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10/26 22:40:45
Name 총알이 모자라.
Subject 존 매켄로, 데니스 로드맨

70년대 중반부터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그의 경쟁구도가 가속화될 무렵, 남자 테니스계는

또 하나의 신예 선수의 등장으로 3파전 양상을 띠게 되는데 그가 바로 ‘코트의 반항아’ 또

는 ‘코트의 악동’으로 불리웠던 미국의 존 매켄로이다. 미국은 지미 코너스에 이어 매켄로

의 등장으로 70년대 중반까지 명성을 떨쳤던 호주 테니스를 따돌리게 되었으며 두 미국인

은 스웨덴의 비욘 보그와 함께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3파전 테니스 전쟁을 치르게 된다.

존 매켄로는 1959년 2월 16일 독일의 비스바덴(Wiesbaden)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가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독일에 주둔하고 있었던 미 공군 소속이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독일 근무기간에 존 매켄로가 태어나게 된 것이며 얼마 후 가족은 곧 미국으로 귀국, 어린

존 매켄로는 유년기를 뉴욕주 더글라스턴(Douglaston)에서 보내게 되었다. 그는 이곳에

있는 포트 워싱턴 테니스 학교에서 본격적인 테니스 지도를 받기 시작하였고 빼어난 실력

을 발휘, 차세대 미국의 기대주로서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에게 처음으로 국제적 관심이 집중된 것은 그의 나이 18세 때인 1977년. 프랑스 오픈 혼

합복식에서 자신의 파트너인 메리 카릴로(Mary Carillo)와 함께 우승을 차지하면서부터

이다. 같은해 윔블던에서는 준결승까지 진출(지미 코너스에게 4세트만에 패배), 오픈시대

이후 최초로 예선통과자, 아마추어로서 준결승 진출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그는 캘리포니

아의 스탠포드 대학교에 입학했지만 이듬해인 1978년 전미 대학선수권에서 우승하면서 학

교를 그만두고 비로소 프로의 길을 걷게 된다. 프로 데뷔후 반 년 간 49승 7패 --;;를 기록

했던 존 매켄로는 곧바로 데이비스컵 미국대표로 발탁되어 5년만에 미국이 데이비스컵을

차지하는데 일조하기도 하였다. 어머니의 영향으로 다른 미국 선수들보다도 국가관이 투

철했던 매켄로는 이후 12년간(78-84, 87-89, 91-92)이나 데이비스컵 미국대표로 활약하게

된다.



그의 첫 메이저 단식 타이틀 획득은 79년 US오픈에서 이루어졌으며 81년까지 3년 연속,

84년에 또 한차례 US오픈 왕좌에 올랐다. 81년 윔블던 결승에서는 전년도에 이어 비욘보

그와 또 한번 라이벌대결을 펼쳐 80년 결승에서 당한 한많은 패배를 앙갚음하면서 윔블던

왕좌에 처음으로 오르기도 하였다. 83년과 84년에도 연속으로 윔블던 고지를 점령하는데

성공한 그는 윔블던 3회, US오픈 4회 우승이라는 기록(특히 US오픈의 3년연속 타이틀은

20년대 빌 틸든(Bill Tilden)이후 최초로 기록되기도 하였다.)을 남겼으며 복식을 포함, 총

17개에 이르는 메이저 대회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존 매켄로의 등장으로 73년 이후 집계된 컴퓨터 랭킹에도 지각변동이 있었다. 77년 8월부

터 80년 3월까지 지미 코너스와 비욘보그가 서로 나누었던 1위의 자리를 드디어 존 매켄로

가 차지면서 랭킹1위의 구도는 비욘 보그-존 매켄로로 바뀌었다. 이러한 구도는 81년까지

지속되다가 비욘 보그가 은퇴하자 랭킹1위 쟁탈전은 다시 지미 코너스-존 매켄로로 바뀌

었으며 이는 83년 2월 이반 랜들(Ivan Lendl)이 1위를 차지할 때까지 계속된다. 매켄로가

기록한 총 170주 1위 달성은 지미 코너스(268주)에 이어 당시 역대 2위의 기록이었다.(후

에 랜들과 샘프라스에 의해 갱신) 또한 그는 메이저 타이틀을 포함, 생애통산 77회에 이르

는 싱글 타이틀을 보유하여 오픈시대 이후 지미 코너스(109회)와 이반랜들(94회)에 이어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을 남겼으며 복식을 포함(154회)하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기

록으로 역대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비욘 보그가 톱스핀의 제왕이었다면 존 매켄로의 장기는 무엇이었을까. 테니스 전문가들

은 공통적으로 그의 탁월한 발리(volley)감각을 꼽는다. 스트로크중 발리 포인트를 쉽게

찾아내 환상적인 네트플레이를 선보였는데 특히 슬라이스 발리(slice volley)는 왼손잡이

선수 중 최고로 평가되고 있다.


이렇듯 훌륭한 플레이로 많은 팬들을 사로잡았지만 그에 대한 상반된 평가도 만만치 않

다. 경기에서 실력 이외에 중요한 요소로 페어 플레이를 꼽는 많은 팬들은 주심과 선심에

대한 그의 거친 매너 때문에 그를 기본적인 자질이 부족한 선수로 기억하고 있을 뿐이다.

주심을 향해 라켓을 집어 던지기도 하고 선심에게 심한 욕설을 하며 경기의 흐름을 방해하

는가 하면 이러한 행위로 인해 상대 선수의 정신적 리듬까지도 빼앗는 경우가 많았다. ‘코

트의 악동’이라는 그의 닉네임은 바로 여기서 연유하는 것이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관중

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 그의 ‘튀는 행동’은 그를 더욱 더 인기스타로 만들었다. 또한 상

당수가 그의 투철한 애국심을 높이 사 현재에 이르러서도 그는 테니스에 관한한 미국 국민

들의 절대적인 신임을 얻고 있다.


1999년 명예의 전당에 오르게 된 그는 미국의 데이비스컵 감독으로 내정, 샘프라스와 애거

시를 합류시켜 ‘드림팀’을 구성했지만 큰 성과를 보지는 못했다. 어느 부동산 업계의 부호

가 제시한 100만불짜리 이벤트 “존 매켄로-비너스 윌리엄스의 성대결”을 거부하며 돈으

로 자존심을 팔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보이기도 하였다. 그는 현재 세계 남자테니스를 움직

이는 ‘큰 손’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고 각종 스포츠 뉴스의 해설자로 활동하

고 있기도 하다.

.............................................

NBA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을 접해봤을 선수 데니스 로드맨.

어떤 사람은 그가 어떻게 NBA에 살아남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어떤 사람은 그는 시대를 잘 타고난 선수였다고 말하기도 한다.

가정형편이 어려웠고 부모님의 이혼을 겪으면서 사춘기를 보내다가 우연히 농구를 접하면

서 농구에 빠져들었던 로드맨은 사우스오크 크리프 고등학교 2학년말에 처음 농구부로 가

입했다. 그리고 6개월간 벤치멤버를 경험하고 쿡 카운트 주니어 칼리지에서 1년간 활약한

후  "농구로 성공하겠다"는 맹세와 함께 NAIA(NCAA와는 또 다른 대학조직)에 소속해 있

는 사우스 이스턴 오클라호마 주립대로 이적했다.


그후 같은 팀 포지션 선수 중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이는데 당시 로드맨은 득점도 많

이하며 3년 연속으로NAIA의 올 아메리칸에 뽑혔다. 4학년떄는 평균 24.4득점,17.8리바운

드를 기록하고 NBA문들 두드린다.

86년 NBA문을 두드리기 위해서 드래프트를 신청한 로드맨은 당시 NCAA선수가 아니었다

는 후회할 정도 관심밖에 밀려나 있었다. 이런 로드맨을 눈여겨 본 디트로이트의 척 데일

리 감독이 드래프트 2차 전체 27위로 지명하면서 디트로이트에 입단하게 된다. 이때부터

척 데일러는 로드맨의 스승이자아버지 노릇을 했고 로드맨 역시 척 데일리 말이라면 순종

했다.

로드맨이 입단할 당시 피스톤스는 토마스, 듀마스, 레인비어를 주축으로 NBA정상을 향

해 달리는 팀으로 파워포워드가 부족했었는데 그 고민을 해결해주었다. 척 데일리가 득점

보다 수비와 리바운드를 강조하자 득점을 포기하며 "배드 보이즈"의  주전이 되었다.


이후 로드맨은 선수들의 슛 경향을 분석하고 공이 어디로 튕겨나오는지 기록했다..

(하루의 3분1을 비디오 분석에 매달렸다)

또 팀 선배 빌 레인비어로 부터 끈기와 볼 탭하는 방법을 배웠으며 팔을  이용해서

상대를 껴안는 교묘한 테크닉으로 상대방보다 더 많은 리바운드를 잡으려고 했다.

레인비어는"상대방이 크면 그의 유니폼을 잡아당기고"
           상대방이 파워가 있으면 물고 꼬집어라"는 말을 했다고 한다.--;;


이러한 노력과 리바운드에 대한 신념은 그를 리그 최고의 리바운더로 만들었다.

90년대로 접어들면서 배드 보이즈는 많은 비난과 함께 토마스의 은퇴와 함께

사라지게 되었고 로드맨이 존경했던 척 데일리감독이 뉴저지로 이적하면서

팀 선수들과 불화를 일으켰다.

피스톤스은 로드맨을 트레이드하기로 결정했고 그 당시 오펜스 리바운드와 파워포워드가

취약했던 스퍼스와 2:2트레이드를 단행했다..

스퍼스로 이적해서도 로드맨의 방황하던 로드맨은 척 데일리 불같은 호령에 다시 정신을

차리며 해군 제독 로빈스과 트원 타워를 구성했지만 신사 로빈스과 로드맨은 물과 기름같

은 존재였다. 다시 불화는 싹트기 시작하며 95년에 월 퍼듀와 트레이드로 불스로 이적한다

불스로 이적한 로드맨은 감독 필 잭슨과 대화를 통해 다시한번 의욕을 되찾았고피스톤스

당시 제일 싫어했다던 조던과 많은 이야기를 하면서 팀에  빠르게 적응해 96시즌 팀 우승

의 일등공신으로 리바운더로서의 자신의 능력을 전세계 NBA팬들에게 널리 알렸다


조던과 함께 플레이하는 것을 즐거웠다는 로드맨은 "피스톤스 시절이후 가장 행복했던 시

절이었다" 말했다.


이후 조던의 은퇴, 피펜이적과 함께 은퇴를 했던 로드맨은 데일리 이후 존경한 감독 필 잭

슨의 부름을 받고 다시 유니폼을 입기로 결정하고 레이커스 유니폼입고 다시 코트에 복귀

했지만 예전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다시 코트를 떠났다..

그후 진정한 리바운더를 NBA에서 볼 수 없었다..

.................................................

얼마 전 내셔널 지오그라피의 다큐멘터리에서 스포츠 심리학을 다루었다. 거기에 코트의

악동인 존 매켄로에 대해 스포츠 심리학자는 말한다.

‘그는 게임이 잘 풀리지 않으면 마구 화를 냅니다. 그런데 그것은 흥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자극하는 행동이었습니다. 이봐, 넌 이것보다 더 잘할 수 있잖아, 좀 더 빠르게 뛸 수 있잖아 이 멍청아! 하고 자신에게 말하는 것이죠. 하지만 다른 선수들이 그랬다면 아마 스스로 무너졌을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약간 괴짜죠’

모든 종목의 선수들은 게임을 풀어가는 자신만의 방식이 있다.

그것을 우리는 개성이라고 한다.

요새 테니스는 예전 만큼 인기가 없다.

인간이 받아낼 수 없는 강한서브덕분이기도 하지만

매켄로가 지금 활동했다면 아마 서브 리시브를 못할 때마다 마구 소리를 질러 댔을 것이

다. 그나마 약간의 재미는 줄 수 있지 않을까?

NBA역사를 통틀어 로드맨은 민첩함, 스피드. 체력을 조화시켜 자기보다 큰 선수를 수비

하고 가장 많은 리바운드를 잡아내며 로우 포스트에서 궂은 일을 완벽하게 수행했던 선수

다. 상대팀 선수들은 그를 아주 싫어했다. 심지어 같은 팀에서도 불화가 많았다. 상대 선수

의 엉덩이를 만지며 음담패설을 내뱉는 그를 누가 좋아하랴? 그러나 그는 최고의 리바운

더 였고 그의 가치는 그가 떠난 후 더 크게 보였다. 반항적 이미지만 남아있지만 그의 열정

이 그리워지는 요즈음 NBA이다. 지금 NBA에 부족한 것은 조던의 화려함이 아니라 로드

맨의 장난기는 아닐까?

언젠가 우리도 이스포츠계의 반항아들을 그리워할지도 모르겠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글루미선데이
05/10/26 22:48
수정 아이콘
로드맨을 다시보게 되네요
호..그렇게 노력파였군요...

언제나 재밌는 글 잘 읽습니다~
05/10/26 22:49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에도 이런 선수가 나왔으면 좋겠군요 ~
된장국사랑
05/10/26 22:50
수정 아이콘
좋은 글입니다~추게 외쳐도 될까요??
VoiceOfAid
05/10/26 22:50
수정 아이콘
그런 의미에서 사람들이 괴성녀 샤라포바를 좋아할지도.... ㅡㅡ;
좋은 글이네요. ^^
부들부들
05/10/26 22:51
수정 아이콘
샤라포바를 좋아하는건 몸매때문이 아닐까..
크하하;;;;
진공두뇌
05/10/26 22:53
수정 아이콘
어떻게 생각해보면 '과연 이스포츠계에 반항아라고 할만한 선수가 있나' 라는 생각도 들지만...
격렬한 육체적 움직임을 필요로 하는 테니스와 농구와는 또다른 반항아가 있을수도 있겠군요.
그렇다면 이스포츠계에서는 어느 선수가 반항아일까요?
영원한 야인으로 살아가면서 그 천재적인 능력으로 WCG를 우승한 이용범 선수?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버스기사'라는 칭호를 달고다니며 거만한 인터뷰 내용으로도 논란의 대상이 되는 최연성 선수?
정적인 게임이 끝난 직후 팬들을 겨냥한 세레머니로 상대+상대선수 팬들을 자극하게 만들었던 전태규 선수?
어쩌면 아직 이스포츠계에 반항아는 나오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존 메켄로에게는 팀은 없었고, 로드맨은 자신을 알아주는 감독과 선수에게 자신을 투자했지 상당히 개인적인 모습이었으니까요.
과연 그런선수가 나올 수 있을까요?

아 그리고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언제나 좋은 글 감사합니다.
낭만토스
05/10/26 23:00
수정 아이콘
역시 총알님이시네요. 적절한 타이밍에 딱 좋은 글을 올려주십니다. 글의 내용을 떠나서 총알님 글은 항상 재미있습니다. 다음에도 좋은 글 올려주세요!!
그러려니
05/10/26 23:25
수정 아이콘
아아.. 로드맨이 활약하던 시절의 NBA... '모두'가 있었더랬죠. 그립네요.
총알이 모자라님의 글은 차분해서 더욱 힘이 느껴집니다.
누구도 흉내내지 못할 고품격의 힘이랄까..^-^;
잘 읽었습니다.
자리양보
05/10/26 23:30
수정 아이콘
역시...총알님의 이야기보따리에는 pgr에서 일어날만한 각종 분란에 대한 적절한 이야기소재들이 이미 자리잡고 있었던 겁니다. - -;; 그나저나 웬일인지 로드맨편의 이야기에서는 오타가 많으시네요^^;;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총알님이야말로 제가 pgr에 들르는 큰 이유중 하나입니다. (신체건강한 25세 남자입니...;;)
Neosteam Rule
05/10/27 00:04
수정 아이콘
총알이 모자라...님이 아래 최연성선수 관련 글에 댓글을 다셨듯이, 최연성선수의 플레이를 위의 비유와 함께 긍정적으로 보시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최연성 선수가 솔직히 악동은 아니죠. 단지 스타계의 악역을 맡고 있을 뿐이죠. 인기선수들을 닥치는대로 이겨버리니... 그것도 압도적으로... 항상 너무 잘나가면 시기,질투를 받게 되어있습니다. 게다가 그 자신감넘치는 (안티들눈에는 거만한) 인터뷰는 항상 이슈를 만들곤 하죠
bilstein
05/10/27 00:53
수정 아이콘
요새 테니스가 재미없는 이유는 페더러 때문이 아닐까 하네요. 뭐 지지를 않죠...-_-;; 역대 최강의 선수 페더러...젊은 선수임에도 불구 노련함, 경기운영, 풋워크(스피드가 아닙니다.), 스트로크, 파워, 서브, 발리, 심리전, 마인드컨트롤등등 모든 것이 완벽한 선수...개인적으로 전성기 때 샘프라스랑 붙여보고 싶은 선수입니다. 반면 앤디 로딕...광속서브로 유명한 선수지만 그 외에 모든면이 부족하죠. 포핸드 파워는 좋지만 공 구질이 단조롭고 결정적으로 쓰레기 발리...-_- 사실 서브도 빠르기만 하지 과거 강서버들에 비하면 정확하지도 않고 (이바니세비치의 서브와 비교하시면 금방 압니다. 항상 라인에 붙이는 신기의 서브) 하여간 하드웨어적으로는 페더러를 압도하지만(체력, 스피드, 파워) 그 외에 모든 것이 페더러에게 너무 딸리는 로딕... 참고로 페더러와 로딕의 전적이 아마 10:1인가 할겁니다.
pandahouse
05/10/27 01:14
수정 아이콘
샘프라스 전성기때와 지금 페더러랑 붙으면 정말 굉장할텐데요...
낭만토스
05/10/27 01:37
수정 아이콘
테니스에서 아는 선수는 안드레 애거시인가? 그 선수밖에... 안다는것도 관심이 있는게 아니라 그냥 몇번 들어본 이름이라죠. 졸업후 배우고 싶은 운동 5개 안에 들어가는 테니스....
eldritch
05/10/27 03:04
수정 아이콘
고등학교때 유선에서 NBA 할때 시카고 응원 많이 했죠.. 옛 생각이 물신 나네요. 그때 조던이 잘하는 걸 알고 있었지만 로드맨이 어떤 괴팍한 짓을 하나 기대하면서 보던 기억이 나네요. 로드맨이 한건 사고치면 학교에서 그게 주된 화제 였는데..
05/10/27 06:44
수정 아이콘
아주 좋은글입니다. 참 감탄의 감탄을 거듭하게 되는군요^^
땅과자유
05/10/27 11:24
수정 아이콘
제가 불스 경기에서 가장 좋아했었던 건 로드맨이 특유의 이상한(?) 슛폼으로 3점을 꽂아넣고서 환호하는 모습이였는데.. 이거야 말로 제대로 된 관광이 아니였을지.. ^^;
쪽빛하늘
05/10/27 11:37
수정 아이콘
데니스 로드맨에 대한 모르는 얘기도 많았네요
(하긴 제가 아는게 별게 없군요~~)
제가 좋아하는 이미지가 적당히 건방지고, 적당히 막나가는 사람들을 좋아해서
위글의 두 인물들 다 많이 좋아했죠...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243 스타리그를 처음 봤을 때.. [2] EX_SilnetKilleR3476 06/02/26 3476 0
20964 달라진 파이터포럼? [4] 천생연3486 06/02/16 3486 0
20909 며칠전 방송했던 파워인터뷰 (심형래 영화감독편) 에서.. [13] 나둥나둥3142 06/02/13 3142 0
20735 pgr을 떠나며...pgr에게 할말 [182] KaradoX6839 06/02/05 6839 0
19972 Kespa. 블리자드에 대한 태도 [42] 마술사얀3505 06/01/11 3505 0
19879 참으로 씁쓸한 배신당하는 게임... [10] 최고를 향해서4396 06/01/08 4396 0
19719 pgr은 자격이 있는가? [59] 종합백과4298 06/01/02 4298 0
19562 앵무새들의 말싸움. [28] 비롱투유3383 05/12/27 3383 0
19344 ((P.G.R.을 비판 한다)) 왜 임요환 선수 팬들의 비판은 피지알에서 성역처럼 여겨지는가? [215] 순수나라7320 05/12/19 7320 0
19078 요즈음에 느낀 바와 문제의식(황교수님 약간 관련..지겨우신 분들은 보시지 마세요) [66] Nada-inPQ3603 05/12/11 3603 0
18860 [펌]인터넷 실명제. 양날의 검인가? [19] 고등어3마리3664 05/12/02 3664 0
18740 [제안입니다] '논쟁거리→토론게시판'이라면 어떨까요? [10] MistyDay2643 05/11/26 2643 0
18582 승자에겐 축하를, 패자에겐 격려를... [9] The xian3778 05/11/20 3778 0
18494 '人山人海' [10] paramita3372 05/11/17 3372 0
18217 맨유의 역사에 남을 선수 . . [57] 세브첸코.A3804 05/11/08 3804 0
18167 안녕하세요 pgr가족 여러분들의 조언과 충고가 필요합니다. [19] 김익호3431 05/11/07 3431 0
17867 이게 정상이냐? [17] 총알이 모자라.4043 05/10/29 4043 0
17749 존 매켄로, 데니스 로드맨 [17] 총알이 모자라.5205 05/10/26 5205 0
17604 방금까지 있던 2개의 낚시글에 대해서 [15] Heartilly3216 05/10/22 3216 0
17219 [yoRR의 토막수필.#0]고로 이러함은 [12] 윤여광3994 05/10/09 3994 0
16826 세상의 중심에서 즐을 외치다. [44] spin4896 05/09/26 4896 0
16753 [약간 무거운 주제] 무서운 군중심리.... [12] 유수e5370 05/09/24 5370 0
16450 [영화]가문의위기(스포일러약간있음) [13] [NC]...TesTER4167 05/09/12 41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