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1/28 16:02
128*128 이 아니면 옵저버가 상당히 난감하다는 글을 한 반년전쯤에 여기서 본거같군요~ 그때 온겜넷 옵저버하시는 분이 직접 얘기하시던데요~
또 게임시간이 적당해지구요~ 128*128 이요~
04/01/28 16:09
3:3 하면 예전에 강도경씨가 그랬죠.. 옵저버하기에 방송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네요...이쪽 저쪽 싸움많이 일어나고..초반에도 진영소개하다보면 시간 많이 빼앗기고...팀밀리라면 가능하겠지만..
04/01/28 16:17
온겜넷 프로리그에 쓰이는 네오 버티고 플러스는 192*192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3v3 은 너무 정신사나워서 힘들것 같네요. 1v1만 하더라도 옵저버분이 잠시 시선을 돌리면 어느샌가 떨어지는 셔틀드랍등에 명장면을 놓치는 경우도 종종 있구요.
04/01/28 16:23
192*192 정도 맵 크기에 스타팅 포인팅 정해서 좌우로 3vs3 하면 재밌을 것 같은 생각은 저도 예전부터 많이 했었습니다. 물론 특수 제작한 맵으로요. 우군의 스타팅은 최대한 가까이 붙어있고 자원도 아주 적게.. 협동을 해야만 하게끔.. 이런걸로 이벤트 전 같은 거라도 한 번 했으면 좋겠는데.. 삼국지 같은 느낌이랄까요? ^^;
04/01/28 17:35
버티고는 128 아닌가요? 겜해보면 예전과 맵 크기가 바뀐거 같진 않더군요. 센터도 그렇고... 차라리 남자 이야기가 192 같은 느낌이 좀 들죠. 물론 128 이지만요. 그 광활한 센터를 다 커버 할려면 넘 힘들어요.
04/01/28 17:52
팀 밀리의 경우 한 종족만 한다고 해도 빌드오더가 약간 바뀌지 않나요? 초반에 밥집 부담이 약간 적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빌드오더가 바뀐다면 상당히 신선한 게임이 나올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04/01/28 17:54
음... "버티고 플러스"인데 제가 "네오 버티고 플러스"라고 해서 그런가요? 온겜넷 Map게시판에는 어나더 데이와 버티고 플러스가 192*192라고 되어 있는데.. 지금 난감해 하고 있습니다. ㅡㅡ;;
04/01/28 18:49
팀밀리가 도입되게 되면 선수들이 밀리와는 많이 다른 게임방식에 익숙해지는데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게 될 것 같은데요.(그래도 한경기니까 중요하죠) 그렇게 되면 각팀의 에이스급 선수보다는 비중이 적은 선수들이 전문으로 활약하게 될 듯 하네요... 근데 이 경우 그 선수들의 개인리그 연습은 어떻게 되나요(혼자 상상하면서 고민하는 중-_-) 경기는 확실히 신선하고 재밌겠네요.
04/01/28 19:01
뭐랄까 실황중계는 정신 없겠지만 여러명의 옵저버를 두고 나중에 편집해서 본다면 정말 vod로선 최고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고요.
04/01/28 20:29
네오 버티고 플러스는 아직 없죠... 버티고 플러스는 128*128사이즈 입니다.
그리고 192*192일 경우엔 맵의 사이즈는 맵의 크기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미니맵의 사이즈가 더 작게 보이기 때문에 컨트롤이나 업져버 하기가 더욱 까다로워져 안 쓰이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04/01/28 20:39
저도 예전에 게임 방식에 대한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가 조금 더 발전하고 안정화되면.. 같은 스포츠에도 체급이나 여러 종목이 있듯이.. 기본 밀리, 팀밀리, 서든데스 같은 다른 방식을 적용해보는 것도.. 꽤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했었죠.. 각 방식 마다 매력과 장단이 다 있으니까요~!
04/01/29 09:38
팀밀리전을 한다는 조건 하에서는 맵은 추천식으로 해보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어짜피 온겜임넷 맵정도야 항상 선수들이 따로 연습하지 않아도, 맵의 형태 정도는 알고 있겠죠. 또한, 팀밀리는 생산과 병력을 나눠서 한다는 점에서는 다른 어떤 여타의 경기보다 완벽한 경기를 보여줄 수 있겠구요.
선수 개개인에게도 부담도 덜 되고, 팬들에게 재미를 주기 위한 것이라면, 팀밀리제는 꼭 도입되었으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