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13 11:55:24
Name limit∑무한대로
Subject 파이이야기 다들 읽으셨나요??
우연치 않게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이 책을 보았다.
그때 무엇을 봤었는지는 기억 나지 않지만..
그 이후로 도서관이나 대여점에서 이 책을 볼 때마다
꼭 잃어야지 하며 점 찍어두었던 책이었다.

모처럼 시간이 나서 도서관으로 달려가 이 책을 빌렸다.

얀 마텔... 처음 접하는 작가여서 재미있을까 하는 생각으로 읽었다.

한 권을 다 읽은 지금 느낌을 말하자면 정말 다른 사람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책이다.

책이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처음에는 지루한 감이 있지만 장을 넘길수록 전개되는 이야기는
좀처럼 방향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뻗어나가고 마지막 결말또한 대단히 놀랍다.

이 작가가 여러 나라를 여행한 사람이라 그런지, 세 종교를 믿는
어린 소년을 만들어낼 만큼 문화에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가졌다.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을
작가가 소년의 입을 통하여 말하던 생각들은 잠깐 생각한 얕은 사고가 아니라,
몇 번은 곱씹어야 도달할 수 있는 그러한 생각들이 글 한줄 한줄을 이루는
것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공감이 되어 절로 고개가 끄덕여 지기도 했다.

나에게, 세 종교를 믿는 소년의 사고가 충격적이기도 했지만,
또한 동물원에 갇혀 있는 동물들이 야생을 사는 동물보다 훨씬 편안함을 느낀다
는 지식들은 대단히 나에게 놀라움을 안겨 주었다.
그래서 지금도 파이가 동물원의 동물의 심리상태에 대해,
그리고 동물원의 동물에 대한 지식에 대해 얘기하던 부분은 아직도 생생히 기억난다.

태평양 한 가운데..
벵골 호랑이와 구명보트에 단 둘이 생존하여 생명을 이어가는 부분은
정말 어린소년에게는 감당하기 힘든 일이었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 부분에서 파이가 말하는 권태와 공포의 양면성에 대해 크게 공감하기도 했다.
인간들은 아무일도 없으면 지루해서 무엇인가 큰일 이라도터지기를 바라지만,
막상 무슨 조그마한 일이라도 일어난다면
권태의 상태를 무척이나 그리워 하기 때문이다.
모든 인간이 그렇겠지만, 나도 매일 이러한 감정을 느끼는데 ,
약간 모순적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태평양 한가운데서 맹인을 만난 이야기도 놀라웠고, 식충섬 이야기도 놀라웠다.
그리고 227일의 생존을 마치고 마침내 멕시코 해안에 도착하여
일본인 오카모토와 치바에게 자신의 경험을 들려주며 이 글이 끝맺어 지는데,
끝 부분에서 나는 두 사람의 어리숙한 행동에 혼자 웃기도 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파이가 동물이 나오는 이야기와 동물이 나오지 않는 이야기
두 가지를 들려줬다는 데 있다. 이 결말은 정말 대단히 흥미로웠다.
실제 이야기는 동물이 나오지 않는 이야기이고,
파이라는 소년은 아직 어린 소년인 만큼 이 잔혹한 이야기를
동물이 나오는 이야기로 대치시켜서더 예쁘게 만들었던 것이다.

책을 읽는 중간에 약간 지루한 감이 있긴 했지만,
읽고 나니 정말  정독해서 다시 읽고 싶은 생각이 든다.

PGR 분들 중 이책을 읽으신 분들은 어떤걸 느끼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1/13 13:07
수정 아이콘
한번 읽어봐야지 ~ 하고 인터넷 서핑하던 도중 네타당했습니다...
06/01/13 13:09
수정 아이콘
네타가 무슨말인가요?
봄눈겨울비
06/01/13 13:09
수정 아이콘
파이이야기 읽어볼려고 샀는데 이상하게 쉽게 안 읽히더라구요..
제 취향에 안 맞다고 해야하나.. 뒷부분은 재밌어 보이던데 읽다가 중도에 포기한 얼마 안되는 책중 하나입니다..;;
이 글을 읽고 다시 곰곰히 생각해보니 다시 한번 읽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화염투척사
06/01/13 13:46
수정 아이콘
-_- 추리소설을 읽으려다가 결말을 알아버린것보다는 낫지 않을까요?
네타란건 제가 알기론 대충 결말(또는 중요한 반전)을 미리 말해버리는겁니다. 스포일러랑 비슷한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185 " 난 [아직도] 천재니까 ! " [21] 비롱투유4368 06/01/17 4368 0
20183 [잡담]안녕하세요, 하느님! (재미있네요..^^) [23] iloveus3886 06/01/17 3886 0
20181 인터넷은 전쟁중 [11] 포켓토이3838 06/01/16 3838 0
20180 실업계와 인문계 .......그리고 담배와 친구 .. [58] Rookie-Forever4485 06/01/16 4485 0
20179 여러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 7th MSL 조용호 선수의 우승. [17] Juliett November4554 06/01/16 4554 0
20178 러브포보아 또 휴가 나와버렸네요;; [19] 러브포보아4133 06/01/16 4133 0
20177 이 때가 기억나십니까? [20] 신밧드4161 06/01/16 4161 0
20176 테플전, 테란의 전략이 사라지다. [57] SEIJI6720 06/01/16 6720 0
20175 분위기도 바꿔볼겸.. 배구 이야기...+96슈퍼리그 4차전 5세트 [73] 버관위_스타워6349 06/01/16 6349 0
20174 인파이터와 아웃복서 [23] Gidday4987 06/01/16 4987 0
20173 사회를 바꾸는 힘 [13] 식수센스3676 06/01/16 3676 0
20172 테란 VS 프로토스 오프라인 혈투 관전기와 '날 죽이면 너도 죽는다' [160] 4thrace7333 06/01/16 7333 0
20171 윤종민을 잊지 말자... [57] 임정현5922 06/01/16 5922 0
20168 나의 팬이 되자.. [6] 복숭아4122 06/01/16 4122 0
20167 [yoRR의 토막수필.#14]그리움에 지쳐있는 이에게. [9] 윤여광3825 06/01/16 3825 0
20166 글을 자삭할때 좀더 신중합시다. [14] 김테란4108 06/01/16 4108 0
20165 초등학생 전용관을 만드는건 어떨까요. [30] 하수태란4002 06/01/16 4002 0
20163 안정환 잉글랜드 블랙번 이적 확실시!! [30] estrolls5169 06/01/16 5169 0
20162 플토vs테란전쟁 이젠 끝났나요? [14] 기다림..4250 06/01/16 4250 0
20161 역대 양대리그 우승자 명단. [37] rakorn5766 06/01/16 5766 0
20160 프로토스가 약하게 '보일' 수 밖에 없는 이유. [45] jyl9kr4864 06/01/16 4864 0
20158 [잡담] 과연 우리나라의 대통령은? [28] 황태윤4458 06/01/16 4458 0
20157 [연우론] 2. 공격자의 한계, 수비자의 한계 [16] 김연우5471 06/01/16 547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