가 스르륵 밀렸다고나 할까..

김정민해설의 물량도 엄청났고(당시기준으로) 자리도 잘 잡고 맵도 테란이 할만한 맵이었고 그냥 원사이드하게 밀어버리네요..

역시 김정민해설의 메카닉은 최고입니다. 후후

마지막에 엄재경씨의 말이 잊혀지질 않네요.

"너무 잘하네요..허허허"

언젠가는 그의 경기를 다시 볼 수 있을거라 확신합니다.

수많은 테란의 스승의 경기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주영민
06/08/11 04:40
수정 아이콘
네..언젠간 복귀해야죠. 안그럼 슬퍼할사람이..;;
06/08/11 05:41
수정 아이콘
김정민 선수..한때 바이오닉하면 임요환 메카닉하면 김정민이라는 시절도 있었지만...모 대학 축제 때 아마추어 프로토스에게 속칭 '관광' 을 당했다는 얘기를 듣고 격세지감을 느꼈습니다.
06/08/11 06:41
수정 아이콘
김정민 선수는 이상하게 이벤트때 관광을 자주 당하시죠..(관광이 아니라도 패배..다른선수는 일반유저에게 잘안당하죠^^; ) 그건 그렇고 요즘 이사 와서 tv케이블이 안 이어져 vod를 찾아보고있는데 김정민선수 경기를 보면 "이선수 왜 우승 못했지??!??"
라는 생각이 듭니다.당시 기준 말도안되는 기본기 물량 센스를 보여주는데...물론 요환선수의 전략,센스,감동은 엄청납니다만 ^^;
대체 왜 !!! 라고 소리 지르고싶을정도죠.
아저스터 붐인
06/08/11 09:54
수정 아이콘
정말 테란의 교과서라는 닉넴답게 정말 지금을 비롯해서 수많은 테란들의 기본모토가 되었다고 해도 한치의 보탬이 없는 최고의 테란이였죠. 다만 온겜,엠겜 대회에서 우승한번만 했어도..
그 01스카이 임요환 선수와 4강까지 간 경기가 맞지요? 진짜 거기서 만약 임요환 선수를 꺾고(실제로 꺾을줄 알았음(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임요환을 꺾을수 있는 게이머는 저그는 없고;; 프로토스는 최인규 선수,테란은 김정민 선수뿐이라고 생각했기에..)결승에 올라가 김동수 선수를 상대로 16강 리벤지를 하며 화려하게 우승할꺼라 기대하고 있었지요.
그리고 예전 이윤열 선수 첨 나왔을때 했던 말이 떠오르네요. '김정민 선수 비오디보며 많이 연습했어요'하구요.
김혜미
06/08/11 12:27
수정 아이콘
복귀하는일이 있을것같진않지만.. 김정민해설 저도 참 좋아하지요..
anti-terran
06/08/11 13:47
수정 아이콘
바이오닉은 임요환. 김정민 선수는 바이오 메카닉 모두 능한 선수였습니다. 양쪽 모두 교과서로 손색이 없는 선수였고, 메카닉하면 김대건이었죠.
Den_Zang
06/08/11 17:27
수정 아이콘
로템에서 이재훈 선수랑 했던 경기를 방송에서 해주던데 참 단단하더라는 ;;
06/08/12 03:12
수정 아이콘
바이오닉은 임요환, 메카닉은 김대건.. 그럼 김정민은..?
김대건 선수의 메카닉은 벌쳐의 기동성을 최우선으로 하지만, 김정민해설은 '느림의 미학', 그 속에서 나오는 단단함을 보여주었죠.

참고로, 김정민 해설이 바이오닉보다 메카닉에 뛰어나다는 얘기도 있지만, 딱히 바이오닉에 서툴렀다기 보다는, 당시 테란들의 대저그 스타일이 비슷했습니다.
특히, 유병준-정유석-김정민 해설등이 그러했지만,
초반 견제보다는 본진자원만으로 마메+탱크+베슬 다 갖추고나서 중앙힘싸움, 그 교전에서 승리하면 후속병력 가세하면서 온맵을 다 쓸고다니죠. 이런 스타일에 투팩을 추가해서 중앙힘싸움에 주력한 것이 이윤열, 거의 원형 그대로를 선보인 게 서지훈 선수라고 생각하는데.. 당시 기준으로요.
아무튼 그때의 테란의 대저그전 스타일이나 컨트롤, 운영능력은 다 고만고만했다고 봐야죠.
다른 스타일을 선보인 선수라면, 첫 손에 꼽는 것이 드랍쉽과 소수병력 컨트롤로 저그를 제압한 임요환 선수이고, 개인적으로 김동준 해설 스타일도 특이했습니다. 임요환이 드랍쉽에 태웠을만한 소수병력으로 김동준 해설은 중앙힘싸움을 했죠..-_-;; 그 소수병력으로.. 정말 병력생산되면 설사 마린1기라 하더라도 전투를 했으니.. 지금 생각해도 엄청 공격적이고 또 엄청 특이한거죠.

김정민 해설의 은퇴에는 정말.. 아쉬움이 짙게 남지만, 해설로 선수시절 못지않은 활약을 하고있으니, 비록 그런 트로피는 없겠지만, 해설로 우승? 했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혹시 이중에 김정민 해설 카페관련분이 계시다면, 올 연말에 '해설우승 김정민'이라는 로고가 찍힌 트로피라도..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992 결국은 자폭을 .... [15] soo5157 06/08/16 5157 0
24990 오늘 대만전 개인적인 분석글 [93] 난앓아요4774 06/08/16 4774 0
24989 내일있을 2006 Pringles MBC 게임 스타리그 2nd Season 조지명식 관전포인트 [28] SKY924906 06/08/16 4906 0
24988 현재 스카이 프로리그 올스타전투표가 진행중입니다.. [53] 어리버리태지4869 06/08/16 4869 0
24987 LG TWINS 작년 5.26대첩 그대로 갚아줍니다. [31] 초보랜덤4431 06/08/16 4431 0
24985 아이구...우리 소년씨....조금 천천히 해도 좋아요.. [10] My name is J4006 06/08/16 4006 0
24984 815를 돌아보며.. [11] Marionette4216 06/08/16 4216 0
24983 괴물의 흥행에 대해서... [59] 다주거써5010 06/08/16 5010 0
24981 인생의 활력소 실수 ? [3] 최고를 향해서4111 06/08/16 4111 0
24980 아이스테이션 듀얼 I조!! 메가스튜디오여........ 안녕히...... [341] SKY926874 06/08/16 6874 0
24979 [mbc game 초,중,고 스타크래프트 대회] 2차 스쿨리그입니다. [7] 김현덕4036 06/08/16 4036 0
24978 [PHOTO]잠실체육관에서 목격한 괴물 [18] 오렌지포인트5567 06/08/16 5567 0
24977 (게임이야기)Homeworld-한편의 대서사시 [7] 그를믿습니다4323 06/08/16 4323 0
24974 KTF 차기 감독은 김철감독! [67] SKY929950 06/08/16 9950 0
24973 메탈리카 내한공연 후기 ~전성기때로 컴백!~ [35] 리콜한방5633 06/08/16 5633 0
24972 [영화이야기]구타유발자들..스포주의 [17] [NC]...TesTER7645 06/08/16 7645 0
24971 [공지] PgR 게시판 사용 시 브라우저 오류 발생 관련 요청 ...! [17] 메딕아빠4621 06/08/16 4621 0
24970 내가 보는 사실이 사실이 아닐수 있다는것... [71] 아브락사스6162 06/08/16 6162 0
24969 수험생 여러분들에게~ [9] Prison!!!4048 06/08/16 4048 0
24967 올해 팀관련 기사... [53] 골든마우스!!7664 06/08/15 7664 0
24965 [잡담] 착한 영화 이야기 : 플라이대디(fly daddy) [17] My name is J4877 06/08/15 4877 0
24964 [연재]Daydreamer - 11. 신의 아들 [5] kama6018 06/08/15 6018 0
24963 칠보시(七步詩) [49] 럭키잭5276 06/08/15 52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