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2/05 07:51:15
Name SXDFSSX
Subject 스타크래프트 유즈맵을 통해 프로버전을 제작하자(1)


스타크래프트 프로버전  - 유즈맵 패치 - 1편


서론이자 결론 - starcraft pro version 유즈맵 제작

테란의 강세는 1.08이후부터 지속 되었습니다. 그러나 아주 최근 테란의 완성형 선수가 속속 출현하며

타종족 상대로 '위기 없는' 완벽한 승리를 보여주면서 스타판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 들었습니다.

이건 임요환 선수가 암울한 상황에서 테란의 전성기를 열때와는 상황이 다릅니다.  

이때에 우리 스타판의 운명을 '더이상 없다'고 공언된 블라자드에 패치에 전적으로 귀속시켜야 할까요?

그렇다면 무슨 방법이 있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얘기하겠습니다.

스타크래프트 기본 맵 에딧으로 제작가능한 유즈맵세팅맵을 통해서 일부유닛의 능력치나 가격을 바꾼 맵을

스타크래프트 리그에서 사용하자. 는 것입니다.

그것이 스타크래프트를 진정한 '프로스포츠'로 만들게 될 것입니다.

연재를 시작합니다.


------------------------------------------------------------------------------------


우선 이글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전제하고 쓰여진 글임을 밝힙니다.


------------------------------------------------------------------------------------


1) 현재 스타크 지상맵에서 밸런스는 테란에게 기울어져 있으며

그것은 2003년 후반 등장한 후기 '완성형 테란'으로 더욱 두드러졌다.

2) 현재 스타크 지상맵에서 프로토스의 경우 전통적으로 저그에게 약세이며

최근엔 테란 상대로도 약세를 보여준다.

3) 현재 상황이 계속 이어진다면 테란이 중심이 된 스타리그로 인기가 줄어들 수 있다.  

4) 본인은 스타리그가 없어지길 바라지 않고 더욱 부흥하기를 바란다.



------------------------------------------------------------------------------------



1,    1.07보다 1.08은 훨씬 더 오래된 패치이며 전략과 맵의 변화는 더욱 힘들다  


우선 밸런스 붕괴의 측면을 연역적인 입장해서 풀이해 보겠습니다.

현재 1.10패치는 1.08밸런스 패치의 연장으로서 2000년 당시 1.07패치시절의 테란의 어려움점을 개선한 패치라는 것입니다.

블리자드가 1.08을 내놓는다는 것이 바로 2000년 중후반 '임태주'기자님이 스포츠 조선에 올린 기사로 공론화 되었습니다.

1.08패치는 1년정도 지나서 2001년 중반에 단행되었고 이후 1.08 패치'스타리그'는 현재 2년 반정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99년 00년 01년으로 이어지는 1.07패치 '스타 리그'의 최소 6개월이상이 더 긴 것이 1.08 패치 '스타리그'의 역사입니다.

물론 질적으로도 1.08패치 '스타리그가' 더 치열했습니다.

스타크래프트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있었고 스타크래프트로 할 수 있는 더 많은 실험이

1.08 리그 기간중 이루어졌습니다.

그렇다면 주로 2000년 2001년 초반 상황을 기준으로 작성된 1.08패치의 밸런스가

현재에까지 맞는 것이 오히려 이상하지 않습니까?

요컨데 시대가 바뀌면 법도 어느정도 바뀌어야 정상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당연히 문제가 생깁니다.

그 시대적 상황이 다르면 얼마나 다른가요? 아시는 바대로 많이 다릅니다.

실례로 1.07 낭만 시대의 게이머는 혈중 알콜농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오프 대회를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중요한 결승전 이전에 심하게 놀다가 다쳐서 '침을 맞고' 결승전을 치루고 승리를 하기도 했습니다.

'전용마우스 키보드'와 '전용 마우스 프로그램'의 개념도 희박했습니다.

또한 키보드에서 필요없는 '키'를 제거한 것도 바로 1.08패치 이후의 일이며

현재엔 LCD모니터의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반응이 몇 프레임 느리다는 이유로

각종리그에서 CRT모니터를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1.08이 1.07에 비해서 더 치열한 연구가 가속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리플레이 때문입니다.

1.07시절엔 전략의 수립과 피드백의 단계가 지금보다 현저히 느렸습니다.

그러던것이 빌드오더가 공개되고 리플레이가 출현하면서 새로운 전략의 전파와 그 파해가

더욱 빨리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대가 어떤 새로운 빌드를 사용했을 때, 그것에 당하고 나서, 동료와 함께 그것을 여러번 시전해 보고

거기서 상대의 전략을 추측하던 1.07의 시절과는 역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실례로 99POK에서 이기석 선수가 로템에서 더블넥서스로 저그를 잡아나가다가 리그 후반 저그에게 역습을 당했지만

현재엔 그러한 신전략이 어렵게 탄생되어도 그 다음주에 바로 파해되는 현상도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1.07보다 현재 테란이 득세하는 1.08은 훨씬 더욱 연구가 많이 된 패치이며

새로운 맵의 등장이나 전략의 등장으로 변화할 수 있는 '잠재력' 1.07말기보다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1.07말기에 테란이 한빛소프트배에 대규모로 테란이 올라온 것을 보면

맵과 새로운 전략으로 어느정도 패치가 진행됨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당시 초고수 레벨에서는 테란이 타종족에 비해서 암울했던 것이 아니라는 논거도 심심 찮게 등장합니다.

그러므로 '프로토스가 더 암울해야' 정신을 차린다는 의견이나 '과거의 비교해 볼때 지금의 암울함은'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의견은 옳지 않습니다.

스타크래프트 전체 패치 역사를 놓고 볼 때에도 가장 긴시기를 지나고 있는

1.08~1.10패치의 스타리그 이제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합니다.




다음편 예고

2,   스타리그의 Starcraft는 프로스포츠로서 꾸준히 룰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크섬-_-v
04/02/05 08:3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맞고요.단지 바램일뿐 . .과연 바뀔지는 모르겠군요 .
저도 이제는 바껴야 할때인것 같습니다.지금은 이렇게 생각할수 있죠..완성형 테란은 몇안된다 .최연성,이윤열 하지만 이런 선수가 계속 속속 나온다면 언젠가는 테란판이 될꺼는 뻔합니다 .정말 이제는 바꿔어야 할때가 온것 같습니다.
제3의타이밍
04/02/05 09:13
수정 아이콘
하지만 자꾸만 블리자드의 더 이상의 스타크 패치는 없다는 말이 자꾸 생각나서 안타까움만 ~ ㅠㅠ
박종안
04/02/05 09:41
수정 아이콘
그런 생각은 대부분의 게이머(일반인+프로게이머)들이 생각을 해봤을 것입니다. 하지만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정사항에 대해서도 상당히 말이 많겠지만 일단 그 수정사항을 누가 제작하느냐가 큰 문제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04/02/05 09:59
수정 아이콘
각 방송사에서 다른 유즈맵을 사용한다면? 공방과의 괴리는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프로게임이기에 일반 게이머와 룰 또는 게임내용(밸런스적)이 달라도 된다라는 말에는 동의하기 힘들군요. 현재 공방에서의 밸런스는 적절하다고 생각하기에...또 프로와 일반유저와의 괴리는 인정할 수 없기에...패치는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TheInferno [FAS]
04/02/05 10:58
수정 아이콘
프로와 일반유저간의 룰의 차이는 있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좀 다른 예지만 NBA 에서는 게임을 4쿼터로 분할하고 공격제한시간을 24초로 두었으며 지역방어를 금지하고 3점슛라인을 1미터정도 뒤로 늘리는 등 자신들만의 룰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게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추세구요.
04/02/05 11:07
수정 아이콘
아~! 베틀넷에서 테란을 사용하고있으면서도 저그가 테란을 멋지게 잡는 경기를 보면 엔돌핀이 솟는 저는...........어떤 병이죠?
04/02/05 11:07
수정 아이콘
룰의 경우는 그렇네요...잘 알겠습니다. ^^;;
까꿍-_-러커
04/02/05 12:00
수정 아이콘
사실 래더를 쓰는 사람도 없기 때문에 승수 문제만 해결이 된다면 공방에서 프로게이머 유즈맵을 쓰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닐 것 입니다.

결국 다수의 힘으로 권위를 줄 수 있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공방에서도 그 유즈맵을 쓰는 사람이 다수가 된다면 블리자드가 패치를 통해 줄 수 있는 권위를 다수의 유저가 줄 수 있게 되는거죠.

게임 방송사와 프로게이머 협회에서 정말 진지하게 논의한다면 자연스럽게 권위를 얻게되고 공방에서도 유즈맵을 통해 보급되면서 다수 유저가 스스로 패치를 만드는 셈이 되는거죠.
04/02/05 16:48
수정 아이콘
플토 지상전 테란하고 비슷하거나 유리한데요 -_-
비류연
04/02/05 17:46
수정 아이콘
일반인에게도 그 유즈맵을 제공하면 되는겁니다. 전적은 안오르겠지만 전적올릴라고 스타하는게 아니잖아요^^
04/02/05 19:18
수정 아이콘
플토vs테란 개방형맵이라면 토스가 유리한데... 언덕이나 구조물 있음
-_- 낭패라는 ㅠ
스타매니아
04/02/05 21:39
수정 아이콘
letina님 의견에 올인~
언덕저글링
04/02/06 03:49
수정 아이콘
아예 버전을 과거로 돌리는 것은 어떨까요? 대략 1.05 정도 되면 어떨지 ㅡ.ㅡ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33 공천반대 인사 목록 공개!! [54] 여미3151 04/02/06 3151 0
1731 [잡담]천국의 계단마지막회 끝부분. 내가 보기엔 ..... [68] 캐터필러6455 04/02/05 6455 0
1730 마지막 남은 관문을 통과하다... [33] 피플스_스터너3475 04/02/05 3475 0
1729 인류역사상 가장 참혹했던 전쟁... [28] 다크니스5108 04/02/05 5108 0
1728 스타의 밸런스와 테란... 프로게이머와 일반유저 [33] 스타매니아4257 04/02/05 4257 0
1727 요즘 엠겜에게 대해서 & 하고싶은 말(오늘 경기 스포일러 아주미약) [18] ㅇㅇ/4073 04/02/05 4073 0
1725 재밌는 MBCgame6. [32] cli6197 04/02/05 6197 0
1723 다른종족도 마이크로 컨트롤이 필요한가.. [28] Playi4230 04/02/05 4230 0
1722 투나 SG에 대하여... [33] 겨울이야기a6195 04/02/05 6195 0
1721 스타리그의 패러독스2 프로리그의 어나더데이....두맵을 서로 바꿔서 사용해보면? [11] 질럿의꿈 ★3208 04/02/05 3208 0
1720 [잡담]테란의 Now & Then [43] ik094106 04/02/05 4106 0
1719 [잡담] 한국 농구 [24] TossLize3798 04/02/05 3798 0
1718 생각하면 눈물나는.. 안쓰러운 그사람.. [22] Muse4516 04/02/05 4516 0
1717 www.game-q.co.kr [34] Lenin4265 04/02/05 4265 0
1715 흐음.. [2] 01UpMarin3890 04/02/05 3890 0
1714 역대 최대 군사강국은? [28] 國泰民安4716 04/02/05 4716 0
1712 [잡담]2월5일자 스포츠 투데이 신문에... [9] GatsBy[CmC]4175 04/02/05 4175 0
1711 기억의 압박. [19] 義劍無敗=GunDam3176 04/02/05 3176 0
1710 저그 브루드에 관한 블리자드의 설정 고찰. [21] pErsOnA5120 04/02/05 5120 0
1708 [잡담뒷북]최연성선수의 아카데미에서의 업글의 이유 [28] 제3의타이밍6719 04/02/05 6719 0
1707 최연성 선수가 앞으로 자신을 어떤 이미지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좋을까요 [19] 천상천하유아4426 04/02/05 4426 0
1706 스타크래프트 유즈맵을 통해 프로버전을 제작하자(1) [13] SXDFSSX3207 04/02/05 3207 0
1705 최연성, 임요환선수의 판이하게 다른 플레이.. 그리고 강민 [18] 허유석5509 04/02/05 550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