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2/12 17:41:24
Name 풀업프로브@_@
Subject NaDa & Terran...테란의 버려진 것들을 이용해 더 높은 곳으로...
전 테란유저이자 이윤열 선수의 팬입니다.

그런데 요즘 테란유저인 저의 입장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바로 테란 수비력의 약화입니다.
수비형 테란이 뜨는 요즘에 무슨 소리냐는 분이 계실수도 있겠으나...
얼마전만해도 테란이 앞마당이나 삼룡이까지만 먹고 맘먹고 수비하고 있으면
저그나 플토는 들어갈 엄두를 내지 못했던게 사실입니다.

그런데 요즘은 어떻습니까?
저그는 다크스웜 몇방이면 바로 앞마당 들어야됩니다...
플토는 센터 한방싸움에서 스테시스로 얼려버리구요.
이윤열 선수의 팬으로서 특히 눈에 띄는건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탱크의 약화입니다.

요즘 그의 대저그전을 보면 알 수 있지요.
탱크 거의 없는 SK테란을 처음부터 염두에 두고 플레이합니다.
왜 SK만 하냐고 불평하는 분도 계시지만 디파일러때문이라고 봅니다

예전에 앞마당 삼룡이까지만 먹은 저그 상대로
앞마당 먹은 NaDa가 진출도 못하고 묶이는 리플레이를 본 적이 있습니다.
저그가 맘먹고 다크스웜 럴커로 테란 진출로를 봉쇄해버리면 테란은 진출할 수 없습니다.
앞마당은 언덕 다크스웜 럴커로 마비시키고요.
베슬밖에 없는데...플레이그 스커지 히드라때문에 접근이 쉽지 않죠.

BWI에서 NaDa에게 외국인 선수가 구사했던 것도 그런 플레이였는데 운영이 미숙하고 가난해서 실패했지만 제대로 들어가면 투팩탱크로 간 테란 진짜 아무것도 못하고 굶어죽을 수도 있습니다.

대플토전은 막 끝난 BWI에서 강민선수와의 경기가 생각나네요.
결국 스테시스 필드가 골치였습니다.

다크스웜과 스테시스로 테란이 정말 고민인 것으로 여겨지는건 저만의 생각인지요?
게다가 저그나 플토는 앞으로 더 다듬을 여지가 있어보이는데 반해서
테란은 올라갈 때까지 거의 올라간 듯 보이구요.

그래서 구상해본 것이...이제껏 테란이 활용하지 않은 부분들의 활용입니다.
떠올려 본게 몇 가지 있는데요...

1. 뉴클리어의 활용

대저그전이든 대플토전이든 중반의 한방싸움이 가장 핵심이라는 점은 동의하실 겁니다.
그래서 말인데요...
이 한방싸움에서 핵을 동원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멀티견제 같은데 쓰는게 아니라 한방싸움에 써보는거죠.

특히 대플토전에서 흔한 상황을 가정해보면...
꾹 모은 벌탱이 진출하는데 질럿드라가 달려듭니다.
드라군이 마인제거하면서 질럿이 덮치겠죠.
그때 질럿이 이미 벌탱에 달라붙어서 빼도박도 못하는 시점에서,
전방 드라군에 뉴클리어를 조준합니다.

그러면 드라군 빼야하지 않을까요?
고스트를 잡으려면 스톰을 쓰거나 스테시스로 얼려야 되는데.....
고스트가 한두마리만 아니라면 클라킹과 락다운 때문에 어렵습니다.
드라군을 빼게만 만든다면 질럿 전멸시킬 수 있을테고...남은건 드라군뿐...

플토가 이런 상황을 겁내서 계속 뺀다면 플토입구까지 진출할 수도 있습니다.
성공 못하더라도 고스트 있으면 아비터 락다운도 되고요...
연구해볼 가치가 있지 않을까요?

얼핏 황당해보일지도 모르지만...생각해보십시오...
플토가 질럿 달려들기만하면~징~~뉴클리어 런치 디텍티드...
질럿빼기는 이미 늦었고 드라군은 앞으로 무빙하면 탱크에 젤리되고...
그대로 싸우자니 핵떨어지고...뒤로 빼자니 질럿만 다죽고...
플토의 핵심유닛인 질럿과 드라군을 분리시킬 수 있지 않을까요?

2. 메딕의 옵티칼

MBC의 캠퍼스배틀에서 17연승인가 달리던 한 테란유저가 보여줘서 힌트를 얻었는데요
이윤열 선수가 보여줬던 거랑 비슷하게 아카데미랑 스캔달아서 플토빌드 확인하고
리버드랍이니까 메딕이랑 옵티컬 개발해서 셔틀을 장님 만들어버리더군요.
장님셔틀로 테란진영 돌아다니기는 겁나겠죠.

플토 아마추어유져분은 갑자기 셔틀시야가 사라지니까 얼마나 황당했던지
컴퓨터 에러난줄 알고 방송중에 pause걸었다는...
셔틀시야 확보하려고 옵져버 데려오니까 스캔이나 터렛 이용해서 옵져버 보일 때마다 계속 옵티컬...
결국 리버 못쓰게 만들고 이기더군요.

리버드랍하는 플토 상대로 새로운 초반 대응카드로 연구해 볼만하지 않을까요?
다만 질럿이나 드라군이 리버와 같이 내려서 시야확보되면 낭패...
메딕 더뽑아서 모두 옵티컬을...쿨럭~

두 가지 다 황당한 전술들이고...악플만 가득 달릴수도 있겠습니다만...
불과 1년전만해도 누가 테란에게 아비터뽑고 스테시스필드 쓸 생각이나 했겠습니까?
말도 안되는 생각이라 할지라도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는 것보단 나을 것이란 희망을 가져보면서...

테란이 지금보다 더욱 강력해지기를 희망함과 동시에~
이윤열 선수의 우승을 기원합니다.

사족. 저그가 테란 앞마당까지 다크스웜 럴커로 조인 상태라면...
디파일러는 같이 다니는 저글링과 함께 버로우시키는 것은 어떨까요?
테란이 스캔 때리고 베슬로 이라디 걸어야되는데...
저글링이랑 함께 버로우 돼있으면 난처하지 않을까요?
어느 까만점이 디파일러인지 확인해봐야 할테고...
막상 이라디 걸려면...어?어떤게 디파일러더라???

이건...갑자기 저그 편으로 반전인가요...쿨럭~

이...이윤열 선수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2/12 17:53
수정 아이콘
옵티칼 하니깐 그 경기가 생각나네요. 로템에서 봉준구 선수 플토하고 임요환선수 경기였나? 한부대 반정도 되는 케리어에다가 옵저버 6기 정도 있었는데 전부 옵티컬걸고 레이스3부대로 잡았던 경기........
포켓토이
06/02/12 17:57
수정 아이콘
핵은 조준하면 곧바로 발사되어버리기 때문에 사용이 좀 곤란할겁니다.
핵미사일이 조준완료후에 나중에 발사되는 식으로 패치된다면 정말 좋을텐데요..
06/02/12 18:02
수정 아이콘
저는 안될 것 같은 느낌이지만, 어디까지나 느낌일 뿐이구요...
충분히 연구해볼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당장은 힘들어도 언젠가 반드시 쓰일 것 같네요..
풀업프로브@_@
06/02/12 18:04
수정 아이콘
포켓토이님//
아니....그런식의 사용을 말씀드린게 아니라요...
오히려 빨리 발사될 수록 좋습니다.
어차피 테란에게 플토가 달려드는 것이므로...
질럿이 도망가기에는 이미 테란병력에 너무 달라붙은 타이밍에
드라군 약간 앞쪽(즉, 질럿과 드라군 사이)에 핵을 조준하는 겁니다.

드라군을 앞으로 무빙시키면 시즈탱크에 맞아죽고
그대로 드라군 어택하고 있다간 핵맞아서 다죽고
드라군이 뒤로 도망가면 앞으로 달려간 질럿은 다죽고 드라군만 남습니다.

여기에 대해 플토가 해법이 없다면 플토는 한방싸움을 할 수가 없게되고 뒤로 계속 뺄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①정민、
06/02/12 18:07
수정 아이콘
핵은 쫌 아니라고 봅니다.
떨어지는데 시간이 걸리고
고스트 체력도 낮고.
쏘는 사이에 병력이 전멸될수도있고. 다 빼버릴수가있죠..
Apple_Blog
06/02/12 18:08
수정 아이콘
옵티컬은 확실히 활용도가 높습니다.
대플토전에서는 조금 귀찮을 수 있겠지만 대저근시에 옵티컬 사용은 정말 좋습니다.
저렴한 개발비용에 남는 메딕의 마나로 오버로드에 옵티컬을 건다던지,
혹은 종종 써먹는 것인데 골목 러커 2세마리정도 버로우 되있을 경우에
스캔 후 옵티컬을 걸고 퍼진상태로 마린이 전진해서 잡을수도 있습니다.
[couple]-bada
06/02/12 18:09
수정 아이콘
옵티컬 플레어.. 예전에 대저그전에서 오버로드 시야 확보를 방해하기위해 쓴적은 있었네요. 러커 드랍왔을때도 종종 썼었는데.. 그땐 뭐가 문제였는지 러커가 공격을 잘도했던것 같더라는;
크레산도
06/02/12 18:12
수정 아이콘
강민 과의 bwi 경기는 벌쳐가 너무 적었는것도 패인 인듯 합니다...
06/02/12 18:12
수정 아이콘
대 플토전 힘싸움에선 정말 좋겠네요. 달려드는데 핵을 쏘면 플토가 100%로 못싸우겠네요^^;; 어차피 테란은 레인지어택이니 도망가더라도 탱크의 화력이 장난아니겠습니다
Judas Pain
06/02/12 18: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지만 핵은 짧으면 1년안에 길면 2년안에 플테전에서 볼 수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아마 프로게이머들은 연습상에선 지금도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DynamicToss
06/02/12 18:17
수정 아이콘
다 필요 없습니다 토스 전은 풀업 메카닉이면 스테이시스 필 드 무용지물입니다 전상욱대 송병구 네오 포르테 프로리그 만 참고해도 알겁니다 물론 전상욱 선수 너무 잘해서 그렇겠지만 풀업에 그냥 지상군이 전멸 됐습니다
Judas Pain
06/02/12 18:31
수정 아이콘
이재훈 선수는 수비형 테란타입에 잘 말려들지 않는데 그 이유는 테란에게서 가까운 본진 멀티에 자신이 멀티를 하고 테란에게 타이밍 러쉬를 강요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강민과 이윤열의 3차전은 그 양상이 좀 달랐지만 본진멀티를 강민 선수가 빠르게 확보하고 테란의 본진멀티를 최대한 늦췄습니다 그리고 투스타 아비터를 빠르게 확보한후 아비터를 활용할 여지를 만드는데 성공합니다

이런게 대테란에서의 플토의 경기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비터를 빠르게 확보하고 테란의 제 3멀티를 늦춘다면 테란의 공방업이 충실한 업메카닉에 대해 아비터는 강력한 무기가 될수 있습니다

단, 라오발에서는 거의 힘들겠지요 그리고 최연성식의 운영도 조금 까다로워보이기는 합니다
Paloalto
06/02/12 19:27
수정 아이콘
광역마법이 아닌 마법은 쓰기 참 까다로운 것 같습니다. 분명 효과는 좋은데 광역이 아닌 개인에 거는 마법은 거의 활용도가 없는것 같네요. 그나마 브루들링이 많이 나오는듯 ;
발업까먹은질
06/02/12 19:28
수정 아이콘
핵은 조준 시작하고 10초 정도 이후에 폭팔하지 않나요? 10초면 이미 교전은 거의 끝나갈 듯 싶은데;.
얼굴벙커
06/02/12 19:34
수정 아이콘
재계님이 기억하시는 경기는 게임큐2차대회인가...? 로템은 아니었구요 리모트아웃포스트로 기억합니다. 캐리어도 한부대반이 아닌 6~8기정도 있었구요. 임선수의 레이스는 한 8~9기정도....옵저버는 다섯기였는데 옵티컬로 3개를 장님 만들고 2개는 스캔으로 잡아냈을겁니다.
06/02/12 20:19
수정 아이콘
Paloalto 님// 이레디에이트를 잊으시면 안되요~
올드카이노스
06/02/12 20:32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버로우나 오버로드 수송업 개발로 디파일러의 생존시간을
늘릴 수 있을거 같습니다.럴커 밑에 버로우 시켜놓는다던지,아니면
스웜만 쓰고 바로 오버로드에 탑승한다던지..물론 손은 더 많이 가겠습니다만 -_-;;
더 높은곳으로
06/02/12 20:46
수정 아이콘
그쎄요-_-;;
핵보단 아비터의 락다운이
아비터를 봉쇄하는데 활용도가 더 클거 같군요
06/02/12 20:50
수정 아이콘
자리잡고 마인 매설한 테란쪽과 달려드는 플토, 테란쪽에 좀 더 힘이 가긴합니다만, 그래도 핵과 고스트에 들어가는 인구수는 무시 못할 것 같습니다. 옵티컬은 장기전갔을때도 꽤나 도움이 되긴 하더군요.
GoodLove
06/02/12 21:06
수정 아이콘
벌처가 괜찮습니다.
06/02/12 22:12
수정 아이콘
작정하고 테란이 수비하면-듀얼예선에서 박용욱 선수가 하듯이 아비터+지상군으로 적당히 버티다가 캐리어로 넘어가야죠. ㅇㅅㅇ
06/02/13 01:22
수정 아이콘
신선한 발상이군요. 하지만 발업까먹은질럿님 의견처럼 핵 조준하고 떨어질 시간이면 어지간한 교전은 다 끝날 것 같습니다. 디파일러 버로우는 좋은 의견 같습니다. 저글링 어느 정도 섞어서 버로우하면 찾는 게 꽤 힘들겠지요.
풀업프로브@_@
06/02/13 10:39
수정 아이콘
제가 말씀드린 타이밍은 굉장한 대규모의 한방싸움입니다. 테란의 병력이 절대 물러서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플토병력이 달려들어서 빼도박도 못하는 시점에서...드라군이 테란 병력을 공격할 수 있는 정도의 레인지에 핵을 넓게 두방정도 조준하는겁니다. 마치 접근못하게 방어벽을 두르듯이요...그러면 플토가 과연 드라군을 어떻게 해야할까요?제 실력이 짧긴 하지만 아마도 굉장히 고민될꺼 같은데요...앞으로도 뒤로도 무빙하기도 가만있기도 난감하지 않을까요?인구수 150대에 육박하는 대규모 교전이라면 끝나기 전에 드라군 위로 핵이 떨어질 것 같습니다만...여기까지는 제 의견이고요~다양하신 의견들 정말 고맙습니다
06/02/13 11:15
수정 아이콘
발상자체는 신선했지만 글쎄요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토스고 상대방이 테란인데 중앙싸움할때 상대방이 핵을 쏜다 .
그럼 뒤로 잠깐 빼겠죠..
질럿이랑 드라곤이랑 싸우려는데 질럿 달려든후 핵을 쏜다
그럼 드라곤도 강제로 이동해서 탱크옆으로 갈꺼 같습니다.
핵은 딜레이가 있으니 ..
그리고 고스트가 핵을 쏴도 우루루 달려드는 질럿에 탱크의 시즈가 펑하면서 스플레시로 같이 죽는 고스트도 연상되네요 . 하하
어쨌든 생각의 발상은 참 좋습니다.
풀업프로브@_@
06/02/13 12:15
수정 아이콘
//zenith님
생각보다 고스트 핵 사정거리가 굉장히 길어서 탱크 근처에서 조준 가능합니다.
그리고 고스트가 벌쳐랑 같이 있게 두면 안되지요.
그래도 드라군을 억지로 붙이려고 한다면 전투 끝날때까지 드라군은 공을 못쏴본채 무브를 해야할 겁니다.
그리고 핵을 드라군의 약간 앞쪽에 조준하기 때문에 앞으로 무브한다고 해도 벌쳐로 조금만 블로킹해주고 테란병력이 물러서지 않는다면 뒤쪽 드라군이 핵맞습니다. 게다가 머리나쁜 드라군들이 대규모 전투에서 말을 잘 들어서 핵 범위를 피할지도 의문입니다.
드라군이 질럿을 버린채 뒤로 빼도록 유도해보고자 하는게 제 의도이구요, 그러기 위해서는 테란병력이 뒤로 빼지 않고 그 자리에 버티고 있는 것이 전제가 됩니다. 그리고 질럿과 드라군 사이에는 핵방어벽...
테란병력을 전멸시키고 뚫고나가거나 드라군을 뒤로 빼지 않는한 핵을 맞을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중소규모 병력에서는 그 전에 전투가 끝나거나 서로 뒤엉키면서 효과가 없겠지만 서로 벽처럼 부딪히는 대규모 부대간의 전투라면 성립되리라 봅니다.
그리고 핵으로 드라군 접근을 막거나 무브시키게 할 수 있다면 탱크는 굳이 시즈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릅니다. 질럿만 상대하면 되니까요.
상상만 해도 통쾌한 이런 플레이를 언젠간 방송에서 누군가가 실현시켜 주기를 꿈구며...기왕이면 NaDa이기를...하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3332 토스가 저그를 때려잡는 시대가 오리라!! [29] 못된놈4773 06/05/18 4773 0
23280 수많은 저그 유저들에게 주는 선물. [27] 김명진4281 06/05/16 4281 0
23262 버로우의 재발견 [38] 주인공6981 06/05/15 6981 0
23198 [스타 추리소설] <왜 그는 임요환부터...?> -65편 [22] unipolar5075 06/05/12 5075 0
23104 수비형 프로토스의 끝을 보여주는 강민선수...! [76] 하얀그림자6662 06/05/08 6662 0
22996 금요일 신한은행 스타리그 리뷰 [19] pioren4166 06/05/05 4166 0
22976 그 분이 누구신진 몰라도...(스포) [29] 백야6228 06/05/04 6228 0
22934 신한은행 2006 1st Season 대전쟁[4편-24강-5회차] [9] SKY923347 06/05/02 3347 0
22804 객관성과 공정성이 사라진 밸런스 논쟁 [34] toss4824 06/04/28 4824 0
22679 테란좋은유닛 [45] 유상무3458 06/04/23 3458 0
22661 프로게임계의 각 팬층과 그 소개 [37] legend5166 06/04/23 5166 0
22620 스타크래프트 스펀지(?) 여러분의 스타 상식은?? [12] 블루Y4797 06/04/21 4797 0
22456 MSL에서 맵에 로고 삽입한것 말인데요. 어떠십니까? [71] 사신김치5178 06/04/14 5178 0
22454 [Tip] 테란의 천적, 러커를 잡아보자. [47] 써니텐6710 06/04/13 6710 0
22447 박태민 선수의 세팅에 대한 보고서( + MSL 초간단후기 ) [16] 타조알5755 06/04/14 5755 0
22439 프링글스 MSL 오늘경기 후기입니다. (경기내용있음) [33] 다크고스트5055 06/04/13 5055 0
22407 온게임넷, 드디어 고민하나요? [3] teddy3585 06/04/12 3585 0
21936 [이상윤의 플래시백 1탄] 하나로통신 스타리그 16강 B조 1경기 기욤vs국기봉 [9] 이상윤3286 06/03/22 3286 0
21451 여러분에게 최고의 5판 3선승제 명승부는 무엇이었나요? (온게임넷) [90] 미녀는석유를4171 06/03/04 4171 0
21030 스타 삼국지 <35> - 생이별 [15] SEIJI3951 06/02/18 3951 0
21015 대저그전에서 이런 메딕의 활용은 어떻습니까? [19] 풀업프로브@_@3523 06/02/18 3523 0
20899 저그잡는 프로토스, 박지호. [34] 게레로3273 06/02/13 3273 0
20887 NaDa & Terran...테란의 버려진 것들을 이용해 더 높은 곳으로... [25] 풀업프로브@_@3580 06/02/12 35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