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2/12 12:26:01
Name MurDerer
Subject 초반 일꾼가르기에 관해서.....
스타를 처음 시작하면 스타팅 건물과 일꾼 4마리가 나옵니다...
저는 스타를 처음 시작할때는, 그냥 한곳에 다 찍어놓고 저절로 나눠질때까지 기다렸습니다.
하지만,  차차 스타를 계속하게되면서 일꾼을 가르기 시작했고, 지금은 그냥 보통사람들이 하는 정도로 일꾼을  가를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말하길,  프로토스의 일꾼, 즉 프로브가 가장 일꾼가르기가 어렵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것을 말할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과연 일꾼가르기를 하면 승패에 연관이 되냐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실제로 초반에 일꾼가르기가 잘된다면 4일꾼이 거의 동시에 자원을 채취하고 오게 됩니다.
그리고 약간 미스가 난다면 2명의 일꾼들이 각각 미네랄을 들고 오게 됩니다.
또, 정말로 미스가 난다면 아마도 많은 일꾼들의 상황이 연출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저의 경험으로 예를 들자면 미네랄뒤로 가서 채취하는 놈들도 있었고, 두명을 못갈르는 경우도 있었고, 미네랄을 넘나들며 해매고 있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가 승패를 좌울할까요..?
물론, 이 일꾼들때문에 자신이 생각해왔던 전략이나 테크트리가 이상한쪽으로 흘러갈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 제가 상대를 이겼을때, 상대가 일꾼가르기를 잘못해서 졌다는 핑계를 정말로 듣지 못했습니다.  
일꾼가르기를 잘해서 이겼다는 소리는 더더욱 못들었구요..  
저번 About Starcraft 2기에서 임성춘 해설이 하시는 말이, 초반에 일꾼을 못가르면 게임하기가 싫어진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승원 해설위원이 덧붙여서 말씀하시길, 로템에서 6시는 일꾼가르기가 하기가 더 힘들다. 그리고 자신의 경험으로 볼때 스타팅건물 바로 밑에 튀어나온 미네랄을 기준으로 가르기를 하면 더 잘나눠 진다는 소리였습니다.
여기서 잠깐, 일꾼가르기를 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
먼저 자신의 컨트롤로 가르기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4기를 동시에 한 미네랄에 클릭을 하고 2기를 다른곳, 그리고 한기 한기를 다른곳에 배치하는 방법, 그리고 Shift 키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방법으로 가르기를 하던간에  초반에 가르기를 잘하게 되면 좀더 기분이 좋게?  게임을 할수있습니다.
아.. 제가 필력이 딸리는 관계로, 이상한 쪽으로 글을 썼군요..
다시 넘어와서, 저의 생각은 이 것은 별로 크게 상관이 없는 것 같습니다.
혹시, 일꾼들을 All Stop 을 눌르면 약간 하는데 지장이 있을수도 있겠습니다만, 초반에 일꾼가르기는 초반에 자신의 컨디션이 어느 정도인지 테스트해볼수 있는 정도밖에 안된다는 것의 저의 생각입니다.  
그러니, pgr 회원분들도 스타를 할때, 일꾼가르기가 잘안됐다고 해서, 화를 내시는 듯의 행동을 하지 말아주시면 좋겠습니다.^^  (제 친구가 그러더군요...)
글을 다 쓰고 보니, 제가 봐도 글이 이상하군요..    그냥 너그럽게 봐주세요..;; ^^


뱀다리1: 변은종선수 이번 OSL 개인적으로 기대됩니다..  꼭 4강 올라가시길..
뱀다리2: 임성춘선수가 게임을 하면서 욕을 많이 했다고 하더군요..  어제 G피플 재방을 보고 하는 말입니다...  ^^;
뱀다리3: 최인규선수의 부활을 꿈꾸며.....  (박성준 선수도 홧팅요! ^^*)

                                                                                     By. MurDerer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세인트리버
04/02/12 12:29
수정 아이콘
저는 시프트 키를 이용합니다만..
일꾼가르기 제대로 안되면 쬐금 기분이 안좋아지긴 하죠.
그렇다고 그게 크게 대세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요..^^
로템기준으로는 12시가 동선이 길어서인지 제일 잘 되는듯 하네요
꿈꾸는리버
04/02/12 12:31
수정 아이콘
기분문제이기도 하고.. 초반에 일꾼 잘못 가르면 미세하게 빌드에 오차가 생깁니다... 보통의 경우 7.5프로브에 파일런이 딱 지어져야 하는데 7.9프로브정도 까지 미네랄 100이 안 모인다거나...
기본적으로 3기정도는 제대로 채취하도록 나눠줘야 한다고 생각하는데요, 프로브들이 7번 미네랄을 물고오면 6번째 일꾼을 예약 할 수 있기 때문에 말이죠
04/02/12 12:34
수정 아이콘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음... 아주 아주 황당한 나누기 (4기 같은 곳..) 정도가 아니면, 두 번째 SCV나올 때 쯤이면 대충 극복되지 않나 싶은데.... (극복이란 시간차가 너무 적어 무의미 해 진다는 의미 입니다. 초보의 데이터 없는 무 책임한 말 입니다.)
하지만, 정신적 데미지는 좀 있죠. 프로경기나 라이벌(꼭 이겨야 하는 상황) 에서는 좀 영향이 있을 듯 하네요. 그냥 연습 게임이라면 그렇게 까지는...
04/02/12 12:36
수정 아이콘
임성춘선수 그 '야수'와도 같은 강렬한 인상에 "와... 대단해!!!" 라고 감탄한 적이 있었죠.
04/02/12 12:38
수정 아이콘
제 경우에는 4기 모두 가를 때에도 있지만 하다보면 3기만 될 때가 부지기수 더군요. 음.. 저 같은 경우에는 게임 내내 그게 신경 쓰이진 않는 편이고 그저 초반에만 좀 그런 편이지요. 4기가 동시에 미네랄을 물고 오면 이뿌다는 ^^; 그리고 전 쉬프트와 2기 2기 1기 1기 이렇게 하지 않고 4기 모두 한 미네랄 클릭하고 3기 드래그 하고 미네랄 클릭 그다음 2기 드래그 미네랄 클릭 그리고 한기 미네랄 클릭 하는 편인데.. 쉬프드가 쉽게 보이네요@
MurDerer
04/02/12 12:40
수정 아이콘
아.. 킬러님처럼 하시는분도 있군요...
처음봤어요...^^;
산성비
04/02/12 12:45
수정 아이콘
저의 경우엔 네 마리 전부 한 미네랄을 찍고 2번째 일꾼을 다른 미네랄에 그리고 뒤에 두 일꾼 다른 미네랄을 클릭 그 후 두 마리 이동 중에 한 마리 클릭해서 다른 미네랄에 클릭합니다. 로템 8시 자리가 보내기 가장 힘들더군요 처음부터 일꾼이 제대로 나누어지지 않으면 굉장히 찝찝하죠
신건욱
04/02/12 12:50
수정 아이콘
저역시 3마리까지밖에 못가르는 일이 많은데
초반의 1,2초정도의 차이가 나긴하는데 헌터 11시 12시같은경우 저그의 9드론이나 로템 12시 2시관계에서 역시 빠른저글링같은걸 할경우에만 저같은경우엔 마린한놈이 간당간당하게 나오는 차이정도만 체감으로 느껴지지 거의 3마리와 4마리 미네랄캐게 하는 그 차이는 거의 못느끼겠더군요. 위에 조금 횡설수설이 되었는데, 그래도 4마리 각각채취하는걸 잘못하다보니 게임 시작하고 일꾼4마리를 바로 가를경우엔 심적으로 엄청나게 상쾌한 기분이 들더군요^^
맛동산
04/02/12 12:57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는 7.5파일런 프로브 정찰이 아니라 5프로브 정찰이기 때문에-_-;; 빌드가 꼬여도 전혀 신경쓰지 않습니다.-_-;; 심지어 네마리를 한덩어리에 넣고 플레이했던 적도-_-;; 물론 5프로브는 가스러쉬+매너파일런+캐논러쉬+몰래리버다크 등 다양한 역할을 하지요.
드림씨어터
04/02/12 12:58
수정 아이콘
4마리 모두 클릭한후에 한마리씩 미네랄에 찍어주면 이쁘게 각자의 덩어리로 갑니다^^; 간단하지만 이걸 실패했을경우엔 좀 이상하게 시작한다는 느낌이 지워지질않죠. 뭐물론 겜시작하고 몰입하면 이건 전혀생각도 안나지만요^^; 그리고 3마리만 동시에 캐면 다음일꾼생산에서 4마리동시에 캔것과 차이가없으니 너무 이것에 몰두하지마세요^^;
베르커드
04/02/12 13:16
수정 아이콘
저도 드림씨어터님처럼 합니다
익숙해지면 제일 빠르더군요; 첫드론 나오기도 전에 미네랄 56이 모이기도 합니다(무한맵기준)
Vegemil-180ml
04/02/12 13:27
수정 아이콘
약간 상관없는 질문인데요.. 플토를 기준으로 질문..

시작한후에 넥서스에서 프로브찍고 프로브4마리를 가르시나요 아니면

프로브4마리 보내고 넥서스에서 일꾼찍은후 가르시나요..-_-;;
비류연
04/02/12 13:33
수정 아이콘
프로브부터 찍죠.
04/02/12 13:35
수정 아이콘
G피플 다시 하나 보군요~~ 재일 재밌게 봤었는데 근데 임성춘 선수 되게 착해 보이지 않나요? ㅋㅋ^^
04/02/12 13:35
수정 아이콘
저는 시작하자마자 생산일꾼 찍으면서 4마리 나와있는 걸 미네랄에 찍고 한마리씩 딴데로 보냅니다. 쉬프트는 이상하게 손에 안익더군요. 별영향을 받거나 하지도 않지만, 왠지 잘 갈라지면 기분은 좋습니다^^
04/02/12 13:36
수정 아이콘
6시가 편한데.... 바로 밑에 미네랄이 있어서 더 빠르잖아요
04/02/12 13:41
수정 아이콘
저도 일꾼가르기 못했었는데 이제는 모든 스타팅지역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일꾼을 잘 갈랐는데도 매번 게임에 지는게 문제라면 문제겠지만요
MurDerer
04/02/12 13:52
수정 아이콘
yelban 님.. G피플 옛날재방입니다..^^;
온게임넷 VOD로 봤었죠...^^
류지훈
04/02/12 13:54
수정 아이콘
단지 무난한 빌드로 승부를 볼때엔 큰 영향이 없겠지만, 초반 타이밍을 노린 빌드를 사용하실때엔 일꾼 가르기도 분명히 한몫을 합니다. 실패할 경우 분명히 6번 일꾼 나오는 타이밍에부터 영향을 주기 시작하죠..

일꾼 가르기 이후에, 추가 일꾼을 어떤 미네랄 순으로 붙여주냐도 중요하고, (예를들어 로템 8시경우 중간 바로 아래 미네랄에 5번째 일꾼을 붙여주면, 아주 이상적으로 캐죠.. 5번을 빈 미네랄에 붙이는것보다 이득이 분명히 있습니다) 나아가 좀 오바한다면 8기의 일꾼이 각각의 미네랄에 붙어 일하고 난 이후에 9기부터의 추가 일꾼은 유심히 봐뒀다가 도착시 일꾼이 미네랄 물구 돌아오는 시점쪽의 미네랄에 찍기도 상당히 좋은데요.

이런식으로 13일꾼까지 전혀 기다리거나 작업중인 미네랄이 아닌 바로 캐오기가 성공하면 정말이지 생각보다 빠른 빌드진행이 이뤄집니다.
마린이랑러커
04/02/12 13:57
수정 아이콘
가끔 헌터같은맵에서 일꾼 가르기 잘못하면 미네랄 사이에서
버벅거리다가 갑자기 미네랄 뒷편으로 가서 갖혀버리는 경우를
종종 봤습니다.. -_-;; 이런거는 영향이 꽤 크죠. 일꾼 3기로 시작하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개인적으로 일꾼8기 이후에 생산된 일꾼이라도,
종종 비어있는 미네랄에 찍어주곤 한답니다...(정신적 여유가 있을때..-_-)
NaDa_mania
04/02/12 13:59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할때 어떤종족이건 일꾼은 3마리까지만 골고루 퍼지면 됩니다.
3마리만 잘 갈리면 나머지 한기는 비록 쉬고 있어도 일꾼이 연속으로 나오는 타이밍엔 지장이 없더군요.
꾹참고한방
04/02/12 14:18
수정 아이콘
첫 일꾼 생산 후, 4마리 드레그-한 미네랄 클릭-따로따로 3기를 다른 미네랄로... 전 이렇게 합니다.
류지훈
04/02/12 14:19
수정 아이콘
나다 매니아 님의 말씀은 5번째 일꾼생산에 영향을 안 미치기에 이후 연속적인 일꾼생산에 있어 아무 문제가 없다는 말씀이시지요? 그 부분은 절대적으로 정답입니다만.. 정확히 말하자면 테란을 예로 했을때 8 에씨비 스탑후 서플을 갈 경우 다시 9번째 일꾼 생산 타이밍에서 한 타이밍을 놓치게 되거나, 혹은 9일꾼에 이은 논스톱 일꾼 생산식 서플짓기의 경우 서플 타이밍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므로 예약되있던 일꾼 생산 타이밍이 한타이밍 느려집니다. 결과적으로 아주 작은 손해는 분명히 생긴다는 것이죠..
또 하나의 즐거
04/02/12 14:24
수정 아이콘
저는 그다지 손이 빠른게 아니라서 그런지.. 몽땅 드래그 해서 한 미네랄 클릭하고 나머지를 가르다 보면 제대로 안되더군요..
그래서 하는 방법이 한마리 먼저 미네랄로 보내고 나머지 세마리 드래그 해서 미네랄 하나 찍고 나머지 두마리 딴곳으로 보내기 합니다.
그럼 나중 세마리가 동시에 미네랄을 물고 오더라구요...
이렇게라도 하는것이 저에게는 최선이라서... ^^;
일꾼 나누기에도 손 빠르기가 필요한 것인가... -_-;
[S&F]-Lions71
04/02/12 14:31
수정 아이콘
저그의 경우엔 일꾼 가르길 못하면 거의 승패에 직결된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다 아시다시피 저그유닛은 예약 생산이 안되고 라바의 변태에 의해 생산됩니다.

테란이나 프로토스는 일꾼 한기 생산중에 미네럴이 50이 되면 일꾼생산을 예약합니다.
따라서 후속 미네럴이 약간 모자라도 일꾼이 생산되는 타이밍은 차이가 없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그는 라바가 있다면 자원되는 대로 유닛생산을 할수 있습니다.
자원이 되는대로 유닛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때문에 저그는 초반 자원 채취가 가장 빠릅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저그가 일꾼 가르기에 실패했다면 6번째드론의 생산이 늦어지고 이것은 또다시 7번째 8번째 드론의 생산시기를 늦추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테란이나 프로토스는 일꾼 가르기에 실패하여 1초의 딜레이가 생기면 러시 타이밍에 1초의 딜레이가 생깁니다.
하지만 저그는 일꾼가르기 실패로 인한 1초의 딜레이는 러시타이밍 10초의 차이를 만들어 냅니다.
일꾼 생산지연이 계속 누적되었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저그플레이어는 무조건 일꾼 4마리를 동시에 미네럴에 붙여야 합니다.

또한 저그는 일꾼을 많이 뽑을수 없기 때문에 초반 자원채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합니다.
따라서 일꾼가르기와 더불어 미네럴 중 가장 빠른 미네럴을 잘 보아두었다가 빠른 미네럴부터 붙여주는 것도 신경써 주어야 합니다.
저그 프로게이머도 의외로 이런 부분에 신경을 쓰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저그를 선택하신 분들은 필히 일꾼 가르기를 익히시길 바랍니다.
프토 of 낭만
04/02/12 14:43
수정 아이콘
흠.. 인공지능을 이용하면 4마리로 쉽게 가를 수 있습니다.
우선 ①②③④ 이렇게 프로브가 노여있다면 우선 1234번 프로브를 모두 한곳에다 찍은다음, 2번과 3번 프로브만 갈라주면 나머지 4번 프로브는 자동으로 1번 옆의 미네랄로 가게 됩니다...
이 방법은 손이 느린 사람들도 쉽게 가능합니다...^^;;
[S&F]-Lions71
04/02/12 14:48
수정 아이콘
프토 of 낭만 님// 저그의 경우엔 자동으로 옆의 미네랄로 가지 않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프로토스 테란으로 하면 일꾼이 옆 미네랄로 찾아가는 경우가 많지만 저그는 네마리 한곳에 클릭하면 네마리가 다 뭉쳐서 기다립니다.
물론 뭉치지 않을 경우도 있습니다만 어느 조건하에서 뭉치고 풀리는지 알수는 없기때문에 일일이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드론의 인공지능이 scv 프로브 보다 떨어진다는 소리도 있습니다.
찬양자
04/02/12 15:05
수정 아이콘
[S&F]-Lions71/제가 알기론 드론이 scv나 프로브보다 자동으로 옆의 미네랄로 잘 가는것으로 알고 있는데...ㅡ.ㅡ;;
뭐 제가 틀릴수도 있겠습니다만....;;
04/02/12 15:06
수정 아이콘
[S&F]-Lions71 // 일꾼이 미네럴에 도착하는 시간과 관계 있다고 생각됩니다. 추게에 있는 연우님의 인공지능 길찾기와 비슷한 로직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쉬을듯 .
4마리 모두 한개에 찍으면 옆으로 안빠지고 기다리지만.
4마리중 가운데 2마리를 빼내면 옆으로 잘 빠지더군요.
미네럴에 도착하는 시간이 차이가 많이 날수록 쉽게 분할됩니다.
( 음 드론이 더 안돼던가? 전 잘 모르겠던데요 ^^ )
04/02/12 15:20
수정 아이콘
전 커맨드에서 에스시비 찍고 그다음에 4마리를 미네랄에 붙이고 3마리를 각각 다른 미네랄로 우클릭
04/02/12 15:22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 초창기때 일꾼4기 있는거 한기씩 차례대로찍어서 미네랄 보내던데..손이 어찌나 빠른지 컴퓨턴줄 알았다는..:; 그리고 한번에 32가 모이냐.24가 모이냐에 따라..서플지으면서 딜레이없이 scv뽑을수있냐 없냐의 차이로시작해서..겜시작 5분정도 지나면 자원이 100정도 차이납니다..(고수들은 빌드가 늦더라도 일꾼생산의 조그마한 딜레이도 용납하지않더군요)
04/02/12 16:14
수정 아이콘
거의 토론에 가까운.....
흠.. 저도 킬러님처럼 일꾼 가르는데
대략.. 가르기는 자신있다는...
초보유저
04/02/12 17:02
수정 아이콘
[S&F]-Lions71 // 하나의 미네랄로 찍었을 경우 드론이 퍼질 확률이 확실히 더 높습니다. 예전에 (정말 아주 옛날입니다만) 방송에서 엄재경 님이 저그의 경우는 일꾼을 하나하나 가르지 않아도 된다고까지 말하셨던 적이 있었죠. (후에 정정하셨습니다만.)

그리고 본문에 대해서..
일꾼 가르기는 초반 게임에 결코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초반 승부를 노리는 n드론 스포닝 플레이나 센터 BBS 등의 전략에서 일꾼 하나가 채취해 오는 타이밍이 곧 적진에 도달하는 시간이고, TvT에서는 입구에 벙커가 지어지느냐 마느냐의 타이밍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네요.
하지만 3기 이상 가른다면 큰 영향은 없다는데도 동감합니다;;
NaDa_mania
04/02/12 17:02
수정 아이콘
음 그렇군요. 저는 단지 3마리만 가르면 다음 일꾼 생산에 전혀 차질이 없길래 빌드상으로 아무 차이 없는줄 알았는데 5분후에 무려 미네랄 100이 차이나네요 -_-;;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그리고 미네랄에 일꾼 가르는것은 임요환선수가 최고라고 생각;;
폭풍테란황유
04/02/12 17:16
수정 아이콘
저의 경우엔 위치별로 방법의 차이가 있는데... 미네랄이 넥서스의 위나 아래에 위치한 경우 네마리 클릭 미네랄, 오른쪽 두마리 클릭 미네랄, 한마리 클릭 미네랄, 나머지 한마리 클릭 미네랄 이런 순서구요. 좌우에 위치한 경우 네마리 한미네랄 클릭 이후 한마리씩 찍어줍니다.
그런데요... 가장 일꾼을 잘나누게 되면, 일꾼이 동시에 도착하는 일은 없지 않나요? 예를 들어 저 같은경우도 정말 잘됐다 싶은 경우엔, 넥서스와 가장 가까운미네랄에 가장 가까운 일꾼을 붙이는 식으로 순번을 매기다 보면 자연스레 4번째 일꾼은 개중 가장 먼 미네랄에서 채취를 하기 때문에 이 시간차가 발생할 것 같은데요. 처음 일꾼 3마리 까지가 6번째 일꾼의 타이밍을 결정한다 했을때, 최적의 일꾼 배분을 하면 오히려 동시에 도착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피투니
04/02/12 18:20
수정 아이콘
저도 쉬프트로 나누는데, 잘 안나눠지면 심리적 타격을 받죠-_-;
그랜드슬램
04/02/12 18:27
수정 아이콘
저는.. "먼저 4기를 동시에 한 미네랄에 클릭을 하고 2기를 다른곳, 그리고 한기 한기를 다른곳에 배치하는 방법" 이방법을 사용합니다.
가장 편하다고나 할까요.. 가끔가다가 3마리가 드래그 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땐 참 난감하죠. 저도 임성춘 해설과 같이 scv 못나누면 처음부터 말리더군요. 기분이 조금 나쁘다고나 할까..
Quartet_No.14
04/02/12 18:59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는... 네일꾼 모두 한미네랄 찍은후.. 2번째 3번째 일꾼을 한기씩 다른 미네랄에 찍어주죠.. 그럼.. 4번째 일꾼의 경우.. 첫번째 일꾼의 미네랄로 갔다가.. 스스로 비어있는 바로옆미네랄로 가더군요.. 전 주종족이 테란이라.. 초반 일꾼 나누기.. 삐긋했을경우.. 빌드가 꼬이고.. 첫 탱크 나오는 타이밍도 약간 느려지더군요..
로템에서야 별 상관없지만, 헌터같이 입구개방형 맵에서는.. 플토의 초반 서플 공격에 난감하더군요.. 동원해야하는 scv도 평소보다 많아지구요.. 그럼 당연히 멀티 타이밍도 조금씩 느려지고.. 쩝,, 암튼 일꾼 가르기 제대로 않되면.. 초반에 엄청 신경쓰이죠..
Legend0fProToss
04/02/12 20:02
수정 아이콘
한/영키가 눌러진게 심리적 타격이 젤큽니다^^
04/02/12 20:17
수정 아이콘
테란 일꾼가르기는 초반에 3기만 성공해도 별 상관없더군요.
3기가 미네랄 물고 갔다놓고 나머지 1기가 좀있다가 갔다 놓고 하면 다음번에는 50이 채워지더군요. 스타를 많이 하다보니깐 일꾼 가르기가 완전 망하지만 않으면 별 상관없던거 같아요.
BlueZealot
04/02/12 20:18
수정 아이콘
바로크토스하려고 하는데 일꾼 잘못가르면 2게이트 갑니다
04/02/12 20:24
수정 아이콘
바탕화면으로 튕길때에의 심리적 타격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_-+ 특히나 센터 싸움 할 때에나 중요한 것을 할 때에 윈도우로 튕기면 난감합니다. 저희집은 한 게임당 5분에 한 번 씩 튕기는 편이지요.
김대선
04/02/12 20:37
수정 아이콘
일꾼 가르기가 1초가 늦어진다면... 그것에 대한 피해를 어떤 분은 기하급수적인 피해라고 하시는데, 그것은 그 1초의 부족함에 대한 상대의 적절한 찌르기로 인한 손해가 있을때에 기하급수적인 손해가 있을 수는 있지만, 노터치로 빌드를 타게 될 때는 1초 의 시간적 손실만이 벌어집니다.
이것을 미네랄로 환산한다면.. 초반과 후반이 다르겠죠.
초당 미네랄을 100원씩 캐는 후반이라면 100원의 손해가 있는 거겠죠.
초당 10원씩 캐는 초반이라면 10원의 손해가 있을 것이구요.
일꾼 가르기에 실패 했다고 해서 울분을 터트릴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컨디션이 좋지 않다.. 라는 경고를 스스로에게 하게 되는 거겠죠.
마우스 질이 자신이 없으면 플레이가 자신이 없어지니까요.
김대선
04/02/12 20:42
수정 아이콘
즉.. 위에 말씀하신 분 중에 5번째 일꾼이 늦어지면 그 손해가 6.7 번째 일꾼 생산에 영향을 미쳐 플레이 가 갈수록 느려진다고 설명하시는 분이 있는데,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게임 시작 후 10초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다가 그때부터 완벽하게 일꾼 찢어서 일 시킨다고 생각 해 보십시오. 30분 후의 상황은 완벽하게 10초 만큼 손해보게 됩니다.
스타에서의 시간의 손실은 기하급수적인 영향이 아니라는게 제 설명입니다.
강민forever
04/02/12 22:20
수정 아이콘
말씀중에 Shift 키를 이용한 방법은 어떻게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S&F]-Lions71
04/02/13 00:00
수정 아이콘
테란과 프로토스를 그렇게 많이 하지는 않기때문에 드론과의 차이를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일꾼이 초반에 다 갈라지지 않을땐 저그가 입는 피해가 타종족보다 무척 크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한덩이에 둘이 모였다가 다시 나누어 지는 것도 하나에 하나씩 붙는 것보다는 비효율적이니까
역시 4마리를 동시에 네 미네럴에 붙이는 연습을 해야겠지요.
김지현
04/02/13 00:48
수정 아이콘
저도 shift 어떻게 하는건지 궁금하군요.
저는 4마리 다 하나 찍고 3마리 2마리 1마리 이렇게 하는데..
손이 느려 잘 안됩니다.ㅠㅠ
산성비
04/02/13 09:40
수정 아이콘
저기 위에 초보유저님 엄재경님이 드론은 따로 가르지 않아도 된다고 말씀하신 것은 게임큐 시절 임요환 선수와 박현준 선수와의 불칸스포지-q에서의 경기 때 임요환 선수가 드론을 하나하나 가르는 것을 보시고 드론은 저절로 갈라진다고 말씀하신 기억이 나네요...
이때 임요환 선수가 저그를 고르고 필살기를 보여주셨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54 kOs... 初心으로...( 경기결과 有 ) [17] f.m.ER3039 04/02/12 3039 0
1953 센게임배 패자조 4강 강민 대 김현진 결과로 인한 pgr21 랭킹변화 [1] 킁킁4159 04/02/12 4159 0
1952 저의 꿈은 강민, 당신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경기결과있습니다;) [14] HIYA3056 04/02/12 3056 0
1951 어느 맵핵유저의 이야기 [21] 사다드2968 04/02/12 2968 0
1950 강민 선수의 꿈을 다시 한번 봤습니다...ㅠ.ㅠ(결과있음) [54] MoreThanAir4087 04/02/12 4087 0
1942 초반 일꾼가르기에 관해서..... [48] MurDerer10521 04/02/12 10521 0
1941 최연성을 이겨라... [20] wook986634 04/02/12 6634 0
1940 LG IBM배 팀리그 특별전 건의입니다^^ [33] BLUE4845 04/02/12 4845 0
1938 [건의] 벨런스를 논함에 있어서 우리의 자세. [15] Bar Sur3019 04/02/12 3019 0
1937 2004년 프로게이머 승률랭킹(KPGA) [11] 결명자4734 04/02/12 4734 0
1933 스타리그가 재미있는 7가지 이유 [10] 59분59초4610 04/02/12 4610 0
1932 [삽질]2004년도 각 선수들의 전적 [11] 킁킁3485 04/02/12 3485 0
1929 E-Sports를 위한 제안 - #외전, 포텐셜 넘치는 E-Sports 시장 [12] 막군3295 04/02/12 3295 0
1928 제4의 종족 랜덤에 관한 재미난 통계와 전적 [19] Altair~★5531 04/02/12 5531 0
1926 사람들의무지가경제를망친다.(조류독감에대한소고) [43] 마린그런트조3046 04/02/12 3046 0
1925 잡담과 배넷에서 지켰으면 하는 것들.. [38] 킬러3020 04/02/11 3020 0
1924 미연시 좋아하세요? [47] Reason-8017 04/02/11 8017 0
1922 토요일 재경기 프리뷰 [15] Je Taime theskytours3801 04/02/11 3801 0
1921 Lasgos가 만든 맵핵 탐지 프로그램 [24] lovehis8227 04/02/11 8227 0
1920 APM에 대해서.. [53] 타워팰리스6040 04/02/11 6040 0
1919 태극기 휘날리며와 스타크레프트 [22] 파르네제2949 04/02/11 2949 0
1918 나는 오늘도 홍차사러 인도에 간다(2) [14] 무당스톰~*3051 04/02/11 3051 0
1917 [잡담]아침형 인간... [23] 저그맨3222 04/02/11 322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