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2/08 21:15:20
Name J.D
Subject 대기업들이 스폰서를 할수 있을까요?
기사에 기업들 홍보효과 4배라는 기사를 읽고 몇자 적습니다.

여러분들은 아직도 대기업의 스폰서를 기대하고  있습니까? 저도 기대하고 있습니다만...

힘들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로 무스폰서 게임단들이 조금은 눈을 낮추어야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GO만 생각하면 목이 메입니다.....ㅜ,ㅜ)

이제는 조금 냉정하게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전에 임요환선수가 시장에 나왔던 때에는 모든 기업들이 한번쯤은 고려해보았을 것입니다.

임요환선수의 E-SPORTS의 파급효과는 다른 게이머들과는 한단계 아니 두단계 위라고 봐도 무난할정도 입니다.

임요환 그 자체만 보더라도 한 게임단 이상의 홍보효과가 있지요.

그래서 그 당시에 야후에서 지원을 한다, SK에서 지원을 한다등 많은 루머들이 나왔습니다.

결과는 최고의 조건으로 모든 선수들이 연봉제와 함께 최고의 환경에서의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만약 SK에서 최연성 선수와 박용욱선수만을 가지고는 스폰서를 하지는 않았을것입니다.

(물론 최연성선수나 박용욱선수의 당시 기량은 최고였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이제는 대기업 스폰은 조금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얼마전 조규남감독님의 말씀처럼 이제는 방송사와 게임단이 서로 스폰을 얻는 경쟁관계에 있을때 지속적으로 게임단에 투자를 하기보다는

방송사와 계약을 하는쪽이 더 홍보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꽤 보수적이라고 알려져있는 금융권에서도 스타리그 스폰서가 되었지만

신한은행이든 어느 금융권이든 게임단 스폰은 절대 하지 않을것입니다.

금융권 굉장히 보수적입니다.

많은 분들이 원하는 LG는 이제 스폰서의 관점에서 슬슬 접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소위 말하는 4대천왕을 보유한 팀이 아닌이상에야 스폰서를 잡기가 힘들지 않을까요?

하지만, 지금은 다들 대기업스폰을 받고 있지요. 더군다나 그들은 다들 스럼프아닌 슬럼프를 겪고 있습니다.

그럼 신 4대천왕의 스폰서라하면

최연성(SKT) 강민(KTF) 박태민(SKT)  박성준(POS스폰없음)

이런식인데 3명은 대기업소속이고 박성준선수의 활약으로 인하여 POS는 이고시스의 스폰을 얻었지만 중소기업이었습니다.

그나마 지금은 철수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운 팀이 GO인데 슈마가 부도가 나지 않았더라면 좀더 좋은 환경에서 게임할수 있었을텐데라는 생각을 버릴수가 없습니다.

강민선수 박태민선수가 지금 GO에 있었더라면....정말 아쉽습니다.

정말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임요환선수가 시장에 나오지 않는이상 대기업스폰서는 조금 힘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P.S  당장 3개월 후에라도 제 글을 욕하며

" 봐라!! 지금 GO는 어디 스폰서를 얻었다. POS는 어디 스폰서를 얻었다라는 글을 보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타워즈
05/12/08 21:19
수정 아이콘
GO...
솔직히 GO에는 이윤열선수나 임요환선수의 이상,혹은 비슷한 영향력&인기를 가진선수가 없죠
팬택이나 SK텔레콤을 스폰으로 잡은건 이윤열선수와 임요환선수의 공이 큰데.. GO에는 그런선수가 없죠..
05/12/08 21:24
수정 아이콘
GO, 우승자 3명을 보유하고 있는 팀인데
비스폰이라는게 참...
카르타고
05/12/08 21:25
수정 아이콘
이럴떄 생각나는것은 파워콤 ㅡ.ㅡ;;
pos가 이번후기리그 좋은성적내면 파워콤은 소위 새된거죠
People's elbow
05/12/08 21:26
수정 아이콘
서지훈....
scv의 힘!!
05/12/08 21:30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가 우승 한번 해주면 될텐데말이죠..외모도 그만하면 출중한 편이기에 소녀 팬들도 꽤나 많은 편이고...참 '꾸준히'는 하는데 '월등히'는 못하는게 아쉽네요. 뭐라해야할까...흐음.

그냥 아쉬워요..GO보면.
아테나
05/12/08 21:30
수정 아이콘
파워콤 나빠요. 엘지 나빠요 ㅠㅠ 낚지나 말든가 얼마나 기대했는데 말입니다..빨리 모든 선수들이 좋은 환경에서 게임할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My name is J
05/12/08 21:33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의 우승은 GO에게도 꼭 필요한 일이죠....에구....
Sulla-Felix
05/12/08 21:39
수정 아이콘
인기순으로는 4대천왕 다음이
강민, 최연성, 서지훈인데..
서지훈선수 정도만 봐도 대기업이 후원하기는 껄끄럽죠.
4대천왕의 절반 수준이니....(인기 말입니다, 인기.)
차라리 서지수 선수가 메이저에 올라오면 소울이 스폰서 잡을 확률이 높을 듯..
유신영
05/12/08 21:46
수정 아이콘
허허.. 이야기만 하면 아쉽네요. 팬으로서 좀 더 노력할 수 있는 건 없을까요?
05/12/09 02:15
수정 아이콘
대기업이 필요한건
이윤열이나 임요환 선수와 같은 인기도 및 영향력을 가진 스타급 선수입니다.
GO에 서지훈 선수가 있긴 하지만...대기업 입장에서는 경우에 따라 약간 갸우뚱할 수 있는...애매하지않나요
구글신
05/12/09 04:28
수정 아이콘
이런 글 볼때마다 아무리 경우의 수를 다 따져봐도 결론은 팀 통폐합쪽을 생각하게 되버립니다. SKT 나 KTF 에 버금가는 팀이 있다면, 스폰서가 안들어 올리가 없죠.
중년의 럴커
05/12/09 09:37
수정 아이콘
대기업의 스폰서를 얻기 위해서는 팀 이미지를 개선해 나가야 할 것 같습니다. GO의 경우 검은색 유니폼이나 선수들의 무표정함 등이 언더그라운드, 쿨, 도전, 냉철함, 차가움 같은 이미지를 개인적으로 느끼는데 대기업의 경우에는 이러한 이미지가 기업의 이미지에 플러스 효과만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쉽습니다. 차라리 도전적인 중소기업이라면 모르겠지만요. 대기업 마케팅 팀이 자체 평가를 엄밀히 내릴 때 이런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니까요. GO 팀의 이미지가 밝고 화기애애하고 끈기있고 강한 것이었다면 대기업 스폰서가 좀 더 쉽게 붙지 않았을까요?
05/12/09 09:49
수정 아이콘
꼭 대기업 스폰만 붙어야 할 필요는 없을 듯싶은데요? 솔직히 전 애당초 LG에 대한 기대는 하지도 않았습니다. LG 내부 사정도 있고, 스폰서 제의가 여러 번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아무런 행동이 없다면 할 의사가 없는 것일 테니까요.
어차피 타스포츠보다는 팀 운용비가 적게 드는 것이 이 판입니다. 투자할 여력이 있고 적절한 효과를 볼 수 있다면, 그 정도 선에서 스폰서를 하거나 받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대기업만 스폰할 수 있다, 라는 것을 벗어나 여건만 된다면 중소기업도 스폰할 수 있다, 라는 걸 보여주는 것이 e-스포츠 아닐까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9100 한국의 16강 가능성 [73] 군의관4035 05/12/11 4035 0
19099 (생활글)언론으로 흥 한자 언론으로 망 한다 [61] 순수나라4463 05/12/11 4463 0
19096 '팀리그'가 부활할수도 있다는군요. [94] 리콜한방6183 05/12/11 6183 0
19094 kbs대토론을 보고... [7] 내안에그무엇~3747 05/12/11 3747 0
19091 자자 다들 감정적인 논쟁은 그만하시고~ 이쯤에서 노래한곡 들어볼까요? [13] KilleR4175 05/12/11 4175 0
19090 스타크레프트의 기호학적 고찰 [6] legperde4117 05/12/11 4117 0
19086 온게임넷 이번 사건 사실확인과 방송이나홈피에 공식입장부탁드립니다. [264] 사나9168 05/12/11 9168 0
19083 최연성에 대한 비난을 즐길 수 있는 최연성팬이 되는 건 어떨까요? [103] 김호철4745 05/12/11 4745 0
19082 다들 보고 계시나요? [5] Timeless4436 05/12/11 4436 0
19081 여러분도 이천수 선수를 싫어 하십니까? [41] 히또끼리5122 05/12/11 5122 0
19080 다음 아고라에 재미있는 글이 올라왔네요. [12] newromancer3880 05/12/11 3880 0
19079 황우석 교수 사건의 반전 시점에서 경계하고 싶은 것. [8] 네로울프4566 05/12/11 4566 0
19078 요즈음에 느낀 바와 문제의식(황교수님 약간 관련..지겨우신 분들은 보시지 마세요) [66] Nada-inPQ4343 05/12/11 4343 0
19077 2002년 월드컵 한국 경기에서 나온 골 중에 어떤 선수가 나온 골이 가장 멋있었나요?? [44] 한방인생!!!3977 05/12/10 3977 0
19076 방패....Shield, 그리고 TheMarine [13] ☆FlyingMarine☆4102 05/12/10 4102 0
19074 [건의]MBC 게임 리그 방식에 관하여 [50] 소주4474 05/12/10 4474 0
19073 안녕하세요!!!!!!!!*^^* [15] Yourfragrance..4117 05/12/10 4117 0
19069 [Zealot] 말은 어떻게 쓰이냐에 따라서... [4] Zealot4073 05/12/10 4073 0
19068 추억의 경기(5)-TG 삼보 2003 MBC게임 스타리그 결승전 3경기 홍진호 VS 최연성 [37] SKY925309 05/12/10 5309 0
19066 자신의 본분과 뜻을 굽히지 않는 사람이 진정한 위인.. [83] 짱가4537 05/12/10 4537 0
19065 황우석 박사님. 박사님은 지금 병원에 누워있어야할 처지가 아닙니다. [39] 스팀먹은마린5447 05/12/10 5447 0
19063 불과 한달동안 정말 많이 변했네요.. [11] KuTaR조군4101 05/12/10 4101 0
19062 T1에 이적한다던 중국선수들.. 도대체 어떻게되길래 [15] 카오루7137 05/12/10 713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