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1/22 09:20
토론 리스트 몇줄만 내려가보면...스타크팁 다모여라~! 프로토스 라는 제목의 글이 있습니다. 거기서 확인하심이...좋을듯 하네요.
04/01/22 09:26
프로토스의 가장 중요한 것은 다양성과 마인드입니다. 변칙과 정석을 고루 사용하는(약 1:3, 1:4 비율로) 올라운드 플레이어야하죠. 특히 변칙이 적당히 성공했다면 그 후 빠르게 정석으로 넘어가는 것도 중요하죠.
둘째로 마인드.. 테란전이나 저그전이나 프로토스로 플레이하다보면 '나오는 것만 잡자'라는 생각을 가지기 마련입니다. 뭐 성큰, 탱크벙커벌쳐 방어라인을 힘으로 뚫는다는 게 정말 부담가는 일일수도 있습니다만, 어쨋든 이런 마인드는 버리는게 좋습니다. 나오는 것만 막자 라는 생각은 자칫 플레이를 소극적으로 만들어버릴 수가 있거든요..(그리고 쉽게 한계에 부딪히곤 하지요.) 어쩔땐 끊임없는 게릴라를 통해 빈틈을 만들어내 뚫어버리고, 어쩔땐 무한확장식 플레이로 병력을 조금씩 갉아먹고. 이런식으로 말입니다.
04/01/22 09:47
아래 글에 많이 나와있지만..첫 리플 기념으로 좀 길게 적을께요.^^
쓸모없는 내용이 많겠지만..하나정도는 도움이 될지도.. 건물 번호지정은..보통 4번 부터 게이트 쓰면 3번이 초반에 비잖아요. 초반엔 1,2번이면 유닛쓰는데 충분할테니까 3번을 사이버네틱스 코어나 로보틱스, 아둔 같은걸로 지정하고 유닛 컨트롤 하면서 한번씩 눌러서 어느정도 완성 되 가는지 보시면.. 딱 완성되자 마자 쓸 수 있겠죠.. 글구 음..자기 번호를 확실히 정해서 쓰는게 좋을거 같아요. 어떨땐 커세어를 2번 쓰다가 셔틀을 2번 쓰고 하면 햇갈리니. 리버 커세어 할땐 무조건 병력 1번, 셔틀 2번, 커세어 3번 옵 드라군 할땐 병력 1,2번 첫 옵져버 3번.. 셔틀 나오면 셔틀 3번.. 머...이런식으루 ..나름데로 하시면 되겠죠. 화면 지정은 저같은 경우는 본진 F2, 첫멀티 F3, 다음 멀티 F4.. 그리고 멀티 늘릴때 마다 F4 번으로 지정하주고요.. 게이트는 0번 까지 지정하다 더 많아지면 F2 로 화면 불러서 써요. 어차피 본진에 게이트 있으니..따로 안 지정해주구요.. 음..역시 플토의 재미는 4z5z6z7z8z9z0z , 4d5d6d7d8d9d0d, 4r5r6r7r8r9r0r 이거 안틀리고 빨리 하는데 있는거 같은데..^^;; 4z5d6d7t8t9k0t 이런건 넘 어려워서 못 하겠네요. 연습중.. 참고로 제 실력은.. 친구들 사이에선 무적인데 벳넷에선 맨날 지는 실력입니다 ㅡㅡ;
04/01/22 11:15
게이트 넘버링할때. 게이트를 전부다 하는 경향이 있는데.
전 그냥 0번한개만 씁니다. 특히 프로토스 게이트는. 어짜피 게이트는 옹기종기 모여서 건설하기 때문에. 0을 두번 눌러주면 게이트 모여있는곳으로 화면이 전환되므로 그화면에서 마우스로 일일이 찍는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04/01/22 11:46
게이트건설하는 위치 역시 생산에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는데요
정렬해서 짓지 않으면 생산할때 불편하자나요 횡대나 종대로 나란히 건설해주는게 생산시 불편함이 최소로 줄어듭니다.
04/01/22 12:23
F2. F3, F4키를 사용하는것도 좋습니다. 수시로 랠리포인트를 변경하는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기는 합니다만, 그만큼 대규모 유닛컨트롤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숙달만 되면 정말 물량 하나는 끝내주는 프로토스가 될수 있습니다.
04/01/22 14:07
ChRh열혈팬 님 그거 미네랄 쪽에 지정해가지구 하는거 아닌가요??
일군 태러 막을라구 많이 하던데;;; 건물에도 지정이 되나?
04/01/22 14:20
몇 가지 적는다면 생산건물을 꼭 궂이 4.5.6.7.8 이런식으로 지정안해도 됩니다. 저 같은경우 화면전환을 F2는 본진미네랄근처(드랍 대비) F3은 앞마당미네랄근처(언덕럴커.언덕탱크 등) F4는 게이트 주변으로 지정해둡니다. 마우스로 단축키로 유닛뽑는것도 효율성이 좋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점 저 위에 어떤분이 말씀하셨는데 대 테란전 경우 요즘은 정석으로 하면 밀리는 분위기입니다.(프로게이머 사이에서는)옵 드라군을 요즘은 안쓰는 추세로 넘어가죠. 대표적으로 강민선수와 이재훈선수를 들 수 있습니다. 이재훈선수는 오직 질럿.드라군(프로토스의 로망 *-_-*) 으로 테란을 밀었지만 요즘은 테란전을 연거푸 패하고 있습니다.(개인적으로 이번 듀얼을 기대합니다 ^^) 강민선수는 쭉 테란전 성적이 좋구요. 차이점은 뭘까요? 그렇습니다. 강민선수는 변칙전략을 많이도 아닌 '적절히' 사용해준다는 점입니다. 리버.다크.캐리어 등이 그 예로 들 수 있겠지요. 요즘은 김성제선수도 그런 쪽입니다. 그래서 요즘 분위기가 좋은게 아닐까 합니다만...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번더 강조하는건데 4d5d6d7d8d9d 이런식으로 하는것보다 F4 마우스클릭->D->클릭->D 이런식으로 하는게 훨씬 구멍(ㅡㅡ;)도 안나고 좋습니다. 특히 APM이 200대 이하시라면 저게 더 좋습니다. 저도 150정도로 꾸준히 나오는 프로토스 유저인데 요즘은 4d5d6d를 안씁니다.
04/01/22 15:11
저는 건물지정 화면지정보다 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스페이스를 활용하면 정확히 유닛을 뽑아야할 시간에 뽑을 수 있어서 좋은것 같습니다. 다만 좋지 않은것이 있다면 자주 파일런이 막혀서 자원이 남는 경향이 -_-a
04/01/22 15:48
간단한 팁이라면 미네랄이 배치된 곳의 양 끝 부분의 빈 공간을 파일런으로 막는 것 정도... 이건 정찰 SCV를 두 번 죽일 수 있는(?) 겁니다. 또 중요한 것은... 대 테란전의 경우에는 무턱대고 일정 수 이상의 드라군이 충원된 이후에는 질럿만 찍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면 나중에 한타싸움 이후 위험해질 수도 있으니... Z와 D를 적절히 섞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외에는 셔틀 같은 유닛에게 부대지정을 해 둬서 잊어먹지 않게 한다든지...
생산력 같은 건 저는 본진 게이트들은 번호를 따로 지정하고 기타 지역의 게이트들은 번호 하나를 주고 번호로 화면을 전환한 다음 마우스-단축키 클릭을 합니다. 다나토스를 잘 하지 않기 때문에 이정도로도 충분하더군요. 그리고 생산력에서 가장 중요한 건 막히지 않는 파일론입니다... 솔직히 APM 100만 넘어가도 할 거 다 하더군요... 전 High APM이 140 정도인데도 정말 위급한 경우를 빼고는... 어지간한 정도는 되더군요.
04/01/22 16:04
글의 본문과는 좀 상관없는 내용이기는 하지만요, 토론게시판에 글을 올릴 때에는 자기의 생각이 현재의 본문보다는 좀 길어야하고, 자신의 정보를 공개해야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들었습니다. -_-;;
04/01/22 19:53
기본적으로 프로토스 유저는 손이 느리기 때문에 자신이 할 일만 한다 라는 마인드로 플레이 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저것 생각하기 보다는 보다 단순하게 플레이 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죠. 물론 전략적으로 단순한것이 아니고 자기가 밀고 나갈 수 있는 전략을 그냥 일관되게 밀고 나가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04/01/22 23:49
1번2번은 공격병력과 멀티지키는 병력으로 항상 지정하고요. 3번은 초반 본진 일꾼(얼른 파일런 짓기용) 그 후 커세어나 셔틀입니다. 4번부터 7번은 게이트 8번 로보틱스나 스타게이트(단축키 o가 가까움) 9,0번 넥서스(p가 가까움^^) 이정도까지가 대충 본진자원에서 앞마당 먹을때까지의 진행상황입니다.
병력과 게이트가 늘어나면 1-4번 유닛 5-0번 게이트(6게이트)로 합니다. 게이트가 그보다 늘어나면 일단 5-0번은 단축키로 생산하고 5z6z7z8z9z0z 후 0을 타닥! 눌러서 게이트 몰려있는 화면으로 간 후 나머지 6개의 게이트 정도에서 생산합니다. 전 게이트를 6개 단위로 나눠짓는 편이라.. 이렇게 하면 언제나 6게이트 정도는 풀로 돌고 있고 컨트롤하다가 잠시 짬나면 나머지 6게이트도 돌립니다. 만일 12개의 게이트를 화면지정으로 이동하고 zzzz 누르면 시간이 너무 걸립니다;; 화면지정은 F2는 본진 미네랄 F3은 멀티 미네랄 F4는 제2멀티 미네랄 또는 앞마당 언덕(양아치 테란 상대^^ ) 제3멀티가져갈때쯤 본진 자원 떨어지니 F2는 제3멀티도 바꿔줍니다.. 사람에따라 틀리겠지만 전 부족한 APM을 단축키의 100% 활용으로 메꾸려고 하는 편입니다^^
04/01/23 02:09
저는 초반에는 보통 유저분들께서 하시는것처럼 건물 부대지정을 3,4,5,6,7 이런식으로 하지만요, 나중에 게이트가 많아지면; 유닛이 1,2,3,4(많으면 5까지;) 정도가 된다면 말이죠, 게이트모여있는곳에서 단 하나만을 부대지정 해줍니다. 그리고 뽑을때에 그 부대지정 키를 두번 타닥!; 눌러주고 마우스로 클릭해서 뽑습니다-_-;;; 에.. 그래도 어느정도 물량 되구요, F2,F3,F4 키에 익숙치 않은 분들에게 추천!(제가 그럽니다-- 도저히 안되겠더라구요; 키가 멀어서인지..)
04/01/23 12:04
전 초반: 45게이트 1,7넥서스, 2정찰 프로브, 123초반 병력..
중후반:5게이트, 12질럿드라군 3템&리버 4나머지..(다크) 7커세어 890옵.. APM 보통 250정도 나오는 군요..
04/01/23 17:31
오늘 apm 280인 프로토스를 만났습니다.. 노스탤지아에서 저그로 원사이드하게 이겨버렸는데요.. 실력이 별로더군요.. 핫키비율이 그렇게 높은것도 아니던데 apm이 그렇게 높은게 신기했구요.. 아무튼 프로토스는 손빠르기보다는 전략,운용능력이런게 더 중요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04/01/23 18:54
아무래도 게이트 늘리는 타이밍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멀티 하기전에는 3개 정도, 멀티 늘리구 나서부터는 있는 게이트들을 쉬지 않고 돌리면서도 미네랄이 남을때 게이트를 늘려주구요
04/01/23 19:22
최고 apm은 300 은 나와야 난전때 뭘 해먹을 수가(?) 있습니다.
생산력은... 4z5z6z7z8z9zz 4e5d6d7d8 이런거.. 능수능란하게 할 수 있다면 보강되지 않을까...생각해봅니다. 이 분야는 박정석 선수가 엄청 강하다는데..^^
04/01/23 19:24
템플러로 스톰 쓰기 전에 s키 한번 눌러주고 씁니다. 템플러는 무빙중일 때가 많은데, 이 때 스톰을 쓰게 되면 바로 멈추지 않고 좀 걸어간 후 스톰을 쓰게 되지요. 이렇게 되면 그 찰나의 순간동안 저그 병력들에게 엄청나게 얻어거나 스톰의 사거리도 제대로 활용이 안되는데, 이런 점들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정확한 클릭이 필수입니다. 엄한 질럿까지 스톱시키면 낭패죠.. -_-;
04/01/23 21:24
전 플토로는 테란만 상대하지만..제가 하는 번호지정 하는경우는 초반 4,6번게이트(한게이트 동시에) 2본진넥서스 3앞마당 넥서스 F키는 전 F2하나만 사용하는데 유닛 모아놓는 진영에만 지정하고 F3 F4키는 정이 안가더군요^^ 게이트는 한쪽에 옹기종기 지정해줘서 6번을 눌르고 생산해주고요..드라군 1,2 질럿 3,4 셔틀9 옵저버5 이런식으로 지정합니다.중반정도에 1,4 2,3 이런식으로 병력 양쪽으로 해논담에 12어택 34 무브 해주면 좋더군요 옵저버5번의 의미는 플토VS테란에서 제일중요한 마인에 의한 폭사는 없어야 된다는 생각입니다. 초반 넥서스에서 불이 안꺼지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요..음..제3멀티를 하실때에는 옵저버1 드라군2정도로 편성하셔서 멀티지역에 마인제거와 동시에 프로브 입구에 들여보내고 드라군2 옵저버 하나로 멀티입구 카바해주시고..드라군4~6으로 테란 진출 나오기전 입구 정도에서 계속 시위해주시고(기싸움-0-;) 섬에 프로브 하나씩 떨궈놓으시고 옵저버로 테란이 드랍쉽 쓰나안쓰나 파악하시고 등등등..전 넥서스에서 불이 안꺼지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04/01/23 22:48
저같은 경우에는 프로토스 유닛단축키 특성상 3번이후로 게이트를 지정하면 생산이 힘들더군요 ㅡㅡ; 머 자기나름대로 하기 나름이겠습니다만
전 1,2번 게이트 3번 로보틱스입니다 드라군 생산도 편하고 특히나 대나무류를 막을려면 초반 드라군생산을 끈임없이 해줘야되거든요 -_-; 드라군이 언제나오는가 수시로 체크도 해줘야하구요
04/01/24 14:41
게이트 전부 부대지정과 화면지정에 관한 의견이 분분한데
저는 게이트부대지정이 숙달되지 않는다면 화면지정이 좋지만 만약 전부게이트부대지정이 숙달된다면 화면지정보다 훨씬 큰 효과를 발휘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04/02/02 07:30
음...저와 생각을 달리 가지고 계사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저는 일단 생산은 건물에 부대지정을 하는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끊임없이 일어나는 중앙교전에서 자칫하면 자원을 남겨버리는 때도 있고....(그러나 이런 말 하는 저도 아직은 덜 익숙합니다....흑흑 리치의 신의 왼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