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5/15 23:34:47
Name 주인공
Subject 버로우의 재발견
오늘 박성준 vs 한승엽의 경기를 보면서 다시 한번 느낀것이,
왜 저그 게이머들은 버로우를 개발하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
오늘같이 베슬이 많이 쌓인 상황에서 유닛에 이레디가 걸리면
일점사 하기보다는 그 한마리를 찍어 버로우 해 버리는게 훨씬
쉬울텐데 말이죠. 더군다나 만약 전투중에 히드라에 이레디가 걸리면
싸우기 바쁜데 적을 공격해야할 히드라들이 동료를 일점사 할 수도 없고
하니 버로우만 개발해 놓으면 이레디 걸린놈만 샥 버로우 해버리면
주변 유닛에 아무 피해도 없고 아주 좋은데 말이죠.
더군다나 베슬로 지우개를 하려할 때 드론을 버로우 시켜 버리면
진짜 베슬은 멀뚱멀뚱 테란의 뒤통수를 한대 때리는 듯한 쾌감이 듭니다.
그래서 저는 테란이랑 할때 상대가 베슬이 좀 있다 싶으면 항상 버로우
개발 합니다. 자원도 미네랄, 가스 100 씩 밖에 안 들고, 개발속도도 빠르고,
해처리에서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이브나 드랍업 개발에 지장을 주는 것도 아니고요.
이렇게 버로우는 아주 유용합니다. 멀티하러 간 드론이 숨어있기에도 좋고요.
물론 프로게이머들의 심오한 세계에서는 그 미네랄 가스 100 씩이 아까울 수도 있겠지만,
팍팍 죽어나가는 히드라나 드론들을 볼 때는 그다지 아까운 거 같지는 않습니다만..
나름 좋은 의견같아 전략 게시판에 한번 올려보려다 글이 짧은 것 같아 그냥 여기다 남깁니다.
여러분들의 의견은 어떠신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5/15 23:36
수정 아이콘
원래 후반 넘어가면 버로우 개발은 기본인걸로;;;
(아님 말구요 우훼훼)
그래도 확실히 실용성은 있는듯 해보이더군요.
리비트
06/05/15 23:36
수정 아이콘
버러우해도 베슬에게 이레디에잇이 걸린상태에서 지우개가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아닌가요;;
06/05/15 23:38
수정 아이콘
예, 아닙니다. 버러우 드론은 이레디 지우개가 안 걸려요. 옵저버 없으면 스캐럽도 안 맞고요. 마재윤 선수는 종반 가면 거진 개발하는 것으로 보이더군요.
06/05/15 23:38
수정 아이콘
버로우의 경우 마재윤 선수가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주 흥미로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드론이나 히드라 버로우로 위기의 상황을 자주 타개해 나가는
것을 주로 봐왔던 저로써는 상당히 흥미롭다 생각하고 있는 기술입니다.
VoiceOfAid
06/05/15 23:38
수정 아이콘
좋은 생각같은데요. 전투중엔 확실히 쓸모가 있을듯.
06/05/15 23:38
수정 아이콘
박성준 선수가 플토한테는 간혹 쓰더군요. 버로우했다가 셔틀 지나갈때 한번에 요격... 다른 저그 유저들도 쓰지만...
(2004 프로리그 3라운드 vs박상익, 2005 프로리그 전기리그 vs송병구)
주인공
06/05/15 23:39
수정 아이콘
jyl9kr// 그런데 오늘 박성준 선수는 개발하지 않은거 같던데요.
비단 박성준 선수만이 아니라 개발하는걸 별로 못 본거 같습니다.
리비트// 버로우 하면 지우개에 안 먹힙니다.^^
일반회원
06/05/15 23:40
수정 아이콘
메딕 리스토레이션도 정말 좋은것같아요. 장기전에..
디파일러가 플레그뿌리면 메딕으로 리스토레이션 샤샤샤~~
해주면..괜찮던데요~
06/05/15 23:41
수정 아이콘
유용한 스킬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전투중에 이레디걸린 유닛 버로우시켰다가 부대지정된 유닛이 엉킬 것 같은 우려는 있네요.
예전에 홍진호 선수와 프로토스게이머(박정석 선수인지 이재훈선수인지 기억이 안 나네요)의 경기에서 토스가 러시올 때 홍진호 선수가 버로우 잘못 해서 히드라 한 부대가 버로우 되는 바람에 전투에서 밀리고 졌던 경기가 기억이 나네요.
06/05/15 23:42
수정 아이콘
버로우 개발은 자칫 전투가 치열하게 되면 미쳐 신경쓰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주인공님 말씀처럼 전투 후반에 가면 쓸만한 경우가 많으니 조금이라도 여유가 있으면 개발해 두는 것이 낫겠지요.
VoiceOfAid
06/05/15 23:43
수정 아이콘
아~ 근데 버로우중에 공격당하면 버로우 풀고 나와버리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그래서 공격당하는 도중에 버로우하면 소용이 없을것 같은데요. -_- 아닌가?
주인공
06/05/15 23:44
수정 아이콘
강량//아하 이게 부대지정이 꼬일 수도 있겠군요 확실히..
러커도 버로우 시켜노면 어택땅 안 눌러져서 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거든요 제가 ㅠ.ㅠ
하지만 그런거는 프로게이머라면 연습을 통해서 극복이 가능한거 같습니다.
아 그리고 위에 지적해 주신 분 처럼 리버나 다크가 떨어졌을 때도 아주 좋습니다.
프로토스가 드랍을 할 때 옵져버를 동반하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리버 다크 들어왔을 때 바로 숨어버리면 일꾼은 지킬수 있습니다.
물론 대신 건물이 떨어져 나가긴 하지만,, 그래도 드론은 일단 살리고 봐야죠ㅡㅡ
06/05/15 23:47
수정 아이콘
메딕 리스토레이션. 마린 다수한테 걸렸을땐 손이 너무 가지만, 베슬한테는 리스토레이션 해주는게 좋아보이더군요.
완전소중류크
06/05/15 23:47
수정 아이콘
테란이 지우개를 할때 드론을 버로우하는 건 아주 좋은 방법인거 같고요
히드라나 그런 유닛에 이레디가 걸렸을때 일일이 버로우 하는건 왠지 번거로울거 같군요...
그냥 다블클릭해서 죽이는게 최곤듯...
이레디 걸린걸 유저가 알 경우에는 버로우나 킬이나 별로 다르지 않을것 같네요...
06/05/15 23:48
수정 아이콘
우주배 결승전 1경기였던가...그리고 최근 프링글스 B조 1경기...
버로우 히드라의 활용으로 인한 센스있는 플레이.
마재윤 선수의 플레이에 더 기대를 하게 하는 이유는
이것 말고도 다른 것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Electromagnetics
06/05/15 23:49
수정 아이콘
러커 저글링 히드라 드래그해서 버로우하면 대략 초난감..

버로우를 저글링이라고 쓴 오타수정.
Pusan[S.G]짱
06/05/15 23:52
수정 아이콘
레스토레이션으로 베슬 플레이그 걸렸을때 바로 치료하면 좋을듯
06/05/15 23:56
수정 아이콘
전투시의 버로우는 약간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확실한 것은 아닌데, 딜레이라고 해야 할지 텀이라고 해야 할지 버로우 후 일어나서 공격하는데 아주 작은 틈이 생기는 것 같더군요. 하지만 저그 유닛의 특성상 그 틈은 전멸의 빌미가 됩니다. 전투시에는 오히려 나쁜 스킬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버로우 하면 시야가 조금 줄어들지 않나요?. 물론 다수일때는 상관이 없습니다만..견제를 위해서 버로우 플레이를 개발해놓는 것은 좋지만 중앙 힘싸움이 끊임없이 벌어질때는 오히려 독이 되는 것 같습니다.
드론의 버로우는 순간적인 자원채취의 중단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장기적으로는 도움이 되겠지만 빠른 타이밍에 병력을 생산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오히려 불리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너무 나쁜 부분만 강조한 것 같네요. 분명 잘 활용한다면 쓸만한 스킬이긴 합니다만 잘 활용되기까지 꽤나 시행착오를 겪을 것 같습니다. 언젠가는 유닛들의 모든 스킬이 자유자재로 활용되는 날이 오겠지요.
파블로 아이마
06/05/15 23:57
수정 아이콘
정말 요새 저그 유닛 하나하나에 재발견이 이루어 지네요.
드론 버러우시 스캐럽 공격 안먹히는것은 저도 처음 알았네요ㅡㅡ;;
06/05/16 00:00
수정 아이콘
럴커가 섞인 병력 활용 시에는 버러우 개발이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손이 좀 더 간다랄까요? 병력을 드래그 하면 럴커가 먼저 인식되는데 그 상황에서 u를 누르는 경우가 많거든요. 버러우를 개발하면 다른 병력들도 버러우가 되니 럴커를 다시 지정해줘야 하는데, 그게 싫어서 개발 안 하는 유저도 있습니다.
iSterion
06/05/16 00:02
수정 아이콘
근데 오늘 경기에서 초반에초반에 박성준선수 러커에 그거뭐지..시야1로만드는거 옵티컬플래어! 거는장면 보였던거같은데 보신분 안계신가요..?
가승희
06/05/16 00:11
수정 아이콘
굉장히 공감가는글이고 버로우는 하면 굉장히 좋습니다.
홍진호선수가 이벤트전에서 강민선수 상대로 토스멀티지역에 저글링 버로우를해 건물건설을 방해하면서 럴커로 그냥 끝내버린경기가 있기도
했고 테란이나 토스의 예상 멀티지역에 버로우저글링 하나만 박아나도
꽤 좋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하신것처럼 지우개 방지도 있고..
리버 드랍이 올때도 굉장히 좋습니다.
게다가 버로우가격이 굉장히 싸기때문에 해봤자 손해볼껀 없다고 봅니다
이디어트
06/05/16 00:15
수정 아이콘
버로우에 가장 큰 문제는..
버로우된 유닛이 부대지정에 끼여있으면..
명령체계가 아에 버로우된 유닛 위주로 된다는..
문제가 있지 않나요??
그래서 러커 버로우한다고 이것저것 같이 버로우하다가;;
공격실패하던;;
06/05/16 00:16
수정 아이콘
공격에서는 확실히 단점이 큽니다. 마재윤 선수는 주로 토스가 셔틀 위주로 플레이 할 때 셔틀 격추를 위해서 버로우를 사용했구요. 전투에서 컨트롤만 정확하게 해줄 수 있다면 버로우도 꽤 좋을 것 같네요.
[couple]-bada
06/05/16 00:25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러커와 다른유닛이 섞여서 버로우되어서 개발 안하는편입니다. 베슬 지우개야 미리미리 차단하는수밖에는..
yellinoe
06/05/16 00:33
수정 아이콘
마재윤선수처럼 다양하게 하는 플레이 스타일의 저그에게는 적합하지만.. 후반부 집중도도 떨어지고 유닛도 고테크 유닛과 그리 다양하지 않은 조합으로 물량 뽑고 그러므로 버로우를 개발해놓고도 막상 쓸려 해도 잘 안되는 경우가 있쬬
초록추억
06/05/16 01:18
수정 아이콘
에에..공방3:3헌터 팀플에서 9풀발업빌드로시작한 3햇 저글링만 줄창뽑기 저그(...)가 1차진출하는 바이오닉병력을 잡을때 버로우 저글링을 쓰면 매우 재밌습니다 'ㅁ')..하하; 예상경로에 저글링 한두부대정도는 매우 밀집시켜버로우 해놓고(나머지는 대강) 테란병력이 위로 올때 풀어버리면 서로 버벅거리죠. 1:1의숫자 비율로 버벅거리기만 해도 저그에게 이득!
초록추억
06/05/16 01:21
수정 아이콘
대 테란전에서의 후반부 저그에게 잔손이 생각외로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버로우를 개발한다고 저그유저에게 꼭 이득이라고 볼수가 없으니..정신없어서 이것저것 꼬이기 시작하면 난감난감. 특히 럴커는 대강 드래그해서 버로우 시켜버리는 저 같은 유저는 더 난감^ㅁ^)/ (뭐가 좋다고 웃냐!)
글루미선데이
06/05/16 01:31
수정 아이콘
전 럴커도 일일히 버로우 하는 편인데...버로우 개발해서 나쁠건 없더군요
단...업글과 생산에 치중하다보면 "안누르게"됩니다
아니...잊어버리죠 그런 업그레이드가 있었는지 -_-
소모품이 많은 종족 특성상 누르기 힘든(?) 업그레이드 같아요
Sulla-Felix
06/05/16 02:50
수정 아이콘
대 토스전에는 버로우 저글링으로 재미를 많이 보는 편인데...
대 테란전은 잘 못씁니다. 무었보다 부대지정이 문제죠.
아싸라비아
06/05/16 03:11
수정 아이콘
버로우...
다른 유닛들까지 버로우 업글이 되어있다면 럴커 버로우할때 상당히 피곤합니다. ㅠㅠ
06/05/16 03:16
수정 아이콘
부대안에 바로우한 유닛이 하나라도 있으면 어택키가 안 먹습니다. 그리고 러커와 다른 지사유닛을 같이 부대지정후 바로우키를 눌러서 러커만 바로우하고 나머지 저글링은 공격시키는 방법을 쓰는 플레이도 불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얘기로 러커무빙후 드래그해서 일부씩 나눠서 바로우 시키는 경우 러커와 다른 유닛이 같이 드래그 됐을경우 바로우 개발돼 있으면 러커와 함게 다른 유닛들다 다 같이 바로우 돼버립니다. 러커의 바로우와 언바로우 키를 따로 다른 값으로 지정만 할수 있다면 직므보다 저그의 병력 컨트롤이 훨씬 발전할거에요.
하늘하늘
06/05/16 05:35
수정 아이콘
생각할때는 꽤 유용해 보이지만
막상 해보면 굉장히 불편하죠.
그래서 특별한 경우 아니면 잘 쓰지 않게되더군요.
You.Sin.Young.
06/05/16 08:10
수정 아이콘
리버 약올릴 때 좋더군요.
06/05/16 08:20
수정 아이콘
저는 버로우 기능을 가끔 개발해서 잘 사용하는 편입니다.
토스 상대로는 멀티지역에 저글링 한기 버로우 해서 방해 하는 편이고..
테란 상대로는 초반 생머린 러쉬나 파이어뱃이 적게 섞인 초반진출병력 잡아내는데 상당히 좋습니다.
초반에 버로우 개발하시는분이 많지 않아서 상대분이 잘 예측 못하시더군요.
풀업프로브@_@
06/05/16 08:39
수정 아이콘
베슬에 리스토레이션은 제가 전부터 적극 주장해왔었거든요.
구름베슬이 이라디 걸면서 돌아다니다가 재수없게 플레이그 맞으면
에너지 1남은채로 돌아다닐바에야 메딕에게 와서 리스토레이션으로 1대라도 살리면 업글비용 뽑는건데 말이죠...

그리고 버로우는 이런 장점도 있습니다.
테란 싸베가 쌓여서 디파일러가 계속 이라디 걸리면
마나컨슘용으로 데리고 다니는 저글링과 함께 버로우 시키는거죠.
똑같은 검은점으로 보여서 테란이 일일이 찍어서 확인해야 하므로...
미리 스캔뿌리고 멀리서부터 동시에 이라디 거는 플레이가 안됩니다.

게다가 버로우 된 위에다가 히드라라도 패트롤 해놓으면 아예 이라디를 걸 수 없게도 가능하죠.
리스토레이션과 버로우는 좀 더 활용되면 좋겠다는게 제 오랜 바램입니다^_^
아라베스크
06/05/16 16:58
수정 아이콘
사이언스베슬의 지우개 버로우 해도 데미지 입는걸로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로망,,
06/05/16 20:38
수정 아이콘
아라베스크// 데미지 안 입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332 토스가 저그를 때려잡는 시대가 오리라!! [29] 못된놈4774 06/05/18 4774 0
23280 수많은 저그 유저들에게 주는 선물. [27] 김명진4282 06/05/16 4282 0
23262 버로우의 재발견 [38] 주인공6983 06/05/15 6983 0
23198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65편 [22] unipolar5077 06/05/12 5077 0
23104 수비형 프로토스의 끝을 보여주는 강민선수...! [76] 하얀그림자6662 06/05/08 6662 0
22996 금요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리뷰 [19] pioren4167 06/05/05 4167 0
22976 그 분이 누구신진 몰라도...(스포) [29] 백야6228 06/05/04 6228 0
22934 신한은행 2006 1st Season 대전쟁[4편-24강-5회차] [9] SKY923347 06/05/02 3347 0
22804 객관성과 공정성이 사라진 밸런스 논쟁 [34] toss4825 06/04/28 4825 0
22679 테란좋은유닛 [45] 유상무3461 06/04/23 3461 0
22661 프로게임계의 각 팬층과 그 소개 [37] legend5166 06/04/23 5166 0
22620 스타크래프트 스펀지(?) 여러분의 스타 상식은?? [12] 블루Y4798 06/04/21 4798 0
22456 MSL에서 맵에 로고 삽입한것 말인데요. 어떠십니까? [71] 사신김치5178 06/04/14 5178 0
22454 [Tip] 테란의 천적, 러커를 잡아보자. [47] 써니텐6710 06/04/13 6710 0
22447 박태민 선수의 세팅에 대한 보고서( + MSL 초간단후기 ) [16] 타조알5756 06/04/14 5756 0
22439 프링글스 MSL 오늘경기 후기입니다. (경기내용있음) [33] 다크고스트5056 06/04/13 5056 0
22407 온게임넷, 드디어 고민하나요? [3] teddy3585 06/04/12 3585 0
21936 [이상윤의 플래시백 1탄] 하나로통신 스타리그 16강 B조 1경기 기욤vs국기봉 [9] 이상윤3287 06/03/22 3287 0
21451 여러분에게 최고의 5판 3선승제 명승부는 무엇이었나요? (온게임넷) [90] 미녀는석유를4173 06/03/04 4173 0
21030 스타 삼국지 <35> - 생이별 [15] SEIJI3952 06/02/18 3952 0
21015 대저그전에서 이런 메딕의 활용은 어떻습니까? [19] 풀업프로브@_@3524 06/02/18 3524 0
20899 저그잡는 프로토스, 박지호. [34] 게레로3273 06/02/13 3273 0
20887 NaDa & Terran...테란의 버려진 것들을 이용해 더 높은 곳으로... [25] 풀업프로브@_@3580 06/02/12 35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