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3/23 12:09:45
Name Race_Replica
Subject 프로게이머의 생명력과 FA제도에 관해...
가입한지는 꽤 오래되었지만 게시판에서 정보만 보고가던 유령회원중에 한사람인 Race_Replica입니다.
이번에 FA제도에 관해서도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시점에서 저는 프로게이머의 생명력에 관해 문득 떠오르더군요.
현재 프로게이머의 종목(게임)이라고 할까, 여러 종류의 종목이 있을겁니다.
FIFA 도 있을것이고, 워크래프트, 카운트스트라이크, 기타 등등 많겠지요.
그중에 가장 한국에서 프로게이머가 많은 종목은 아마 스타크래프트가 아닐꺼 합니다.
제가 스타크래프트를 처음 접하게 된지는 98년도쯤이 되겠네요.
그 당시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IT 쪽에 한 일조를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당시에 PC방이라는 게 하루가 다르게 전국에서 오픈하고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한국인들의 머리속에 주입되던 시절이라 봅니다.
지금도 보면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을 한번도 해본적도 없거니와, 본적도 없는 분들이 스타크래프트라는 말을 하면..."아~~~~!" 라고 할 정도로 말이죠.
아마 프로게이머란 말이 생기게 된 시대는 한창 신주영님의 LADDER 대회 우승, 이기석님의 LADDER 대회 우승으로 인해서 아닐까 합니다. 그런후에 스타크래프트에 관련된 책과 비디오도 나왔었구요.
일단 서론이 어처구니 없게 길어졌네요. 서론은 이쯤에서 그만하도록 하고,
스타크래프트가 E스포츠로써의 첫시작을 내딛던 단계, 거의 2001년도 쯤이지 않을까 하네요. 한참 2002~2004년도까지만 해도 스타의 인기는 식을 줄 몰랐습니다.
PC방에 가도 대부분이 스타크래프트를 즐겨하는 분이 대부분이었고 저또한 그랬습니다.
게임이 나온지 이제 어언 8년이 되어갑니다.
협회가 출범한지도 얼마 안되었죠.
이제 하나의 틀을 만들어 가는 것으로 봅니다.
허나 이번에 FA제도, 하나의 틀을 만들고 더욱 더 보강하는 것으로 보이고 좋습니다.
허나 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할것이...
대기업 5년 비기업 4년이라는 말이 있는데, 프로게이머라는 게 생긴지가 이제 채 6년정도 되어가는 거 같습니다.
스타크래프트가 장수하길 바라는 사람중에 한명이긴 합니다만.
밑에 글에 어느분이 꼬릿말을 달아놓은 것을 봐도, 보통 프로게이머라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프로게이머세계에 들어갈것인데, 비기업 기준으로 했을 시 24살이 되면 군대에 대해 생각도 해야 할꺼라 봅니다.
그리고 현역 프로게이머들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인데, 과연 스타크래프트란 종목이 장수를 어디갈지 할지는 모릅니다만, 장기간 장수하여서 선수들이 앞으로도 십몇년간 더 할수 있는 조건이 된다 하더라도, 과연 20대후반과 30대에 들어서서도 프로게이머를 계속 한다는 보장이 없을겁니다. 현재만 보더라도 기회만 된다면야 선수들도 후에는 게임개발업체쪽으로 취업을 하거나 아님 후배양성(프로구단 감독,코치등)쪽으로 많이 가고, 은퇴를 하는 경우도 보이지요.
이런 저런 정황을 두고 봤을때, 이번 FA제도는 어찌보면 공감하는 부분도 있지만서도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고 타부류스포츠의 제도와는 E스포츠만의 독특한 점을 이루어 보아 개선을 많이 하고 손을 많이 봐야 할꺼라고 보여집니다.

P.S 글쓰는 솜씨가 좀 부족하여 보시는 분들께서 아리송(?)하실 부분이 많습니다.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좀더 신중하게 머리속에서 많은 생각을 하여 조리있게 쓰도록 하겠습니다. 평안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상윤
06/03/23 19:21
수정 아이콘
FA를 얻을수 있는자격이 4,5년이던데 3년으로 줄였으면 하군요.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오랫동안 할수있는것두 아니고......
06/03/23 19:26
수정 아이콘
현재 프로게임쪽의 현실적인 상황에 맞춰서 나온 제도라기 보다는, 다른 스포츠에서 행해진 것을 그냥 급하게 조달해온 것 같은 느낌이 들던데요.

역시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의 지속여부가 제일 중요하겠네요. 역시 많은 사람들이 더 발전시키고 지켜나가야겠죠? 물론 다른 종목들의 활성화도 병행되어야 하구요.
06/03/23 19:29
수정 아이콘
FA가 되는데 걸리는 기간을 좀 줄였으면 합니다. 선수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군대문제도 있고, 타 스포츠 처럼 완벽한 정착이 된 상태는 아니기에, 일단 좀 더 짧은 기간을 정해놓고, 차후에 늘리는 식으로 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2088 사람을 선택 한다는 것... [20] [NC]...TesTER4252 06/03/29 4252 0
22084 이윤열 선수와 임요환 선수 침체기의 공통점과 희망 [21] 풀업프로브@_@4520 06/03/29 4520 0
22083 아카시아.. (자작수필입니다) [5] Take_Ever4092 06/03/29 4092 0
22082 죽음의 삼각형이라는 동영상을 보면서... [10] 아임디퍼런트3749 06/03/29 3749 0
22081 한달 후를 기약하면서 [2] pritana4075 06/03/29 4075 0
22080 월-화 예선을 살펴보며. [11] 호수청년4487 06/03/29 4487 0
22078 온게임넷 신맵 백두대간 [52] 김연우7489 06/03/29 7489 0
22077 가족과 노래방에 가보셨나요? [8] 설탕가루인형5536 06/03/29 5536 0
22076 MBC게임 차기 공식맵 수정사항 [40] 김연우6125 06/03/29 6125 0
22075 다르다고 잘난 것은 아닙니다. [32] OrBef5454 06/03/29 5454 0
22071 온겜 대진표 나왔네요. [84] 마녀메딕6415 06/03/29 6415 0
22069 하루에 글 2개 쓰는 건 처음입니다. [10] Dizzy4374 06/03/29 4374 0
22068 기대이상의 실력을 보여줬습니다. [11] SJYoung4037 06/03/28 4037 0
22066 PGR의 법칙 [27] toss3734 06/03/28 3734 0
22065 스타리그 진출전 예선 저녁조 최종결과 [635] 초보랜덤11160 06/03/28 11160 0
22064 [잡담] 시대의 우울. [2] Bar Sur3881 06/03/28 3881 0
22063 여러분은 스타크래프트 업계와 관련된 스폰서 제품을 얼마나 사용하십니까? [56] Dizzy4788 06/03/28 4788 0
22062 [이상윤의 플래시백 4탄]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16강 B조 기욤:유병옥 [2] 이상윤3864 06/03/28 3864 0
22061 브이를 위하여..(스포일러유~) [13] 여자예비역3977 06/03/28 3977 0
22058 스타리그 진출전 예선 오전조 최종 결과입니다 [232] lotte_giants9644 06/03/28 9644 0
22057 대구구장, 대형사고의 기미가 조금 씩 보인다. [55] 산적5259 06/03/28 5259 0
22055 어느 악플러의 일기. [38] 4149 06/03/28 4149 0
22054 온겜예선 조편성에 대해서 [11] 한인5275 06/03/28 527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