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2/27 01:04:19
Name 이슬쏘주
Subject 스타크래프트, 그 이후는?
안녕하세요.
피지알에 올리는 첫 글이로군요. (후...떨립니다~)
정말 다들 필력들이 대단하셔서...저기 저 write버튼을 누르는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제가 참여하고 있는 동아리에서...
그러니까 사실 동아리는 아닙니다.^^;;; 단과대학 신문사거든요.
이번에 e스포츠를 주제로 기사를 쓰게 되었습니다.
많이 아는 것은 없지만 그래도 남들 앞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취미이자
열광하고 있는 것이라고 자부할 수 있는 것이기에 모자라는 글실력을 다듬고
또 다듬어 멋지게(?) 써볼까 합니다.

기사의 내용 일부분에서 e스포츠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대안들을 써내려가고
있는데요. 현재 e스포츠계에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시피 한 스타가 사라진
e스포츠계는 어떻게 될것인가...과연 '포스트 스타크'가 될만한 게임은 탄생할수
있을것인가...에 대한 생각을 깊이 하게 되네요.

사실 전 새로운 맵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지속적인 패치가 이루어진다면
향후 몇 년간은 끄떡없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사가 저나 피지알에
방문하는 게임팬들처럼 스타에 대한 지식이 있는 사람들만이 읽는게 아니겠더라구요.
게임을 즐기지 않는 일반인들이 생각해 본다면 '스타, 대체 똑같은걸 언제까지 하는거야?'
싶을꺼 같기도 하구요.^^;;;

뭐 정말 교과서적이고 정석(!!!)적인 대안이라면 가능성 있는 국산게임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참여와 지원을 늘리자...(이정도로 밖에 생각이 나질 않는군요;;) 정말
지극히 정석(!!!)적인 발상이 아닐수 없네요.

스타가 사라진 뒤의 e스포츠계는 어떻게 될까요? 지금처럼의 열광이 남아있을수 있을지..
조심스러운 생각을 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2/27 01:06
수정 아이콘
힘들 듯 합니다. 스타는 시너지효과도 컸을 뿐 아니라,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즐겼기 때문에 방송이 성공한 것이지요. 그 정도로 많이 팔리지 않는 한 힘들 겁니다
六道熱火
04/02/27 01:21
수정 아이콘
포스트 스타크래프트라면... 워크래프트 3라고 생각합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제외한 다른 게임과 비교해 볼때 국내에서도 상당한 유저층을 확보하고 있고 XP같은 관련 커뮤니티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편입니다. 또한 외국에서도 많은 워크래프트 프로게임단이나 클랜 운영이 되는 것을 보면 국제적인 관점에서 볼때는 오히려 워크래프트가 스타크래프트보다 더 큰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ESWC나 WWI 같은 국제대회에서 외국 선수들의 성적은 워크래프트 3는 외국에서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봅니다.)
스타크래프트를 줄이라는 것은 아닙니다만... 워크래프트 3의 비중을 높여 나가는 것 또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볼 때 권장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04/02/27 01:25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도 발매후 몇년이 지난후에야 방송에서 경기가 중계되기 시작했고, 지금처럼 게임리그에 팬층이 두터워지기 시작한것도 몇년이 지나서였죠. 만약에 스타리그가 인기가 사그러들고, 그다음에 다른 게임이 그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서는, 스타리그 자체의 인기가 사그러들기 전에 또 다른 포스트 스타크래프트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단은
팬층이 형성될만한 게임관람 자체의 재미를 가진 게임의 필요성과 그리고 그러한 게임리그를 이끌어줄 선수층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서창희
04/02/27 01:30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가 적어도 워크의 반만큼이라도 스타를 위해서 꾸준히 패치를 비롯한 배틀넷 관리, 래더 시스템의 체계적 도입 뭐 이런 것 등을 위해 힘썼다면 아마 지금의 스타크래프트와는 또다른 모습일 것이라 생각되네요.
나이트클럽
04/02/27 01:34
수정 아이콘
차후 대 기업에서 스타를 사서 베틀넷등 사후 질서 정비만이라도 했으면 좋겠네요. 아 그리고 온게임넷 대만 수출이 기성 세대에 대해서 어는 정도 일정한 반응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448 오늘 지하철을 타고 오면서.. [30] 유키2931 04/02/27 2931 0
2442 바둑계에 대한 잡담 [19] 공공의마사지3011 04/02/27 3011 0
2440 [가입인사]임요환을 좋아하는 한 팬의 단상.... [39] 지나가다말다4691 04/02/27 4691 0
2438 [잡담] 축구이야기^^ [20] 기억의 습작...3818 04/02/27 3818 0
2437 스타크래프트는 단지 스타크래프트일뿐이다. [16] CJ_Nuke2812 04/02/27 2812 0
2436 [잡담] 군대에 관해서. [99] i_random3794 04/02/27 3794 0
2435 스타 ... 후아유 ... 강민 ... 프로토스 [15] 섹쉬한 뇌4924 04/02/27 4924 0
2434 Yellow's speech... [22] 그린피스3818 04/02/27 3818 0
2433 [잡담] 규동 [13] Eternity3413 04/02/27 3413 0
2432 스타크래프트, 그 이후는? [5] 이슬쏘주2860 04/02/27 2860 0
2431 너무나 재밌었던 엠겜 패자조 4강 이모저모 [7] 선없는세상을4355 04/02/27 4355 0
2430 [잡담]리플레이의 기능변화...?? [8] 저그맨2889 04/02/27 2889 0
2428 [잡담] 음악 이야기... [9] 볼드모트2972 04/02/26 2972 0
2427 [축하]멋지다 강민! [27] 꿈은살아있다5035 04/02/26 5035 0
2426 [잡담] 연방군보다는 지온군.. [21] bloOdmOon2861 04/02/26 2861 0
2425 임요환선수가 트래커 베이직(마우스)을 쓴동안의 전적.. [15] 약골테란;;6519 04/02/26 6519 0
2424 스타크래프트 정규리그 도입을 위한 제언 [14] CJ_Nuke3451 04/02/26 3451 0
2423 오늘 엠게임 패자조4강에 대한 이야기가없어 한자적어봅니다. [35] 용잡이5642 04/02/26 5642 0
2422 스타 이제는 바꿔야 하지 않을까? [42] 데오늬 달비5599 04/02/26 5599 0
2421 [가상] 세 문파[임,진,수]의 좌담회 [2화] [전 태규 선수] [17] 秀SOO수4642 04/02/26 4642 0
2420 승리의 조건 - OSL 4강을 바라보는 나만의 예상 [14] lovehis4556 04/02/26 4556 0
2419 온게임넷 스타리그 12번째 결승전... [30] 스타매니아3980 04/02/26 3980 0
2418 강민對변은종 관전 포인트, 명승부의 조건 [43] 총알이 모자라.5175 04/02/26 517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