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01/05 21:43:29
Name 흑태자
Subject 저그의 마에스트로
CYON MSL 패자조 결승 마재윤 vs 최연성
결과는 마재윤 선수의 3:0 완승으로 끝났습니다.
최연성 선수를 상대로 7:0의 스코어, 저그가 꿈이나 꿀수 있던 스코어였습니까?
마재윤선수의 뮤탈리스크 견제와 파고드는 컨트롤은 마치 질렛트 당시 박성준 선수를 보는거 같은 강력함이 느껴졌으며
물흐르는 듯한 체제전환에 운영은 우주배 당시 박태민 선수를 상회하는 느낌이었습니다.
근데 이런 선수가 아직 마땅한 별명이 없습니다.
지금 PGR에서는 패왕저그라는 별칭이 대세입니다만
마재윤 선수의 별명으로 마에스트로가 어떨까요?

mae·stro〔〕〔It.=master〕 n. (pl. maestros, -stri[];fem. -stra[])
1 대음악가, 명지휘자
2 [Maestro] 1에 대한 경칭
3 (예술의) 명인, 거장

마재윤 선수야 말로 모든 저그의 유산들
홍진호의 폭풍, 조용호의 울링, 박경락의 드랍, 박성준의 공격력, 박태민의 운영..등등을
그만의 틀안에서 자유롭고 유연하게 변주해서 그만의 무엇을 보여주는
명지휘자이자 명인이 아닐까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흑태자
06/01/05 21:44
수정 아이콘
써놨더니 아래에 별명에 관한 글이 있군요-_-;;
지울까요?
워크초짜
06/01/05 21:44
수정 아이콘
리플로 다시는게 좋을 듯 싶네요...
같은 주제이니..
로리매냐
06/01/05 21:45
수정 아이콘
그러는게 의견 모으기는 좋을듯...^^;
헤르세
06/01/05 21:45
수정 아이콘
전에는 별명을 만들어야 했었는데
이젠 너무나 멋진 별명들 사이에서 무엇을 골라야 할지가 고민되네요~^^;
마에스트로도 멋집니다 :-)
WizarD_SlyaeR
06/01/05 21:46
수정 아이콘
마재윤 별명예기는 Poll & Broadcasting 게시판에서 따로 했음좋겠네요.
하이메
06/01/05 21:46
수정 아이콘
괜찮은것 같은데 좀 길지 않나요?
카이레스
06/01/05 21:47
수정 아이콘
딴지같지만....우주배때의 박태민이 아니라 당골왕때의 박태민 같습니다^^;
워크초짜
06/01/05 21:47
수정 아이콘
운영의 마술사라는 박태민 선수의 별명도 긴데요 ^^
저그의 마에스트로같은 별명도 좋을 듯 싶네요...
전용준 캐스터가 소개 할 때

"저그의 마에스트로 마재윤이에요! 누가 이겨요?"
이러면 좋을 듯 ^^
WordLife
06/01/05 21:48
수정 아이콘
"운영의 마술사"도 있는데요? 그것보단 짧죠. ^_^;;

평소엔 "마에스트로"로 쓰고 한자로 쓸땐 "지휘자"가 좋겠네요.
Flyagain
06/01/05 21:49
수정 아이콘
마신....읔..
BeAmbitious
06/01/05 21:57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 너무 좋네요.
버관위_You.Sin.Yo
06/01/05 22:14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 좋네요;; 그래도 패왕 고집하고 싶다는;;
안티벌쳐
06/01/05 22:34
수정 아이콘
마엘스트롬...;;
세츠나
06/01/05 23:28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 = 마스터. 거의 같은 말입니다. 어원도 같고요. 결국 저그마스터 라는 말이네요...-ㅅ-a
06/01/05 23:29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
엠겜에서 게이머A~Z할때 마에스트로에 이재훈 선수가 들어갔던 걸로 아는데...

경기력 자체만 본다면 충분히 저그의 마에스트로라고 생각하지만, 엠겜 1회 우승이라는 연륜이 조금은 주저하게 합니다.

마에스트로 그러면 이미 명작을 많이 만들어낸 그야말로 거장에게 헌사하는 명칭같게 느껴지니까요.
잘난천재
06/01/05 23:37
수정 아이콘
그냥 지휘자라는 별명도 나쁘지 않은것 같은데요?
저그 군단의 지휘자.;;
몽키매직
06/01/06 00:11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는 이탈리아어로 알고 있고, 영어의 마스터에 해당하는 단어죠. 전 무조건 마신입니다. 마신마신마신. 마재윤 선수 이렇게 잘하는데 '신'의 반열에 !!
오픈엔드
06/01/06 01:02
수정 아이콘
몽키매직님 말대로 마에스트로가 영어의 마스터와
같은 뜻은 가지고 있다면
"저그 마스터"도 괜찮은것 같네요.
어감도 붙고..
김홍석
06/01/06 11:44
수정 아이콘
마에스트로도 멋있고 좋지만, 왠지 올해는 머신-투신-사신에 밀려 마신으로 갈 가능성이...
전 개인적으로 글쓰신분의 생각처럼 모든 쟝르를 다 섭렵하고 상황에 따라 완벽히 소화해낸다는 모습에서 또 데뷔이후 군계일학의 경기내용을 볼때, 왠지 이윤열선수의 데뷔시절을 보는듯 합니다. 경기 스타일도 종족은 다르지만 많이 닮아 있구요. 그래서 천재 저그로 부르고 싶습니다.
sway with me
06/01/06 15:55
수정 아이콘
오픈엔드님//안됩니다!! 마스터저그는 변은종 선수에게 줘야 한단 말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060 상대에게 당하는 에이스라면 없는게 낫다 [18] 해맏사내4877 06/01/13 4877 0
20059 KTF팬 으로서 바라는 우승.. [6] 기다림..4084 06/01/13 4084 0
20057 지(랄) 2 [7] Ace of Base3968 06/01/13 3968 0
20056 하고 싶은 일, 해야 하는 일. [4] 이뿌니사과3131 06/01/13 3131 0
20055 연대책임이라는 것... [9] EX_SilnetKilleR4246 06/01/13 4246 0
20054 '아! 정말 게임할맛나네' 가 들릴 때 까지. [5] kamille_3904 06/01/13 3904 0
20052 이번 사태의 최대 피해자. [44] Ace of Base5577 06/01/13 5577 0
20051 KTF는 변해야 한다... [14] paramita3755 06/01/12 3755 0
20049 이제 감독이 책임져라!! [24] hornartist4123 06/01/12 4123 0
20048 어린 소년 - 20060112 [5] 간지다오!3874 06/01/12 3874 0
20047 선수이적관련문제에 대한 제 생각.. [1] 황야의신뇌4118 06/01/12 4118 0
20046 이번 강간사건에 관한 첨언 [152] 7106 06/01/12 7106 0
20044 맵에대한 몇까지 상념.. [7] suzumiya3708 06/01/12 3708 0
20043 과연 광명으로 가는자는 누구인가? [10] SKY923710 06/01/12 3710 0
20042 T1팬 여러분 같이 불러 보시렵니까~ [25] 마녀메딕3826 06/01/12 3826 0
20041 초허탈...방금 전 1시간동안 쓴글이 날라갔습니다-_ - [18] ☆FlyingMarine☆3722 06/01/12 3722 0
20039 더마린, 그는 죽지 않는다. [3] 타잔3806 06/01/12 3806 0
20038 넘을 수 없는 벽... [17] 한인4610 06/01/12 4610 0
20037 너무나도 감동적인 만화 2권 [16] 닭템4224 06/01/12 4224 0
20030 살아남기 위해 플레이 스타일을 바꿔야하는가? [11] 키르히아이스3762 06/01/12 3762 0
20029 정수영 감독과 주훈 감독의 차이 [47] 닭템6768 06/01/12 6768 0
20027 오늘 정말 이상한 일이 있었습니다..... [22] 사이코아콘3626 06/01/12 3626 0
20026 엔트리를 잘 짠다? 못 짠다? [25] Still4160 06/01/12 416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