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2/10 19:39:49
Name 환타
Subject 챌린지리그 (2/10, 내용 有)
와 재미있군요,

그저께 까지만 해도 챌린지 리그는 까먹고 mbc 팀리그가 안한다는 사실에만 우울해 하
고 있었습니다.(챌린지는 보통 재방송으로 보고 있었거든요^^;)

현재 2경기가 끝난 상태인데..

최연성vs이병민..

  그 둘의 대결치고는 너무 허무한 감이 있긴했지만, 이병민선수의 대처가 좋군요.
  다만 최연성선수가, 너무 필살기성으로 투베럭 날리기를 한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듭니다. 차라리 양끝쪽으로 날려서 하나정도는 감춰질 수 있는 확률을 좀 높여봤으
  면 어떨까 생각을 하는데..말입니다(그 외에도 결과론적이지만 화벳 2~3기 정도는
  낭비한 감이 있군요.)  이병민 선수의 '성동격서' 식의 드랍쉽플레이가 빛났던 듯
  합니다.

변길섭vs서지훈..
  
  변길섭선수의 4골리앗 드랍플레이에 서지훈 선수가 말려버린 느낌이 들더군요.
  골리앗을 날려서 앞마당 커멘드를 짓는 scv를 잡았을 땐 '나도 안먹을 테니 너도 먹지
  마!' 하시는 것 같더군요^^(..물론 그 이후 엄청 먹었지만-.-;;) 서지훈 선수도 다음 경
  기를 생각해서인지, 무리를 하지 않은 감이 있군요.

  (사담이지만, 변길섭선수가 시즈 풀고 진격할 땐 무섭습니다. 최근은 아니지만, 무리하
  게 진격하다가 병력이 말린 걸 꽤 봤거든요^^; 그래서 말릴까봐 두렵습니다^^)
  
다음경기는 제가 가장 기대하던 전상욱vs이재훈 선수 경기군요. 사실 이 경기는 오늘
유일한-.- TvsP전이라서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금 보시는 분들 즐겁게 보시길 바랍니다^^/

ps (추가)

이재훈vs전상욱
  
   머랄까..초반 스카웃도 괜찮았고, 멀티에 다크드랍도 좋았는데..ㅠㅠ 물량싸움에서
  허무하게 져버렸군요-.- 전상욱 선수의 기세가 무섭네요. 이재훈 선수 무언가 vs T
  전에서 예전만한 실력을 확실히 못보여주고 있네요. 분명 유리한 국면이였는데 말
  입니다.

  차라리, 초반 스카웃을 하면서 포지도 건설해서 본진방어를 하고 나오는 드래군은
  올려보낸게 낫지 않았을까요. 아쉽네요..(전상욱 선수의 오늘컨디션을 보니 5차전
  vs 최연성 전이 기대됩니다+ㅁ+)    

  
서지훈vs이병민

  서로 배를 짼 경기군요^^ 다만, 이병민선수가 피해가 좀 더 컸다는 생각이
  듭니다. 서지훈선수가 벌쳐로 밀줄 알았는데, 의외로 같은 방법으로 당하
  더군요^^;

  드랍쉽을 빈 드랍쉽을 사용할 줄이야..멋지군요-_-)b

  서지훈 선수의 전법이 좋았다는 느낌입니다. 막판의 탱크컨트롤도 좋았구요.
 
최연성vs전상욱

  1주차 히어로는 전상욱 선수가 되버렸군요. (전상욱 선수가 졌으면 빈드랍쉽
  의 서지훈 선수라고 생각을 했는데요^^)

  최연성이 2연패를 하는 건 처음 보는 거 같습니다-.-;;

  전상욱선수, 확실히 분석을 하고 온 듯 합니다. 투 멀티도 간파했고 멀티 타이
  밍도 좋고 흠잡을 때가 없는 경기였던 듯합니다.

  최연성 선수는 해설진 분들의 말대로, 약간 의문이 드는 플레이를 했다는 생각
  이 들더군요. 좀 이도저도 아닌 플레이...

3주차 중에서의 1주차가 끝났을 뿐입니다만, 흥미진진하군요^^


幻打, 두번째, 04년2월10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우거
04/02/10 19:46
수정 아이콘
챌린지리그!!! 갈수록 흥미롭습니다.
Qoo)BlazE 변길섭 화이팅!!!!
오옷....3경기가 시작하려 하는군요....후다다다닥!!!!
높이날자~!!
04/02/10 20:07
수정 아이콘
이재훈선수 졌군요 -_-a
04/02/10 20:09
수정 아이콘
대략 3경기 연속으로 제가 응원하는 선수들이 패하고 있습니다. -_-;;;
04/02/10 20:10
수정 아이콘
저는 현재 2명..오늘은 제 감이 나쁘지 않군요(...)
04/02/10 20:15
수정 아이콘
전 한명 맞췄습니다 ^^
남은 두경기 예상
이병민 vs 서지훈 - 서지훈 승
최연성 vs 전상욱 - 전상욱 승

전상욱 선수 화이팅 -_-)//
미리내
04/02/10 20:18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 오늘 심상치 않습니다. 5경기 최연성 선수를 잡는다면...1위 결정전 1주차의 히어로는 예상 외로 전상욱 선수가 될 수도 있겠군요.
04/02/10 20:26
수정 아이콘
오오... 두번째 맞췄군요 ^^
이제 제가 올인하고 있는 5번째 경기 시작하네요.
다시한번 기원하는 전상욱선수의 승리~ -_-b
(아, 복권이라면 배당률이 엄청날지도? ^^)
세인트리버
04/02/10 20:27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 대 이병민 선수..
서지훈 선수의 전략이 엄청나게 멋졌습니다.
드랍십으로 인한 성동격서의 절정이네요. 이로서 서지훈, 이병민 선수는 1승1패로군요..
저그맨
04/02/10 20:27
수정 아이콘
이병민vs최연성-이병민승
서지훈vs변길섭-변길섭승
이재훈vs전상욱-전상욱승
서지훈vs이병민-서지훈승
현재까지 2승이 아무도 없는..
최연성선수가 5경기를 이긴다면 챌린지1위는 안개속~
갈수록 재밌네요
04/02/10 20:31
수정 아이콘
첫주부터 그야말로 흥미진진합니다^^
사일런트Baby
04/02/10 20:33
수정 아이콘
챌린져리그 하니깐 약간 어감이 웃긴건 저뿐인가요?;;
드림씨어터
04/02/10 20:33
수정 아이콘
와 빈드랍쉽..앞으로 써먹어야겠네요. 임요환의 드랍쉽에 너무 휘둘리다보니 빈드랍쉽일꺼라는 생각을 못했는데 정말 대박이네요. 이제 테테전에서 드랍쉽을 보면 무작정 병력빼기도 뭐하고 안빼자니 또 뭐하고 참 난감하네요. 더더욱 어려워지는 스타크레프트네요. 더이상 발전할게없어보여도 점점 새로운것이 나오는것에 재미있네요. 빈드랍쉽을 최연성선수가 먼저 선보였던거같은데 그때는 그렇게 잘통하지 않았던걸로 생각하는데 지금의 서지훈선수는 정말 대박이였네요. 최신유행빌드인가... 뛰는 x위에 나는x있다라는 치어풀이 정확한듯하네요.
04/02/10 20:48
수정 아이콘
제가 제대로 본게 맞나요.. 최연성선수가 2패를..
믿기지가 않는군요;;
04/02/10 20:48
수정 아이콘
3경기 맞았군요 ^^v
역시 전상욱 선수, 제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네요 ^^
참고로 제 예상이였습니다.
1경기 : 최연성선수 승(예측 빗나감)
2경기 : 서지훈선수 승(예측 빗나감)
3경기 : 전상욱선수 승(예측 적중)
4경기 : 서지훈선수 승(예측 적중)
5경기 : 전상욱선수 승(예측 적중)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김경훈
04/02/10 20:48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 ㅈ어말 잫하네요... 매카닉테란의 진정한 신흥강자네요.....
세인트리버
04/02/10 20:48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 2연승으로 치고 올라가는군요..
최연성 선수는 사실상 1위가 어려워지게 되었고요.(자력으로는 힘들죠)
가장 스포트라이트를 받지 못하던 선수였던 전상욱 선수, 별렀다는 듯이 멋진 플레이를 선보이는군요.
04/02/10 20:51
수정 아이콘
4경기 한경기 맞췄군요..-_-;;;
전상욱 선수 참 잘하네요..^^乃
최연성 선수 좀 더 열심히 해주세요..>_<//
순수수정
04/02/10 20:51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최연성선수 2연패라니 그 동안 쌓아왔던 승률이 많이 내려가겠군요 ㅡㅡ;
비류연
04/02/10 20:51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 컨트롤이 장난이 아니네요.
뷰티메모리
04/02/10 20:52
수정 아이콘
이제 제4의 종족 밸런스파괴범 이런 근거없는 이야기는 쏙들어가겠군요 그래서 기쁩니다.
낭만다크
04/02/10 20:53
수정 아이콘
역시『온게임넷』은 뭐가 달라도 다르군요..
The Killer
04/02/10 20:54
수정 아이콘
웬지 저도 온게임넷에선 최연성 선수의 페이스가 쫌 떨어질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아직 2경기지만 이런 차이가 어디서 나오는걸까요?
04/02/10 20:54
수정 아이콘
충격이였던게 .. 최연성선수였습니다. 오늘 마음고생 심하겠네요 ~ 최연성선수 ! 힘내세요 ~
04/02/10 20:54
수정 아이콘
오늘 최연성선수 2패 일단 충격.
변길섭선수의 서지훈선수 강X --;; .. 또 충격.
이재훈선수의 한량모드ON 역시 충격.
서지훈선수의 4경기 정말 멋있는 전략플레이와 테크닉. 진짜 충격.
전상욱선수의 예상치못한 2승... 가장 충격!!

충격적인 하루...
라꾸라꾸
04/02/10 20:54
수정 아이콘
Altair~★ 님 0% 적중률 ^^ 빵 사주세여
04/02/10 20:56
수정 아이콘
이재훈 선수는 방송에서는 왠지 자신의 스타일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포유팬으로서 안타까워요 ㅠ_ㅠ
不꽃미남
04/02/10 20:57
수정 아이콘
뷰티메모리님..
이야기는 계속 유지되고.. 전상욱선수가 그 종족에 가입하는게 아닐까 싶네요..헐~
높이날자~!!
04/02/10 20:58
수정 아이콘
알테어님의 적중률 0%;;;

이제 누굴 믿어야 하는지 T.T
detector
04/02/10 20:59
수정 아이콘
마치 이윤열 선수가 MBC game에서 연전연승하며 우승할 때,
온게임넷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던 것과 유사해 보이는 군요.
1차전을 보고 프리미어리그 결승 2차전 'enter the dragon'에서 임선수가 했던 BBS가 떠오른 건 저 뿐이 아니겠죠?
최연성 선수의 승리를 예상하고 회사에서 부리나케 퇴근했는 데 괜히 머쓱해 지네요
04/02/10 20:59
수정 아이콘
세상은 넓고 고수는 많고 아직 온강호넷을 평정할 인재들은 넘친다는걸 느끼는군요.
04/02/10 20:59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의 2패는 경악이었습니다.최근페이스로는 그누구에게도 질것 같지 않았던 (심지어 이윤열 선수보다도) 그의 패배를 받아들이기가 너무 힘들군요
마술사
04/02/10 21:00
수정 아이콘
첼린져리그 하니깐 왠지 탱크가 생각나는군요....첼린져 탱크..;;
04/02/10 21:00
수정 아이콘
RouGh님 말씀에 동의하면서,

오늘 응원/예상한 선수가 무려 4명이나 맞는 적중률을 기록했군요(얼마
만인지 크흑) 최연승( ..)선수가 오늘 2연패나 할 줄은 몰랐군요.

다음 주의 vs이재훈 전이 정말 빅매치군요 기대됩니다+ㅁ+
(이재훈 선수는 최연성 선수를 이기면 vs T전 최근 부진이라는 소릴
많이 덜 수 있을 텐데..두 선수 모두에게 물러설수 없는 기회이자 한판
이 되겠군요)
카이레스
04/02/10 21:01
수정 아이콘
요새 이재훈 선수 테테전 스페셜리스트라는 이름에 너무 못미치시는듯....힘내세요 홧팅! 전상욱 선수 멋지네요^^
블루스카이
04/02/10 21:01
수정 아이콘
하핫...가장 주목을 받지 못했던 전상욱선수......혼자 2승을 거두네요.정말 재밌습니다^^
04/02/10 21:03
수정 아이콘
아앗..오타를 냈었군요

Challenger League가 되버렸었군요^^;; ...올라온 선수들 챌린져..가
아니죠^^;; 수정했습니다
군대로 날라
04/02/10 21:05
수정 아이콘
맵에 따라 틀리긴 하군요~-_-;이재훈선수험난한 여정이 시작될듯;
hardcore_z
04/02/10 21:05
수정 아이콘
정말 오늘은 놀라움의 연속이며..응원한선수가 이긴경기는 단 한경기밖에 나오지 않은 우울한 날입니다^^;어쨋든 전상욱선수는 정말 대단하더군요..
arkride님//괜히 태클걸어 죄송합니다만...몇일전에 산넘어배추님께서 글도 올리셨는데요..x로 표기를 했다 하더라도 누가 봐도 알수 있는말인것 같은데요..굳이 그런표현을 사용하시지 않아도 될듯 합니다만...조금 자제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그럼 좋은 하루 보내십시요~^^
04/02/10 21:06
수정 아이콘
이런 예측할 수 없는 맛에 스타리그를 사랑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전 오늘 길섭선수가 이겨서 너무 기쁩니다^_^
더불어 최연성 선수의 2패는 경악..;
확실히 온게임넷은 뭔가 다른가 보군요-.- 우승자 징크스라는 것도 온게임넷 만의 뭔가 다른 것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닐런지?
최연성 선수도 사람은 사람이었어요.
아자아자 길자선수 이대로 시드 받는거에요요오오-!!(근데 다음주에 길자선수 완전 괴물에게 둘러 쌓이셨다는..;)
The Killer
04/02/10 21:07
수정 아이콘
카이레스님// 테테전이 아니라 대테란전..;;
저도 이재훈 선수가 좋은 모습 보여줬으면 좋겠네요~
04/02/10 21:08
수정 아이콘
역시 섬맵에서는 헐크모드가 안 되니....최연성 선수가 요즘 PGR의 글을 읽어 보고 져준게 아닐까요? 더이상 밸런스 이야기를 못 하게 할려고...
^^* 노태우 버젼(나 보통테란 믿어주세요. 나 헐크 아니여~~)
Lenaparkzzang
04/02/10 21:08
수정 아이콘
길자선수 파이팅~~~~~!
OSL에서 그대의 승리후 무표정을 감상하고 싶어요~
안전제일
04/02/10 21:11
수정 아이콘
전상욱선수 만세!라니까요~
으하하하하
04/02/10 21:13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와 변길섭선수 경기에서요.. 변길섭선수가 그리많은 탱크를 뽑을때 서지훈 선수는 대체 뭘했길래.. 병력이 그리 없었나요..?? (정말 궁금합니다. 설명좀 해주세요;;) 서지훈선수 병력이 중앙에 분산되어있었다고 해도.. 옵저버분이 보여주는 화면에 탱크가 2개,3개정도 밖엔 없었던거 같은데.. (서지훈선수 오늘 2승하길 바랬는데.. ㅠ_ㅠ 오늘 다행히 이병민선수를 잡으면서 1승을 챙겨서 마음이 놓이네요 ㅠ_ㅠ;)
04/02/10 21:15
수정 아이콘
하쿠님이랑 같은 의문을 갖고 있었는데... 정말 약간 이해가 안가더군요 ㅠㅠ
04/02/10 21:27
수정 아이콘
정말 오늘의 히어로는 전상욱선수네요^^ 준비 많이 해온 티가 확 나네요. 이재훈선수와의 경기에서는 초반 스카우트 나올때 '말렸네-_-'라는 느낌까지 들었는데; 너무 잘 막아주셨어요. 그리고 역전승.
제일 먼저 2승 챙기면서 1위에 제일 가까이 다가서셨네요.
그리고 길섭선수도 조금 무모한가 생각도 했지만; 그 화력! 길섭선수다운 화력이 너무 멋졌습니다^^ 사실 챌린지1위는 길섭선수가 하길 바란답니다^^;;
덧, 그리고 정말로 패러독스는 싱크독스(syncdoxxx)라고 바꾸고 싶네요^^;;; 제가 딱 보고 꽂혀버린 플레이가 패러독스에서의 길섭선수의 경기였거든요;
04/02/10 21:29
수정 아이콘
와~ 오늘 전상욱선수가 일낼거 같더니만.. 기요틴에서 이재훈을 잡더니 최연성을 꺽어 버리네요 !!잘되는 집은 계속 잘되는거 같습니다 GO팀에 또하나의 대박신인 탄생이네요.ㅋㄷ
뷰티메모리
04/02/10 21:30
수정 아이콘
온겜넷은 완전 춘추전국시대네요 어떤 최강자도 없는... 것참 묘하단 말이죠
천국의 계란
04/02/10 21:30
수정 아이콘
-_- 그래도 최연성선수를 이길려면 테란을.....;; 쿨럭;;;;저그는 언제이겨볼까....
04/02/10 21:31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의 오늘 성적도 맵과도 관계가 있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
로템이나 짐레이너스 같은 스타일의 맵들이 최연성 선수의 장점을
가장 잘 보여줄수 있는 맵 같습니다..음.. 다음 경기에 선전을 바랍니다.
강나라
04/02/10 21:32
수정 아이콘
전상욱vs이재훈 선수와의 경기. 기요틴에서 테란이 토스를 힘싸움으로 이기는 경기는 제가 보기에는 처음이네요. 초반만 넘기니까 테란이 할만한 듯..
04/02/10 21:35
수정 아이콘
심성수 선수 대 이재훈 선수에서도 이재훈 선수 초반 분위기 좋았으나
심성수 선수의 메카닉 뚝심에 밀렸던적 있었죠 ㅇ.ㅇ
Ryan Giggs
04/02/10 21:35
수정 아이콘
정말 4경기.
멋졌어여... 서지훈의 빈드랍쉽은 저도속았거든여.
탱크컨트롤도멋지고.
04/02/10 21:36
수정 아이콘
사실 그리고 엠겜맵이 테란에게 약간 유리한 면이 있지않나요-? 그래서 더 최연성선수가 빛을 발하지않나 생각합니다 .물론 오늘 경기결과인 테테전과는 상관없지만요^^ 그리고 최연성선수도 굉장한 연습벌레라고 들었는데 엠겜만 집중했던 전과는달리 양쪽다 하기에 벅찰듯;;
04/02/10 21:42
수정 아이콘
최연성선수 이번주 스케줄이 오늘 경기 말곤 없는거 같은데..오늘 경기에 굉장히 많이 투자했을거 같은데요..거기다 다음주에 이병민선수하고의 경기가 있으나 어차피 테테전이니 충분한 준비는 했을거 같습니다.
낭만고양이
04/02/10 21:44
수정 아이콘
오늘 보진 못했지만 글을 보니 정말 보고 싶어지는군요..;
라꾸라꾸
04/02/10 21:44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는 왜 이윤열 선수 상대로는
빈 드랍쉽을 못 쓰는지... 테테전 무서워서 하겠나요?
드랍쉽만 날라와도 무서우니..
이석현
04/02/10 21:48
수정 아이콘
최연성이 질 줄 누가 알앗겟습니까!
아기테란
04/02/10 22:18
수정 아이콘
변길섭선수와 서지훈선수와의 물량차이는 여러가지있죠..
우선...엔지니어링 베이를 엄청 후에 지었다는것이있겠고..더불어 터렛에 자원낭비를 않했죠..또 팩토리 서지훈선수초반에 4개 변길섭 선수 5개 아닌가요?? 또 알개모르게 서지훈선수 유닛 많이 소비했죠.. 언덕위에서 멀티 공격하던 유닛들도 다 없어지고..멀티 완성되서 내릴때 서지훈선수 막짓고 있던데..아무리 그걸로 시간좀 벌었다곤하지만...어느정도 시간벌면 어짜피 탱크 3기론 완벽하게 막을수 없기때문에 어느정도 되었을때 유닛을 뺐어야된다고 봅니다...
Reminiscence
04/02/10 22:26
수정 아이콘
하쿠님//4골리앗 드랍쉽으로 인해 가스 캐고 있던 scv도 조금씩 조금씩 잡혔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게다가 그 4골리앗 드랍쉽이 서지훈선수의 9시에서도 시간을 끌어서 추가 멀티도 늦었을 뿐더러, 그 드랍쉽이 7시까지 발견했기 때문에 변길섭선수가 6시, 5시, 3시 가스 멀티를 먹는 동안 서지훈선수는 12시와 9시에서 약간 가스채취를 했을 뿐이였죠.
BoxeR'fan'
04/02/10 22:36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이 다르기보다는...
오늘 최연성선수의 컨디션이 별로 안 좋은지...
평소만큼의 플레이가 아닌듯..
항즐이
04/02/10 23:05
수정 아이콘
BoxeR'fan'님 그런 표현은 이긴 상대방과 그 팬에게 상당히 자극적입니다.

PGR에서는 그와 같은 추측은 자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렇게 말해야 할 뚜렷한 이유가 없다면 말이죠. 모든 선수는 최선을 다하고 있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다른 이유는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겠습니다.
04/02/10 23:13
수정 아이콘
온겜넷맵이 다르긴 확실히 다릅니다만,
최연성선수가 컨디션이 안좋아서졌다... 이런말은 왠지 싫네요. -_-;
어떤선수를 불문하고 졌는데
운이나빠서 졌다거나, 컨디션이 안좋아서 진거다.. 이런말은 정말 싫어하거든요 (개인적으로... 이놈의 궁상맞은 성격 --;;)
지난주 스타리그에서도 전태규선수 최악의 컨디션이였음에도 이기지 않았습니까..


그나저나 서지훈선수 2경기에서 일방적인 패배이후
'이거 왜이래? 나 승률1위야'
라고 말하는듯...
4경기에서 정말 퍼펙트한 전략,컨트롤,타이밍 3박자로 이병민선수를
바로 일방적으로 이겨버리네요. -_-;

오늘은 [GO데이?]
모모시로 타케
04/02/10 23:32
수정 아이콘
'컨디션이 안 좋아 졌다' 이 말은 웬지 '실력으론 안 진다' 이런 뜻 같죠..
04/02/10 23:45
수정 아이콘
최근에는 최연성 선수가 지면 컨디션이 안 좋다는 말이 항상 들리네요 많지는 않지만...(모든 분들이 그러시는 건 아닙니다만) 그리 듣기 좋은 소리는 아니네요.
04/02/10 23:54
수정 아이콘
가장궁금한점은 ..과연 오늘 최연성 선수가 2패 할것이라고 예상을 하신분이 있을련지..-_-
04/02/10 23:55
수정 아이콘
아까 드랍동에 가서도 컨디션 운운하는 글 봤는데..임요환선수 팬이지만 임요환 선수 질때마다 4u팀 질때마다 그런 글 볼때마다 상당히 불쾌합니다.
04/02/10 23:57
수정 아이콘
역시... 온게임넷에서는 다르다는 느낌입니다.-_-乃
MBC게임 3연패(4연패인가요?)에 빛나는 이윤열 선수가 16강 두번 연속 탈락에 8강 탈락 위기에 놓인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이니...

최연성 선수도.. +_+ 힘들게 경기를 치뤄가는군요..^^
KILL THE FEAR
04/02/11 00:23
수정 아이콘
다른건 다~ 몰라도, 어쨌든 전상욱선수가 일낼거라는 예상만큼은 맞았습니다. (...슈마go의 87년생 화이팅!;)
04/02/11 00:28
수정 아이콘
온겜은 역시 엠비씨게임을 완전 무시하더군요...
이병민선수에게 엠비씨게임에서 2:0으로 이긴것은 말하지 않으니
온게임넷만 보시는 분들은 최연성선수가 이병민선수에게 한번도 이긴적이 없다고 생각하겠더군요.
wcg전적은 이야기 하면서...
아무리 다른방송이라도 메이저대회 우승자인데....
완전히 다른 신인선수와 동급취급....
오늘 결과는 좀 아쉽습니다.
04/02/11 00:39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해설자들이 엠비씨게임을 무시해서 일부러 언급을 안 한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엄재경해설위원은 타방송사라고 하며 꽤 자주 엠비씨게임쪽의 전적을 얘기하곤 하던데 오늘따라 별 말씀이 없으시더군요.
04/02/11 00:52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해설진이 딱히 무시하신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에 프로리그에서 붙을 때도 인용을 하셨었고.. 그냥 '온게임넷' 상의 전적을 이야기하신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be-original
04/02/11 01:13
수정 아이콘
모든 메이져대회 합해서 대충 150전 이상쯤은 되어야
그 선수의 승률을 알수 있을듯 하네요.
그 쯤 되어야 다른 전적 많은 선수들처럼 분석도 되어있을테니깐요.
어딘데
04/02/11 01:49
수정 아이콘
컨디션이 안 좋아서 졌다라는 말은 분명 그 선수를 이긴 상대와 그 팬에게 상당히 자극적입니다
하지만 그건 진 선수와 진 선수의 팬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경기에서 진 선수의 경기 내용이 이러저러해서 이긴 선수에 비해 뭐가 안 되었고 뭐가 잘못 되서 졌다 라고 한다면 충분히 납득 가능합니다
그런데 다른 리그에서 도미네이트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선수가 온게임넷에서 졌다고 해서
방송사가 어쩌고 맵이 어쩌고 하는 건 그 선수와 그 선수의 팬에게 상당히 불쾌한 일입니다
(맵이 어쩌고 저쩌고 하는 얘기는 그 동안 최연성 선수가 보여준 실력이
맵 덕택이었다는 얘기처럼 들립니다)
제가 하고 싶은 얘기는 승패의 원인은 경기내에서 찾아야지 경기외적인 면에서 승패의 원인을 찾으려 하면 안 된다는 얘기입니다
꽃단장메딕
04/02/11 02:28
수정 아이콘
R.A.F님/ 상대전적 2 : 2 라고 말하지 않았나요? 제가 잘못 들은것인가요?
타대회를 무시해서가 아니라..사람들이 프로리그에서의 경기와 엠겜에서의 경기전적은 많이 기억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에..
WCG를 언급한 것이겠죠...제 느낌은 그랬습니다만....
04/02/11 08:03
수정 아이콘
선수가 경기에 이길수도 질수도 있는것입니다.
컨디션이 나쁘니 하는 소리는 전상욱 선수의 노력과 땀 흘린 연습을
한순간에 폄하하는 소리입니다.
선풍기저그
04/02/11 08:42
수정 아이콘
역시 온겜넷은 다르다 최연성은 온겜넷에선 힘들다.. 란말은 도대체 무슨뜻인지. ㅡ,,ㅡ 역으로 온겜넷에선 본선에 계속오르면서 엠겜에선 거의 얼굴도 볼수 없는 사람도 많습니다. 최연성선수가 오늘 2게임 진거가지고 양게임리그를 놓고 수준차를 논하려고 하시는지 아니면 맵빨을 논하려 하시는지.. 의도를 모르겠군요.. 2패한 이유를 굳이 찾고 싶다면 차라리 컨디션난조에서 찾는게 훨씬 합리적이고 신빙성 있지 않을까요?
04/02/11 09:05
수정 아이콘
R.A.F// 제가알기로 상대전적 2:2인데 사실은 WCG에서 이병민선수가 최연성선수를
한번 더 이겼다는 뜻으로 말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 ^^
04/02/11 09:07
수정 아이콘
선풍기저그// 화두는 괴물급으로 불리는 선수들이, 온게임넷에서 만큼은 괴물이 아니니까 하는 말이겠죠 --;;
(확실히 이윤열선수때도 엠겜에서는 계속 우승,준우승 할때 온겜에서는 16강 연속탈락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는 성적을 냈으니까요.)
04/02/11 09:08
수정 아이콘
선풍기저그// 님의 말씀대로면 오늘 전상욱선수와 이병민선수는 순전히 운이 좋아서 최연성선수를 꺾은거라고 해석해야 하는건가요? --;;
04/02/11 10:44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이 엠겜과 다르다는 말은 수준차가 난다는게 아니라 맵이 다르고 경기 방식이 다르고 상대하는 선수가 다르다. 라는 정도로 언급되어야 하겠지요.
아이엠포유
04/02/11 11:43
수정 아이콘
왜 한선수가 패배한 원인을가지고 "상대방이 그선수보다 더 잘했기때문이다" 라는것을 인정하시지 않는 분들이 더 많을까요? 개인적으로 컨디션난조도 개인의 실력의 한 축이라고생각하는데요. 만약 진짜로 컨디션 난조가 맞다면 (혹 연성선수가 실제로 경기당일날 아픈데도 출전을 강행했다하더라도) 그것또한 최연성선수가 스스로 몸관리를 잘 못했다고 봐야하는것게 맞는말 아닐까요? 반대로 그 어떤선수가 컨디션이 최상일때는 누구라도 못꺽겠습니까?
Trick_kkk
04/02/11 22:42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가 실력면에서 이병민 선수나 전상욱 선수에게 밀린다고는 솔직히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어제의 경기에서 최연성 선수보다 이병민, 전상욱 선수가 잘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강한자가 이기는게 아니라 이긴자가 강하다는 말도 있죠. 진 것은 깨끗이 인정해야죠..패배에 대한
핑계는 오히려 최연성 선수를 두번 죽이는 일이라고요.-_-
그러나 최연성 선수가 '고작' 2패를 했다고 해서 왜 온겜넷과 엠겜의 맵의 차이가 어떻고가 들먹여져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엠겜의 맵이 테란에게 유리한 점이 있다고 하지만 엠겜에 테란유저가 최연성
혼자 뿐인가요. 최연성 혼자만 맵의 유리함을 누린 것은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887 <잡설>이제는 프로토스가 해내야 할 차례입니다. [15] 미네랄은행3583 04/02/10 3583 0
1886 챌린지리그 (2/10, 내용 有) [83] 환타6688 04/02/10 6688 0
1884 Starcraft DVD [16] ASsA3131 04/02/10 3131 0
1881 낭만 스타리그.. [12] *블랙홀*4136 04/02/10 4136 0
1879 `서태지밴드`의 다음 엘범을 기다리며.. [19] Lenin3804 04/02/10 3804 0
1878 [제안] 참여하는 축제가 되어야 한다. [17] homy3530 04/02/10 3530 0
1877 정말 하나만 바뀌었음 좋겠다... [42] 드랍매니아4229 04/02/10 4229 0
1876 최연성 선수의 스타일과 약점 [23] 비류연6362 04/02/10 6362 0
1875 유즈맵 패치의 당위성은 단순한 밸런스 문제가 아니다. [11] 마린스3249 04/02/10 3249 0
1874 군대란? [22] STORM2904 04/02/10 2904 0
1873 재미로 쓰는 프로게이머 등급 [104] 영웅저그6669 04/02/10 6669 0
1872 오늘 챌린지리그 대박경기 예측! [25] 드림씨어터4115 04/02/10 4115 0
1870 [알림] 회원수를 줄이겠습니다. [30] homy4812 04/02/10 4812 0
1869 pgr21 운영진 소개 [6] 설탕가루인형3788 04/02/10 3788 0
1868 유즈맵패치 2편 프로스포츠로서 꾸준히 룰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32] SXDFSSX3740 04/02/10 3740 0
1867 초중수용 저그전 초페스트 더블(로템) [7] Legend0fProToss3180 04/02/10 3180 0
1866 저그로 연습한 3일... [9] BeAmbitious3289 04/02/10 3289 0
1863 [잡담]슬그머니 생각해본 놀이 [6] cyanstar2937 04/02/10 2937 0
1862 박태민선수 어제 너무 멋졌습니다... [15] annapark3983 04/02/10 3983 0
1861 케엑. 감옥들어간 사람을 빼오다니..대단하네.. [18] 여미3172 04/02/10 3172 0
1859 [펌]서태지가 직접쓴 [VICTIM(희생자)에 대한 방송 재심의를 신청하며] [7] 한빛짱3368 04/02/10 3368 0
1858 Nice to meet you [5] Ace of Base3063 04/02/10 3063 0
1857 7시간 후면..... [4] Don'tEven2922 04/02/10 292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