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8/04 00:41:07
Name SEIJI
File #1 SKY2005.jpg (293.7 KB), Download : 17
Subject 2005 SKY 프로리그 1라운드 각 팀별 분석 <6> - 팬택앤큐리텔


(위의 사진은 vividvoyage님이 게임 리포트 게시판에 올려주신걸 제가 수정한겁니다.
빠진 남은경기 승패 집어넣고 합계와 공헌도 부분 삭제했습니다. 원본은
https://pgr21.com/zboard4/zboard.php?id=newvod&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keyword=1R&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198
로 가면 보실수 있습니다.)



<팬택앤큐리텔>
테란 10승 7패    59%   70%
저그 1승  2패    33%   13%
플토       4패      0%   17%

개인 11승 13패  46%
팀플 11승 9패   55%

개인전에이스 : 이병민(4승1패)
팀플에이스 : 안석열(10승6패)
MVP : 이병민(개인 4승1패 팀플 6승3패 종합 10승 4패)
--------------------------------------------------------------------------------
프로리그가 시작할때만해도 팬택앤큐리텔은 SK,KTF와 3강에 꼽히며 아무도 팬택앤
큐리텔이 플레이오프에 떨어질거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스토브리그동안 나도현,
안석열선수의 영입등 의욕적인 투자와 기존 이윤열, 이병민선수의 건재는 팬택앤큐리텔
을 우승후보로 꼽기에 충분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참담하네요.

역시 팬택앤큐리텔의 이번 라운드 부진의 가장 큰 이유는 이번 라운드 내내 시끄러웠던
팀내 분위기 때문이겠죠. 이재항선수의 엔트리제외와 그에 따른 이재항, 서기수, 심소명
선수의 팀이탈등 팬택앤큐리텔의 분위기는 한시도 조용할 날이 없었습니다.
그것이 팬택앤큐리텔이 6위에 쳐진 가장 큰 이유일 껍니다.

팬택앤큐리텔의 가장 큰 문제는 11개팀들중 개인전 밸런스가 가장 최악인 팀중 하나라는
겁니다, 적어도 다른 팀들이 두종족만큼은 출전률이 20%를 넘는 반면에 팬택앤큐리텔은
테란만 출전률이 70%이고 저그, 플토는 10%대입니다. 이는 팬택앤큐리텔이 지나치게
테란 중심적으로 플레이를 했고 이는 다른팀에게 쉽게 엔트리를 들키게 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가위 바위 보를 적절히 낼수있던 SK나 적어도 가위 바위는 제대로 낸 타팀에
비해 오로지 가위만 낸 팬택앤큐리텔은 개인전이 좋은 성적을 거두기가 힘들죠.
각종족이 서로 밸런스를 맞추는건 그저 한 종족만의 문제가아닌 종족끼리 서로 영향을
끼치며 상승효과를 주는 문제입니다. 이점에서 팬택앤큐리텔은 종족의 밸런스를 맞추는
데 실패하고 그로 인해 개인전 부진을 가져왔습니다.

밸런스가 붕괴된 가장 큰 원인은 역시 팬택앤큐리텔의 저그라인을 지탱하던 이재항선수
의 엔트리제외 때문입니다. 팬택앤큐리텔의 색깔은 테란, 저그라인이 확실하다라는것에
있었고 그 중심에는 이윤열, 이병민 그리고 이재항선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라운드
어떤 이유인지는 몰라도 이재항선수는 송호창감독에 의해 발탁되지 못했고 결국 이재항
선수는 팀을 나오고 말았습니다. 그때문에 팬택앤큐리텔은 확실한 저그개인전 카드를
상실해버렸고 저그는 3번 출전해서 1승 2패의 성적을 거두는데 그쳤습니다.

플토라인은 안기효, 손영훈 두선수가 담당했지만 두선수다 2패에 그쳐 0승 4패로 마감
했습니다. 11개팀중 플토가 1승도 못거둔건 팬택앤큐리텔 밖에 없고 확실히 팬택앤큐리텔은 플토라인의 보완이 시급히 필요합니다.

이런 총체적인 난국에서도 그나마 테란라인은 제몫을 하며 역시 테란 강팀의 면모를 유감
없이 보여주었습니다. 10승 7패 59%의 승률로 다승 1위, 승률 3위에 오르며 SK와 더불어
테란 양강을 확실히 구축했습니다. 에이스는 이병민선수 4승 1패로 팬택앤큐리텔의 테란
라인을 잘 이끌어주었습니다. 이윤열선수는 3승 3패로 자신의 명성에 비하면 못미치는
성적을 거두었습니다만 팀플에서 좀더 활약했네요. 김상우 선수도 2승으로 뒤를 받치고
한가지 아쉬운건 새로 들어온 나도현선수가 1승 3패로 부진했다는 점입니다. 나도현선수
가 예전의 미스터리한 포스를 되찾는다면 이윤열, 이병민, 나도현의 팬택앤큐리텔 테란
라인은 임요환, 최연성, 전상욱의 SK 테란라인에 결코 뒤지지 않는 라인을 형성할수 있을
겁니다.

팀플에선 팀플의 최강 심소명선수가 팀을 이탈하는등 문제가 있었지만 그대로 무난히
잘 지탱되었습니다. 여기엔 심소명선수를 대신해 팬택앤큐리텔의 팀플을 이끈 이적생
안석열선수의 공이 크겠죠. 10승 6패로 심소명선수의 빈자리를 확실히 메꾸며 팬택앤
큐리텔의 팀플을 책임집니다. 이병민, 이윤열 투테란이 6승 3패, 5승 2패로 안석열선수
와 호흡을 맞춰 활약했습니다. 특히 이병민선수는 개인전에서도 4승 1패 팀전에서도 6승
3패로 맹활약하며 팬택앤큐리텔의 에이스로 확실히 자리매김했습니다. 온게임넷에서도
준우승을 하고 요즘 이병민선수의 포스는 정말 덜덜덜입니다. 더이상 무관심을 받을
이유는 없을 것 같군요.

앞에서도 말했지만 팬택앤큐리텔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팀밸런스를 찾는것입니다. 70%
라는 높은 출전률을 가지는 테란라인은 그만큼 타팀에게 쉽게 읽힐수 있는 약점이 될것이
분명합니다. 이재항이 빠진 저그 개인전라인의 복구가 시급하며 플토라인도 안기효,
손영훈 두선수의 분전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어쩌면 KTF의 테란라인, 저그라인의 문제
보다 더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되는군요.

팬택앤큐리텔은 강팀이지만 너무 지나치게 테란 일변도로 강한 강팀입니다. 한쪽만이
강한 강팀은 바로 그게 약점이 될수있고 아킬레스건이 될수 있습니다. 밸런스가 뛰어난
SK, GO의 예처럼 송호창감독은 테란에게만 너무 집중적인 부담을 주지않고 저그, 플토
개인전 카드를 육성하고 키우는 노력을 해야 팬택앤큐리텔은 진정한 강팀으로 성장할수
있을 겁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필요없어™
05/08/04 00:54
수정 아이콘
이네이쳐 피터 선수가 1승 올리지 않았나요? 차재욱 선수 상대로.
05/08/04 01:06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Nada-in PQ
05/08/04 01:11
수정 아이콘
잘 보고 있습니다..
더운데 수고하십니다...^^;
네고시에이터
05/08/04 01:33
수정 아이콘
이재항 선수와 관련된 사실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것인지요?
05/08/04 03:08
수정 아이콘
전 안석열선수가 개인전으로 뛰고 심소명선수가 팀플을 책임져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휴.
blue wave
05/08/05 12:50
수정 아이콘
SEIJI 님 안녕하세요. 좋은 자료네요. 안석열 선수 카페 http://cafe.daum.net/ZergJJang 로 퍼갈께요.^^
좋은 분석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323 [잡담]스타리그에도 토토가 생긴다면?? [8] 황제의재림5058 05/08/06 5058 0
15322 영화, 드라마, M/V의 명장면. [24] EndLEss_MAy4285 05/08/06 4285 0
15321 실연의 아픔이 내게 오다. [11] 격정천4916 05/08/06 4916 0
15320 좀 뒷북입니다만, 프로리그 결승전 KTF엔트리는 실패한것인가요?? [75] Aiur4891 05/08/06 4891 0
15318 SO1 스타리그 2주차 경기 예상 [10] 황제의재림5851 05/08/05 5851 0
15317 프로리그 올스타전 적절한 후보를 선정한다면... [18] SEIJI6640 05/08/05 6640 0
15316 [연재]hardcore-1.아마추어-(5)제 1경기 [4] 퉤퉤우엑우엑4437 05/08/05 4437 0
15314 고민이 있습니다. [22] TheName4569 05/08/05 4569 0
15313 악플러를 별도로 관리하자 [9] Golbaeng-E4428 05/08/05 4428 0
15312 So1 배 스타리그 관전평 [19] 사일런트Baby5716 05/08/05 5716 0
15311 30 만원으로 할 수 있는 일 [17] jerrys7226 05/08/05 7226 0
15309 우리에게 흥분되는 기대를 심어주는 프로게임계의 라이벌구도 [21] 서지원4085 05/08/05 4085 0
15308 올스타전?팬 투표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아니 없습니다. [70] 퉤퉤우엑우엑5520 05/08/05 5520 0
15307 최근 1년간 주요 TvsZ 강자들의 TvsZ 전적. [18] 진리탐구자4282 05/08/05 4282 0
15306 변은종 선수...ㅡ.ㅡ; [43] Slayers jotang6542 05/08/05 6542 0
15305 역대 저그 vs 저그 최고의 명승부......(저그 vs 저그전 사상 최장시간경기) [141] 초보랜덤9493 05/08/05 9493 0
15304 본프레레감독 경질 위기입니다. [67] ForChojja5478 05/08/05 5478 0
15303 하나둘셋~! [25] 황제의재림5269 05/08/05 5269 0
15302 [8월 6일 해운대] MSL의 결승전이기 때문에 자신있게 권해드립니다!! [34] 청보랏빛 영혼5392 05/08/05 5392 0
15301 프로리그의 새로운 방식? [7] 로드런너5372 05/08/05 5372 0
15300 2005 SKY 프로리그 1라운드 각 팀별 분석 <9> - POS [9] SEIJI5321 05/08/05 5321 0
15299 여기는 울릉돕니다!!! [13] 라임O렌G4601 05/08/05 4601 0
15298 올스타전 투표 이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데이타 추가) [170] 말코비치8378 05/08/05 83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