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2/17 17:33:00
Name 본호라이즌
Subject 15 년을 함께한 백신 V3 에 대한 불신.
15 년도 넘게 쓰던 V3 를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정말 10Mhz 의 8088cpu XT 컴을 처음 쓸때부터 써오던 V3 였고 완벽한 백신이라고 굳게 믿고 있었습니다만, 정말 요즘엔 믿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최근에 컴이 정말 느려지고 파일명을 하나 바꾸면 폴더내의 모든 파일이 바뀌거나, 동영상이나 음악파일 재생 안되는 것은 물론 각종 에러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V3 의 실시간 감시기능은 잘 돌아가고 있었고, 정품이었기에 최신 엔진으로 업데이트도 되어있었기에 바이러스라는 의심은 추호도 하지 않았습니다. <내 컴은 바이러스로부터 절대 안전!> 이라는 믿음이 있었죠. 공유기 때문에 그 블래스터 웜도 들어오지 못했으니까요. 그러나 각종 증상은 단순한 프로그램들의 버그가 아니라 악성 바이러스라고 밖에 볼 수 없는 어처구니 없는 것들이었습니다.

때마침, 윈도우관련 매니아 사이트에서 외국 백신 성능 테스트한 결과가 올라와 있더군요. 근거없이 최고라고 생각하던 국산 백신들 - 바이로봇 , V3 - 가 나란히 34,35 위에 랭크되어 있었습니다. 게다가 바이러스 검색성공율이 40% 대라니... 그 글 아래에 달린 코멘트들조차도 오래전부터 국산 백신의 기능이 외산 백신들에 비해서 현저히 떨어졌었다는 것들이더군요.

곧바로 좋다는 백신들을 구해서 설치하고 바이러스 검색해보았습니다. 평가판도 엔진업과 검색기능 이용하는데 지장이 없었고요. 검색율 99.63% 로 1위인 F-Secure 를 비롯해서, 2위 Kaspersky, 4위 McAfee , 6위 F-Prot, 21위 Vexira , 23위 Norman 등의 평이 좋았고 그 중에서 F-Secure 와 Kaspersky , 리소스를 매우 적게 차지하면서도 검색율이 좋고 빠르다는 F-Prot 으로 한번씩 검색해보았습니다.

프로세스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당당히 돌아가던 것들이 바이러스로 검색이 되더군요. V3 에 대한 맹신이 깨지는 순간이었습니다.

바이러스로 추정되는 것들을 Kaspersky 와 F-Prot 이 거의 같이 잡아내더군요. F-Secure 는 복수엔진으로 검색능력은 최고라고 하지만 엄청나게 많은 리소스를 잡아먹는 관계로 Kaspersky 와 F-Prot 만 남겼습니다. Kaspersky 도 99% 가 넘는 검색율로 싱글엔진으론 최고라고들 하시고, 속도도 빠르고 해서 맘에 들었습니다.

현재 Kaspersky 와 F-Prot , V3 의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이 작동되고 있는데, 조금전 또 바이러스 경고창이 뜨더군요. Kaspersky 가 제일 먼저 알려왔고, 약 1분 후에 F-Prot 이 같은 파일에 대한 경고를 보내왔습니다. V3 는...... 조용합니다. >_<

국산 백신 쓰지 말자는 건 아닙니다만, 속상하네요. 15년이나 믿고 사용해 온 백신이었거든요. 만들어진지 몇분도 안되어서 전세계로 퍼져버리는 바이러스인데, V3 나 바이로봇의 국산 바이러스에는 가장 강하다는 광고도 설득력이 없게 들립니다. 오히려 외국 백신이 더 일찍 잡아낸다고 하네요.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수집력의 문제인지, 아니면 엔진의 성능 문제인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다시 믿고 V3 나 바이로봇을 쓸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는 것도 많이 아시는 분들이 설명을 해주시면 좋겠다는 마음에서입니다. 또, 컴퓨터가 뭔가 의심스러우신 분들은 위에 언급된 백신으로 한번 검색도 해보시고요.

맵핵 , 치트 만큼이나... 나쁜 바이러스!!  바이러스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군대로 날라
04/02/17 17:39
수정 아이콘
노턴 안티바이러스가 쓸만 하던데-_-; v3후진거는 이미 알았기에;
04/02/17 17:43
수정 아이콘
터보백신도 좋은듯...

터보백신 개발자와 V3의 안철수씨가 무슨 라이벌(?) 비슷한 관계라고 하더군요 -_-;
그냥 다운받아서 쓸 수 있는 터보백신으로, V3가 잡지 못한것들을
잡고난 뒤, V3를 지우고 터보백신만 쓰고있습니다.
i_random
04/02/17 17:46
수정 아이콘
근데 순위권에 들어가있는 백신들은 어디서 구합니까?
Maphacker
04/02/17 17:50
수정 아이콘
저기 한가지만 질문하고 싶은데요.
노턴 안티바이러스를 쓰고 있었는데 요즘 정보 사용 기간 만료라면서 나중에 연장 지금 연장 이런게 뜹니다. 어떻게 하죠?
SummiT[RevivaL]
04/02/17 17:51
수정 아이콘
글을 쓰신거 보니, 컴퓨터를 잘 다루시는분 같은데...v3에 대한 불신만을 말씀하시고 어떤 대처방법을 말씀해주시지 않으시면, 저희같은 v3쓰는 컴퓨터 허접들은 불안에 떨라는 말씀이신지ㅠㅠ
물빛노을
04/02/17 17:52
수정 아이콘
후지다뇨. 말씀이 좀 심하시네요-_-;
뭐 어쨌든 한정적이지만 무료로 자신이 애써 만든 백신을 공표하고 있고, 지난 수년간(혹은 십수년간) 그분의 백신을 써오지 않았습니까. 다소 타 백신에 대해 성능이 떨어진다고 해서 그렇게까지 말씀하실 건 없다고 봅니다. 위의 순위권에 있는 백신들을 구해서 쓰면 그만이죠. 저의 경우는 바이로봇을 쓰는데, 조금 충격이긴 하네요.
저도 요즘 컴퓨터가 좀 이상한데, 바이로봇도 V3도 잡아내지 못해서 좀 불안합니다. 위에 말씀하신 백신들을 다운받을 수 있는 곳을 알려주셨으면 좋겠네요.
i_random
04/02/17 17:53
수정 아이콘
나우누리 클럽자료실에서 f-prot은 구했는데.. kaspersky은 못 구하겠네요..
솔리타드제이
04/02/17 17:53
수정 아이콘
공유 파일만 안쓰면 바이러스 걸릴위험이 거의없죠..
컴퓨터는 자기가 직접 잘 관리해야 합니다..
i_random
04/02/17 17:56
수정 아이콘
알아봤는데 kaspersky의 경우는 당나귀로 구할 수 있답니다.
i_random
04/02/17 17:56
수정 아이콘
물론 불법이죠..카아..-_-;;
군대로 날라
04/02/17 17:57
수정 아이콘
심..심한가요-_-;음..근데 성능 안좋은건 사실이라;;
Maphacker// 아.. 그건 정품 인증 못받았을때 그런건데 시험판이나 그런걸꺼예요..정품 180메가짜리 있습니다 그걸로 설치하시길^^
본호라이즌
04/02/17 18:02
수정 아이콘
위에 언급한 윈도우 매니아 관련 사이트인 winbbs 자료실에도 일부 올라와 있던걸요. 인티즌에 있으므로 MBCGame 아이디 있으신 분들은 그냥 이용하실 수 있을거에요. 이건 관련 글 링크입니다. < http://winbbs.intizen.com/board/content.asp?db=news&number=23586&gotopage=3 >

제가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돈주고 산 게 한글97 이었는데, 요즘엔 MS Word 냐 아래아 한글이냐 말이 많지만 공기업이나 회사랑은 달리 개인적으로 이용하는덴 호환성이 별 필요가 없어서 한글을 쭉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백신은 조금만 허점이 있어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이기에, 워드와 한글의 선택처럼 취향으로 선택할 순 없다는 걸 알았어요. 냉정하게 기능으로 평가할 수 밖에 없는게 백신이나 보안 소프트웨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10년넘게 V3 써왔고 상당기간 무료로 공개해주신 안철수씨께 감사하고, 바이러스에 대한 인식 재고에 큰 기여를 한 것도 압니다만, 이젠 어쩔 수 없네요.... ;ㅇ;
이왕이면 국산 쓸 수 있게~ 좋은 백신 만들어주세요~
메딕아빠
04/02/17 18:04
수정 아이콘
V3 ...
회사에서...집에서...오랫동안 쓰고 있지만...
부족하다고 느낀 적은 없었던 것 같네요...~~
04/02/17 18:05
수정 아이콘
솔리타드제이//
공유파일만 안쓰면 이란게 무슨 뜻이죠?
요즘 바이러스는 네트워크에 물려만 있어도 윈도우즈 최신 패치와 백신이 없으면 마구잡이로 들어오는게 허다 합니다만...
참고로 예전에 학교 네트워크에서는 윈도우즈 새로 깔고 백신만 깔아두면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바이러스 경고 마구 뜬적도 있었지요..
공유파일만 쓰지 않으면이라...바이러스에 크게 낭패 보실수 있는 생각이십니다..
04/02/17 18:11
수정 아이콘
FarSeer// 그.. 그건 좀 특수한 경우인 것 같은데 --;; p2p프로그램이나
와레즈에서 배포하는 파일들, 스팸메일이 아니면, 앵간해선 바이러스 침투 못합니다..;
본호라이즌
04/02/17 18:13
수정 아이콘
바이러스 때문에 한 일주일 고생하면서 이것저것 깔아보고 검사해보고, 실제로 실시간으로 바이러스 잡아내는 모습들을 보면서 내린 지극히 개인적인 결론은, 컴 사양이 좀 낮으신 분들은 F-Prot 을 구해서 사용해 보세요. 램을 3메가정도밖에 차지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성능 자체는 Kaspersky 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가장 빨리 경고를 보내주고, 각종 기능 설정이나 검색속도, 엔진 업데이트 주기도 가장 빠른 것 같고요. 대부분의 테스트에서 1위를 차지하는 F-Secure 는 다중검색엔진으로 최고지만 지나치게 무겁습니다. 타 백신 3개 동시에 모니터 시키는 것보다도, F-Secure 하나가 더 버벅거립니다. 비추천입니다. 실제 검색율에서도 Kaspersky 보다 0.3% 높은 정도던데, 테스트에 따라 차이가 있겠죠. 쓰고 계신 국산 백신이나 다른 백신과 함께 위에 언급한 백신들 사용해 보세요. 좀 더 맘 편해지실 거에요. ^^ 군대 다녀와서 3년간 걸러낸 바이러스 수보다 최근 1주일 동안 발견된 바이러스가 더 많은 것 같네요... 진짜에요. >_<
라바셋,,,
04/02/17 18:17
수정 아이콘
헉...............[털썩]
갈마동[오징어]
04/02/17 18:22
수정 아이콘
저도 v3쓰는데..몇일째 컴터가 계속 느리고 이상해서 바이러스 검사 하려고 클릭 했는데..오류나서 않되길래 다른 프로그램 다운 받아서 해보니..여러 바이러스들이 검색 되고 v3실행파일도 바이러스에 걸려 있더군요..평소에 자주 자주 관리 해야지.. 1! ! !
04/02/17 18:24
수정 아이콘
음 저 역시 조금은 충격적이로군요. 사실 저희 회사에서도 요즘 바이러스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v3 정식판을 쓰고 있는데 그럭저럭 잘 잡히고 있어서 괜찮다 싶었거든요. 그런데 서버 관리하는 분이 v3로 잡히지 않는 바이러스도 있을 거라면서 무료로 여러 엔진을 통해 바이러스 체크해 주는(체크만 해주고 치료는 안 해주거나 혹은 유료로 해주는) 사이트를 알려주셔서 체크를 해봤는데, 하나가 나오더군요. 상당히 놀랐습니다. V3가 전 세계 최강인줄만 알았거든요. 그런데 v3으로 잡히지 않는 것이 있었다니…… 그리고 오늘 이 글을 보고 더욱 놀랐네요. 집에는 컴 살 때 줬던 노턴을 쓰는데, 노턴이 v3보다 훨씬 낫다는 것도 충격이고, v3가 겨우 40퍼센트 대라는 것도 놀랍습니다. 저 같은 컴맹에게는 새로운 세계를 본 것만 같네요. 갑자기 걱정이 됩니다. 대체 바이러스는 왜 만들어 대는 것인지……
04/02/17 18:37
수정 아이콘
털썩. V3만 있으면 되는게 아니었군요..
04/02/17 18:45
수정 아이콘
V3의 약점입니다 틀림없이 알려진 소스에 대한 바이러스는 상당히 완벽하게 잘 잡아내긴 하지만 비교적빠르게요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대책이 없습니다 검색 바이러스수도 외국산에 비해 많지 않고요 국산에 강한 백신이란건 현재 국내에 활동하는 바이러스에 관한 것만 해당된다는 소리입니다 그리고 외국산은 사실 엔진 자체가 알려진 바이러스가 아닌 바이러스를 의심되는 모든것들을 검색해 버리기때문에 가끔 바이러스 아닌 프로그램도 걸려서 지우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뭐 그런경우는 정말 재수 없는 경우고 느린거 빼곤 사실 외국산이 좀더 낫습니다
deathknt
04/02/17 18:58
수정 아이콘
저도 V3가 최고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V3가 기술력 자체로는 외국것과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현재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서 좀 더 많은 바이러스의 위험에 사용자가 많이 노출이 되어있습니다.
외국제품은(제가 알기로도 제법 큰 회사들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에서 일정하게
새로운 바이러스의 수집이 V3보다는 좀 더 많이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새롭게 등장하는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V3가 취약할 수 밖에 없을것입니다.
그렇지만 역으로 생각하면 국내에서 제작된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V3가 무조건적으로 나쁘다라는 생각은 좀 위험할 것 같습니다..
차라리 백신 프로그램 2~3개를 동시에 실행시키다가 이상이 있으면 검사하는 것은 어떨까요?

(제 경험담으로는 맥아피 회사에서 만든 SCAN & CLEAN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는데, V3에서는 바이러스라고
검사하는것을 검사하지 못했습니다...바이러스가 실제로 존재하였습니다...)

저는 언제나 우리들에게 바이러스에 대한 개념을 세워준 안철수씨에게 정말 감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아직도 완전한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계속 꾸준히 업데이트 서비스를 하고, 개인 사용자에게도
편의를 제공해주니까요..
04/02/17 20:16
수정 아이콘
바이러스 체이서..가 국산제품 중 최고성능의 바이러스 백신..이라고 합니다. 바이러스 체크율도 물론 V3나 바이로봇에 비해 월등하구요^^
지금여기에있
04/02/17 20:39
수정 아이콘
실시간 모니터링에 바이러스가 자꾸 감지된다는 것...
이 것이 핵심입니다.
바이러스 백신만 너무 맹신하고 컴퓨터 보안에 신경을 별로 안 쓰신건 아닌지?
win9x 계열 사용자라면 별 상관이 없지만
win2000이나 xp 사용자라면 보안패치가 필수죠. 보통 서비스팩 설치로
해결됩니다. 그리고 로그인시 자동로그인 하지 마시고 암호를 걸어 주세요. 너무 쉬운 암호는 피하시고요.
그리고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인 ad-aware와 악성코드 제거프로그램인 다간다로 시스템 점검을 한 번 해주세요.
좀 더 안전한 환경을 원하신다면 방화벽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죠.
지금여기에있
04/02/17 20:45
수정 아이콘
요즘은 화일에 의해 감염되는 바이러스보다 인터넷을 통한
트로이목마나 웜바이러스가 더 활개를 치죠.
따라서 백신프로그램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평소에 컴퓨터 보안에
신경쓰는 것이 더 중요하다가 생각합니다.
본호라이즌
04/02/17 21:42
수정 아이콘
지금여기에있는나 //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보안패치는 수시로 해주고 있고, 스파이웨어와 악성코드도 주기적으로 제거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자꾸 바이러스가 감지되네요. 윈도 시스템 폴더나, 임시폴더 그리고 특히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내의 파일이 그렇더군요. 문제는 그 폴더 접근이 되지 않는게 문제입니다... 어렵네요. PC 문제는 대부분 혼자 해결할 정도라고 생각했는데, 정말 고생입니다. 바이러스 싫어요.. ;ㅁ;
강민forever
04/02/18 01:55
수정 아이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Connection Out
04/02/18 03:32
수정 아이콘
91년인가 90년엔가.....겨울에 다크 어벤져라는 바이러스가 정말 기승을 부렸습니다. 만약 지금에 그렇게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렸다면.....은행 몇 개쯤은 전산망이 마비될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그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안돌더군요. 그 이유인즉.....안철수 씨가 군대 훈련을 가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렇게 당하고만 있다가 안철수 씨가 훈련 마치고 귀가한 다음날 부터 백신이 돌더군요. 그 백신 이름이 v2plus입니다. 그 때 안철수씨가 구세주처럼 보였던 것도 무리는 아니었습니다.
킬햄님 말씀처럼 외국산 프로그램과 국산 백신 프로그램의 차이는 아주 조금 밖에 느낄 수 없습니다. 더군다나 속도나 사용의 편의성, 신속한 업데이트 여부 등등을 따져보면.....어느 것이 좋은지는 사용자에 따라 천차만별일 것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시스템 느려지는 걸 싫어해서 v3 시스템 감시 기능도 꺼놓고 사용하지만 한번도 바이러스에 노출된 적이 없었습니다. 단지 윈도와 v3 업데이트만 수시로 체크할 뿐인데 말이죠.
최임진
04/02/18 10:10
수정 아이콘
v3가 노턴보다 훨씬 가벼운 이유는 옛날 바이러스들이 데이타베이스에 없기 때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출몰한지 오래 되어서 더이상 나타날 가능성이 없다고 보이는 것, 윈도 시스템에선 감염이 될 가능성이 없는 것...이런 것들은 데이타베이스에서 삭제하고 시스템을 좀 더 가볍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지 않겠습니까? 그러니 검색률 40%대라고 해도 그리 문제되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외국 백신들이 성능이 더 좋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지만, 현존하는 바이러스 중 고작 몇개를 검색하고 덜하고 차이로 어떤걸 쓸까 고민하는 것 보다 자신이 컴을 어떻게 쓰느냐가 훨씬 중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백신을 깔아봤자 자신이 컴을 개떡같이 쓰면 말짱 도루묵이고, 백신을 안깔아도 조심성과 윈도 업데이트만으로 바이러스 한번 안걸리고 십수년동안 컴을 사용해 올 수도 있으니까요.
(저같은 경우 2-3년 전부터 불안해서 v3 시스템 감시를 켜놨습니다만, 그전까지 - 바이러스는 생각도 안하던 도스시절까지 포함해서 - 10여년간을 백신 없이도 바이러스 한번 안걸리고 살았습니다. 최근 2-3년 동안에도 바이러스라고 경고창이 뜬 건 윈도 새로깔때 웜이 들어와서 뜬 한번 뿐이네요)
04/02/18 13:45
수정 아이콘
쿨럭쿨럭-_- 어느 순간 컴퓨터 메커니즘에 관심을 끊고 사는 저로서는... 후후후 개인 컴퓨터 해킹당해봐야 바이러스 걸려봐야 뭐 별 거 있겠습니까 -_-;;;
04/02/18 14:10
수정 아이콘
전 노턴은 검사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못 쓰겠더군요. 예전부터 v3를 믿어왔고 지금도 잘 쓰고 있답니다. 매주 업데이트 꼬박꼬박 해주고 하니까 바이러스에 걸려본 적은 거의 없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60 [잡담]챌린지 1위결정전 2주차! [스포일러] [16] arkride3067 04/02/18 3067 0
2159 [잡담]최근 최연성 선수의 온게임넷 연패에 관하여... [92] Altair~★8116 04/02/18 8116 0
2158 PGR에서 좋은 글을 쓰기 위해 - #1, 준비사항(上) [26] 막군3413 04/02/17 3413 0
2157 정중히 사과드립니다.. [8] 무당스톰~*3495 04/02/17 3495 0
2156 스타크래프트 옛날이야기.. [17] kips75078 04/02/17 5078 0
2154 [잡담]GG의 변천사 [30] 강은희3623 04/02/17 3623 0
2153 최연성 그도 인간 이었다. [62] 햇빛이좋아6118 04/02/17 6118 0
2152 방송에서도 언급된 전설의 '절정테란...' [24] 스머프8998 04/02/17 8998 0
2151 내게 토스의 로망을 보여주는 선수.. ForU... [10] 만득2935 04/02/17 2935 0
2150 저그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8] 저그맨3049 04/02/17 3049 0
2149 해냈다 이재훈!! [21] 낭만다크3653 04/02/17 3653 0
2147 프로게임단을 살펴보러갈까요 ?! 제 1편 4U [For Union] - [18] Zihard_4Leaf4973 04/02/17 4973 0
2144 이병민 선수의 몰수패..... [47] SlayerS[Dragon]6681 04/02/17 6681 0
2142 [잡담] 주종족에 대한 애착. [20] 아케미3153 04/02/17 3153 0
2141 [정보] 슈마지오팀 유니폼 구매. [27] 아이노드4061 04/02/17 4061 0
2139 15 년을 함께한 백신 V3 에 대한 불신. [31] 본호라이즌4367 04/02/17 4367 0
2138 백혈병 아내둔 남편의 애절한 e메일 사연 [2] TheRune2892 04/02/17 2892 0
2137 만약 선수들이 이런 부정행위를 저지른다면...... [69] 진상훈5667 04/02/17 5667 0
2135 오늘의...챌린지리그... [69] fOruFan5930 04/02/17 5930 0
2134 글쓰기 연습중... [2] BaekGomToss3055 04/02/17 3055 0
2131 그들은 어떻게 해서 팀리그를 치루어 왔나(中 -1) [9] The Siria3390 04/02/17 3390 0
2129 호모 파베르(Homo faber, 도구의 인간) - 게임에서 도구의사용. [4] lovehis10340 04/02/17 10340 0
2128 각 팀별 소속선수에 대한 업데이트가 늦네요... [28] 이준신3986 04/02/17 398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