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2/16 11:11
소모적인 논쟁과 결론없는 논쟁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만
하나의 분명한 결론을 낼 수 없더라도 대화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는 논쟁이 있죠. 반면 불필요하게 감정만 악화시키는 논쟁도 있다고 봅니다. 후자는 지양되어야한다고 생각하고요.
04/02/16 11:36
59분59초님 에게 절대적인 동감을....
감정의 악순환은 정말 최악 이죠..(그런 저도 가끔은... 그 때 마다 반성 합니다.)
04/02/16 11:39
파이는 그 값이 분명히 정해져 있죠.
또한 직선의 경우도 평면을 가정하는 경우에는 분명해 집니다. 수학이 완벽할 수 없는 이유는 불완전성의 원리때문이라고 여겨집니다.
04/02/16 11:54
남는게 있다면 배운건 배운거겠죠 그런데 넷상에서의 글은 제가 글을쓰고도 뭔글을 썼는지 한달후엔 기억이안납니다. 아예 논쟁자체를 까먹기도하고요 그만큼 인스턴트하다는 얘기가아닐가요 아님 저에게만 해당되는건지.. 반면 대학에서 토론같은거하고 준비하고논쟁하는건 확실히 남는게 있더군요..
04/02/16 13:04
이 세상 모든 논쟁은 99.9%가 아니라 100% 모두 소모적인 것입니다.
경계해야 할 논쟁의 종류라면 소모적인 논쟁보다는 `비생산적`인 논쟁이 아닐까요... 소모적이면서도 생산적인 논쟁이 있는 반면에, 소모적이면서 동시에 비생산적인 논쟁이 있는 것이지요.
04/02/16 13:14
으음..머리터지게 싸우고 난후에야 가라앉는다.카타르시스로군요..
눈물에 의한 영혼의정화 대신 논쟁에 의한 이성의 정화인가요?^^; 잘읽었습니다.^_^유쾌한 관점인걸요..으하하하
04/02/16 13:18
솔직히 제목을 보고는 뻔한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하며 들어왔었는데, 굉장히 흥미있는 관점이네요. 글쓴이의 센스가 돋보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
04/02/16 16:44
사실 '소모적 논쟁'이란 게 애매합니다.
shovel님 말씀에도 있지만 '소모적이면서 생산적인 논쟁'은 사실 소모적인 논쟁은 아니거든요. 뭔가를 소모하지만 결국 다른 것을 생산해내니 궁극에는 '소모적 논쟁'은 아닌거지요. 불가지론과 논쟁이 상극같이 보이지만..이럴 땐 불가지론 써 먹어도 될 것 같아요. 정녕 지금 하는 이 논쟁이 소모적인 것인가? 라는 고민은 '현재로썬 알 수 없다'라고 포기해버리고 진행하는 논쟁에 대해 열의를 가지고, 되도록 상대방의 감정을 후벼파진(?) 말고, 되도록 결론에 유사한 경지(?)에는 이르도록 상호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때 가서 보니 그래도 그럴 듯한 결론이 나와 있으면 '그래도 마냥 소모적인 논쟁은 아니었구나'하면 되겠죠. 결론이 안나오면? 그 때는 논쟁자들의 주관으로 남기죠. 소모적인 건지 생산적인 건지..(무책임하군요..)
04/02/16 17:36
음 !! 제가 이해력이 부족한지는 모르지만
소모를 한다는건 에너지이든 정력이든 뭐든지간에 소모가 됬다는건 일을 했다는 것이고 일을 했다면 생산된 결과가 남게 되있습니다. 뭐든지 했다하면 생산되는 것은 당연히 따라오는 인과관계입니다. 그것이 쓰레기를 생산했더라도 말이죠. 그것을 굳이 소모적이었는지 생산적이었는지로 나누는것보다는 발전적이었는지 좀더 발전적이었는지로 나누는게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04/02/16 21:19
닥터스라는 책에는 26이라고 나오죠....
의대갈까 고민하던 시절에 읽었는데 제가 대학 갈때까지 제일 좋아하는 책이 되버렸죠.. 안 읽어보신분은 읽어보세요..딱딱한 의대얘기만은 아니거든요.. 리플이 주제랑 상관없이 되버렸네요..^^;;; 청개구리님 글에는 동감입니다...말씀처럼 '덜발전적'인게 더 문죠.
04/02/16 22:47
음.. 저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세상에는 정답이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청개구리" 님께서 말씀하신 소모적인 논쟁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만..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그런 예의에 어긋나면 안되겠죠... 그것이 잘 안되서 문제가 발생하는것 아니겠습니까... 누구나 이래야 한다고는 알고 있지만 자신의 관점에 적용 시키면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는...
04/02/17 00:46
소모적인 논쟁까지야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습니다만 파괴적인 논쟁이라면...
그리고 넷상에서 논쟁이 파괴적이고 공격적으로 흘러가지 않는 경우를 보기가 상당히 힘들다는 점이 우리를 우울하게 하죠. 그래서 넷상에서는 아예 토론을 안해 버리는 것이 차라리 나아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