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2/05 19:05
프로브의 0.5의 사거리로 이용해서 초반 정찰시 무빙샷을 이용해 일꾼 타격을 할수있는 유저가 나온다면..테란은 죽어 날텐데 말이죠..-_-;;
04/02/05 19:19
위닝도 마이크로컨트롤이 필요하죠. 제가 드리블이 꽤 자신이있어서, 꺾는것보다는 살짝살짝 제쳐나가는.. 그런 마이크로컨트롤을 하고있죠^^
"위닝계의 임요환"이라고나할까.. 죄송합니다~
04/02/05 19:20
사견이지만, 가장 손이 많이 가는 종족은 분명 테란입니다. 그러나 가장 정교한 컨트롤을 필요로 하는 종족은 테란도 저그도 플토도 아닌 "테란을 상대하는 종족"이라고 생각합니다.
04/02/05 19:21
최근의 컨트롤이 가장 힘든종족은
저그라고 생각합니다 테란의 컨트롤은 이제 보편화가 되었죠 저그해보시면 왜 마이크로컨트롤이어야하는가를 깨닳으실듯-_-
04/02/05 19:29
저그는 저글링+럴커나 히드라+럴커체제로 바이오닉체제의 테란을 상대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난감합니다. 테란도 마찬가지이겠지만... 그리고 후반 하이브체제 확립후 저글링+울트라+스커지+디파일러 운영하는거 정말 힘듭니다. 워낙 대규모 병력들이라서 몇개씩 흘리고 다니는 건 저로써는 어쩔수가 없더군요. -_-;; 테란과 저그중 솔직히 손이 더 많이가는 종족을 꼽으라면 전 주저없이 저그라고 주장할랍니다. (테란을 솔직히 많이 접해본적이 없어서 테란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답니다 -_-;;)
04/02/05 19:37
저글링러커는 러커8기이상 보유하고 마메병력보다 2.5배정도 많고
2방향이상에서 쌈싸먹으면 그전투는 필승입니다. 로템은 잘모르겠네요
04/02/05 19:53
전테란 유전데 요즘 저그 가끔하는데 싸먹기 정말 힘들던데요..
럴커 버로우하는 위치 지정하는것도 무척 힘들더군요 --; 럴커가 구조물에 끼이면 더짜증납니다~ --; 저그도 손 많이 가는것 같에요~
04/02/05 20:00
무슨 말씀을 하고 싶으신 건지..
그 정도 컨트롤 안 하는 저그, 플토 프로게이머가 누가 있습니까? 그 컨트롤이 테란보다 테란을 상대하는 종족이 훨씬 어렵죠.
04/02/05 20:00
실제 무빙샷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만...
언제인지는 잘 기억이 안납니다. 그런데 김성제 선수가 말하기를 그것하려면 게임 다 날린다 와 비슷한 맥락의 말을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정도로 손이 많이간다는 말이겠죠..^^;;
04/02/05 20:16
Playi님//러커 나오기도 전에 지는 저그도 많습니다. 마메병력보다 2.5배 많은 병력 모으기도 힘듭니다. 2방향 이상에서 쌈싸먹히도록 병력 배치하는 테란 유저는 거의 없습니다. 테란보다 테란 상대하는 종족이 어려운 이유죠.
04/02/05 20:31
2방향 이상에서 쌈싸먹히도록 병력을 배치하는 테란유저가 업다니요?
로템에서도 그런 넓은 지형이 있고 공격을 할려면 그쪽을 거쳐서 가야하는데 -_- 그리고 3해처리 풀로돌리면 가능합니다 그리고 마메병력에서 메딕은 제외해야겠네요 ^^;;
04/02/05 20:48
저그가 쌈싸먹을 정도의 병력을 보유하지 못하게 하고, 벽을 타고 이동하는 한편 스팀팩 걸고 재빨리 빠져나오죠. 쌈싸먹기는 저그건 플토건 유저들 대부분이 해주는 컨트롤입니다. 빠져나오기도 마찬가지구요. 테란이 괜히 쎈 게 아니죠.
04/02/05 20:59
벽을타고 이동한다해도 결국에는 넓은지형(미네랄멀티지역)으로 갈수밖에 없고 쌈싸먹기는 여러방향에서 어택땅이 아닙니다 공격하는 순간에도 무브후 어택이라는 컨트롤이 필요하고 러커도 제대로 버로우해야합니다. 테란의 컨트롤은 화려해서 대단한거지 저그역시 컨트롤 많이갑니다.
그이유는 저글링과 히드라의 공격타입자체가 다르기때문이죠
04/02/05 21:02
아 그리고 쌈싸먹으면 빠져나올길이 적고 적은길로 도망가기에는 병력의 피해가 너무심하죠(메딕과 스팀팩마린의 이동속도차이) 게다가 저글링은 기동성 2위거든요. 쉽게 도망못가죠.
아 그리고 벽을 타고 이동 하면 러커의 공격이 극대화됩니다 맵핵이 아닌이상 뒤로돌아가는병력을 예측하기 힘드며 예측했다해도 벽을 타고 이동하는일은 거의없습니다 퇴로를 차단당할가능성이 있는데 이동하는건 너무 위험하기때문이죠
04/02/05 21:37
멍청한 드래군이랑 리버 쓸려면 컨트롤은 필수요소
개인적으로 스타에서 제일 멍청한 두 유닛컨트롤이 정말 뛰어난 강민선수가 대단하다고 생각 -_-
04/02/05 22:23
저글링러커로 마린메딕파벳탱크사베 상대 30번만 해 보면 저그가 얼마나 컨트롤하기 힘든지 알 수 있죠.
분명히 이길 수 있는 병력이었고, 실수도 없었음에도 가끔 어처구니 없이 녹는 유닛 보면 대략 난감 ㅡㅡ;
04/02/05 22:49
전 개인적으로 저그의 마이크로 컨트롤이 더 어렵더군요. 프로브로 scv정도는 무빙샷으로 잡아낼수 있는 프로토스유저분들이 아직 극소수지만 계시기는 합니다.
04/02/06 01:32
오래된 정보.(제기준으로 오래됬다함은 99년도)
일꾼은 사거리를 갖는 유닛이라 언덕간사이,수풀지형내 등에서 랜덤타격률(70%)로 적용되고 다크스웜에서는 공격이 통하지 않죠. 과거엔 프로들 경기에서도 다크스웜속 럴커를 scv로 지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 요새는 없죠. 다크스웜속으로 scv를 밀어넣는것은 전술의 하나로 쓸때입니다. 공격우선순위에서 떨어지는 scv로 상대병력의 스웜과 스웜사이의 이동,혹은 스웜내의 이동을 저지하는 바리게이트로 쓰는거죠. 언덕회피로 잡는다건 보통 로템서 많이 쓰였는데 프로브와 scv를 예로들면,scv는 체력과 연사력의 우위땜에 타종족일꾼이 맞짱뜨자하면 굳이 사양하는 법이 없죠. 보통 상대scv정찰을 막으려할때 프로브는 언덕중간에 놓습니다. 이때 중간보다 조금아래쯤이 언덕의 고저차경계선인데 이곳에 위치하게되면 프로브는 언덕위,scv는 언덕아래가 됩니다. 상대시야로보면 프로브마빡이 조금 보일랑말랑 할정도죠. 이상태로 싸울때 scv는 랜덤타격이되서 체력과 연사력도 떨어진 프로브에게 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게다가 조금더 긴 프로브사거리와 포그로 인해 웨이정찰이건,어택정찰이건간에 scv는 한대 얻어맞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드론과 scv도 마찬가집니다. (상대일꾼의 끌어내기를 컨트롤싸움 해줘야하는 프로브와는 달리, 드론은 오버로드와 묶거나 라바와 묶어서 홀드를 해놓을수 있죠. 때론 심심할땐 좁은길목사이에 패트롤 시킬때도 있구요.)
04/02/06 06:47
컨트롤 적인 면도 있지만 본문에서 벗어나 저그는 체제 변환을 자주 해야 한다는 것이죠-_-; 테란은 마메 탱크 사베라는 체제가 갖춰져서 거의 변환하지 않죠. 그리고 토스의 경우에도 질곤+셔틀 이후에 뭐 캐리어를 가죠. 하지만 저그는 럴커링이나 뮤링 이후 히드라 럴커로 가야하죠. 그 다음 후반부에는 울링체제 + 디파일러 나 가디언인데 하나하나가 비싸죠-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