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1/22 01:14:03
Name misono
Subject APM에 대한 생각?
안녕하세요.

apm에 관한 예기도 벌써 많이 나돌고 했지만 몇달이 지난 이제서야 글을 쓸 권한을 가지

게되어 비로소 제 의견을 적을 수 있게 되었네요^^

보통 'apm빠른게 좋다', '느려도 운영만 잘하면 좋다'라는 의견이 많이 갈리게 되는데요..

글세요..물론 느려도 게임만 잘 이끌어 나갈 수 있음 좋습니다. 하지만 제 의견은 '빠른게

좋긴하다' 입니다.;; 물론 apm에 의식해 억지로라도 높게 보이려드는? 이런경우는 사절입

니다.-_-; 예전 같은경우에는 일단 컨트롤과 전략이 주를 이루고 다음으로 물량시대가 열

리게 되었죠. 그리고 지금은? 요즘은 물량+컨트롤+전략..이 세가지를 모두 갖춰줘야 하는

시대가 되었죠.. 이 모두를 한꺼번에 잘하기 위해선? 당연이 손이 빨라야겠죠;;

3종족 모두 그렇겠지만 유독 테란은 유난히 손이 빨라야한다고들 합니다. 테란의 유닛하

나하나가 신경써줘야 할부분들이 많기때분이죠. 거기다 생산까지 빠짐없이 해준다면 정

말 손이 모자를 지경입니다-_-;

그래서 결론은 요즘같은 시대에 좀 더 완벽한(?) 경기를 위해선 손이 빠르는게 확실히

좋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apm수치에서 핫키비중이 높으면 허접하다느니 그 외 무브같은 것들이

많아야 진짜 손 빠른거다 라고 하시는데요.. 핫키가 높게 나오는건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1,2를 유닛이라하고 3~ 를 생산 건물이라 했을 때

보통 손이 빠른사람들의 경우를 봤을 때 1,2로 유닛상황체크하고 이동 및 컨트롤을 해주

고  있는 상황에서도 계속 생산건물을 핫키로 불러 생산상황 및 제때제때 유닛을 찍어줍니

다. 일반적으로 화면지정으로 한꺼번에 유닛을 찍어주는 반면 위 경우처럼 컨트롤하는

상황에서도 수시로 계속 건물상황까지 동시에 체크하는 사람들이 핫키의 비중이 높아지

는건 당연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손이 빠르다고 소문난 이윤열선수 리플을 봐도 핫키비중

이 4~50%이상이 되는경우가 많죠. 그리고 OP3라는 유틸로 이윤열선수 화면을 보면 아래

상태 화면이 쉴세없이 움직이는걸 보실 수 있을겁니다.

흔히 이윤열선수 물량을 보고 머신이라고들 많이 그러시는데 괜히 나오는게 아니죠^^;

위처럼 쉴세없이 핫키로 움직이니 가능한겁니다.^^

앞으로 핫키가 많으니 어쩌니 하는 사람들은 안나왔으면 하는 소망입니다.;;

처음 적다보니 글이 점점 길어지는거 같아 이만 줄이겠습니다.;

그럼 모두 즐거운 설연휴 되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무계획자
04/01/22 01:42
수정 아이콘
핫키 비중 높은게 잘하는 거 아닌가요?
김정민선수 리플 보니 핫키 비중이 60% 정도 되던거 같던데-_-a
40%였나 .. 어쨋던 제일 높았어요 ;;
04/01/22 01:55
수정 아이콘
전 apm 300~400 대 인데요. 보통 핫키 비율이 50%나오는 군요
天下無雙_Not2und
04/01/22 02:03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요.. 4, 5, 6, 7, 8 에 팩토리를 지정해서 5t, 6t, 7t, 8t 를 눌러주느냐가 중요한거 같네요. 핫키 비중이 높다고 해서 1, 2만 연타만 하는건 아무 의미 없지 않습니까-_-;
04/01/22 02:25
수정 아이콘
손이 빠르면 ...
1번은 벌쳐로 게릴라 2번은 드랍쉽 2대로 게릴라하면서 3t4t5v6v7v8v 가
동시에 이루어 지죠. 그리고 손이빠르면 수시로 필요한곳으로 렐리포인트를 바꿀수 있죠.
04/01/22 03:19
수정 아이콘
핫키비율이 높으면 전투중에도 빠르게 병력생산을 할 수 있어서 물량전에 좋을테고..
마우스빠르기가 빠르면 미니맵에 바로바로 반응하며, 제때제때에 효과적인 컨트롤을 할 수 있으니 핫키가 비중이 높으면 더 좋고, 무브가 비중이 더 높으면 안좋고 ... 이런건 아니라고 봅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까요.
APM높기로 소문난 서지훈선수의 리플레이들을 살펴보면
몇몇개는 핫키비율이 50%에 육박하는 것 들도 있지만, 보통
20~40 사이더군요. 제가 가지고 있는 서지훈선수 리플레이 7개 중
핫키비율이 40%넘는 건 단 두개였습니다.
장단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04/01/22 04:22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꼭 핫키로만 뽑아야 엄청난 물량을 낼수있다는건 아닙니다..
대표적인 물량테란인 이윤열,최연성선수도 각각 이윤열선수는 핫키,
최연성선수는 화면지정으로 유닛을 뽑죠.
결국 장단점이 있는거겟죠 ^^
04/01/22 05:36
수정 아이콘
Hotkey의 비중이 높은것이 허접하다고 알고계신분이 많으신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Hotkey비율이 높아야 고수쪽에가깝고
Hotkey이 낮고 select비율이 높은게 하수쪽에 가깝습니다.
(물론 쓸대없는 키반복없이 게임플레이를 했을경우입니다 )
보통 프로들 리플분석해보면 select가 9~14%정도에 핫키가 40~53%이죠
이정도가 딱적당하다고봅니다
제가 apm이 300이 넘는데도 유난히 다른온라인고수나 프로들에 비해
select비율이 높고 Hotkey비중이 낮아서 bwchart로 리플을 일일히 텍스트 파일로 변환시켜서 원인분석을 해본결과 셀렉트보다 핫키로 비중을 높히는법을 알아냈는데 확실히 그방법이 더 화면전환이나 멀티태스킹면에서 유리하더군요..

그리고 오랜기간 리플을 연구해본결과 apm300중반이상부터는
400이나 500이나 손빠르기차이는 거의 없다는게 제생각입니다..
뭐 쉽게예를들어보면 300중반이 대표적으로 이윤열이고
300후반에서 400초반이 서지훈이라고 볼수있는데
두선수를 비교해보면
정작손빠르기에서 나오는 apm차이가 아니라
부대지정방식에의한 apm차이더군요..
웬만큼 200대 후반이나 300이상나오는분들은 핫키와 셀렉트비율이
황금비율로 잘맞는다 싶으면 더이상 apm에는 연연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apm과 실력에 관한글이 종종 다른게시판을가도 눈에띄을정도로
자주올라오고 이곳pgr에서도 자주올라오는데
apm과 실력은 정비례하지는 않지만 제대로된 apm이라면
확실히 비례한다는것과
또 apm250이하는 절대 테란초고수가 될수없다는것정도는
자신있게 확신할수있습니다
04/01/22 05:48
수정 아이콘
arkride님// 서지훈선수 가짜리플가지고 계신건 아닌지 저 서지훈 리플 60여개 이상있는데 이중 90%이상이 핫키가 50~55%사이이고 나머지는 47%정도 어쩌다가 낮게 나온거 42%정도입니다..
자세히 확인은 안해봤지만 40%이하로 나온건 하나도없는거같군요..
서지훈선수의 리플을 많이보신분은 알겠지만 유난히 핫키비중이 높은
선수중하나입니다.. (아마 선수중에는 김정민과함께 가장높을겁니다)
04/01/22 08:20
수정 아이콘
전체적인 apm 은 그다지 높을 필요가 없지만 필요한 순간 apm은 300이상은 되어야 컨트롤다운 컨트롤을 할수 있지않을까 합니다.
클라우드
04/01/22 11:10
수정 아이콘
저는 테란유저인데... 메카닉하면 170-200정도고...바이오닉할때는 종종 250이상 넘어가더군요.. 평균적으로 230-240.... 흠.. 잡소리였고.....
하늘님 말씀대로 필요한순간... 진짜 빠른손을 필요로 할때 능수능란히 조작할수있으면 괜찮을듯한...
i_random
04/01/22 11:46
수정 아이콘
Machine님/ 님 말씀대로면 베르트랑은 절대 초고수 아니군요?? apm 250이 안 되는데.. 프로게이머가 초고수가 아니라는 논리는.....
04/01/22 11:50
수정 아이콘
저 apm 평균이 160인데 456 누르기 한 30초 정도 해줬더니 20분짜리 겜에서 apm 이 220이 나오더군요... apm... 솔직히 말해서 그다지 필요 없는듯 -_-
i_random
04/01/22 11:50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 중에서도 apm 250 안팎의 테란유저가 많습니다. apm250이하는 절대 테란고수가 될 수 없다는 말씀은 성급한 일반화 같은데요..
04/01/22 12:08
수정 아이콘
임요환 선수는 90% 이상의 리플레이가 무브가 더 높아요;
보통 무브가 30%정도, 핫키가 10~20% 사이
여기에 똑같은 시간에 이윤열, 서지훈 선수등이 누르는 핫키 숫자를 더해보면
임요환 선수가 더 높거나 비슷할거 같네요
To_heart
04/01/22 12:11
수정 아이콘
misono 님 의견에 절대적으로 동의합니다. bwchart 라는 프로그램은 상당히 신선한 프로그램임에 틀림 없습니다. misono 님이 말씀하셨듯이 핫키 비중이 높으면 그만큼 병력상황 체크 및 생산상황 체크를 자주자주 해 준다는 말이 됩니다. 대표적인 예가 이윤열 선수가 되겠구요. 물론 무조건적으로 번호지정만 한 뒤 연타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런건 bwchart 를 통해서 구분 해 낼 수 있습니다. 무조건 크게 제시된 평균치만 보지 않고 왼쪽 하단의 상태창과 변동하여 본다면 확실히 구분 해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평균 apm 은 최하 130~150 이상만 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윤열 선수의 경우는 체크를 너무 자주하는 편이지만 대체로 저 정도의 apm 으로도 충분한 체크가 가능하죠. 단지 평균 apm 과 더불어 최고 apm 및 동시다발 적인 전투시의 apm 까지 저렇다면 문제가 있겠죠. (문제라기 보다 대처가 힘들 듯..) 그래서 최고 apm 은 적어도 300 이상, 특히 전투시의 apm 이 저정도 나와줘야 게임 관리를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을 '잘한다' 는 뜻은 아닙니다.)
그대를꿈꾸며..
04/01/22 12:21
수정 아이콘
Machine//님 말대로 apm250 이 안나오면 테란의 고수가 될수 없다고 하셨는데 전 플토유저지만 요세는 테란으로 하는대요 apm150정도 밖에 안나오지만 apm250 넘는사람들보다 메카닉 물량은 훨씬 많이 나오는대요^^ 노스텔에서 앞마당만 먹고 플토 멀티3개 먹은플토유저 한방에 그냥 밀었는대요(플토유저 APM260정도 더군요) 솔직히 APM별로 필요 없는거 같습니다. 어제 어바웃스타크래프트 설날특집으로 미공개 리얼게임을 봤는데 한승엽VS변은종 선수를 봤는데 쓸데없이 키를 마니 누르더라구요.물론 보는입장에서는 느린것보다는 감탄하면서 봤지만 apm250이하는 테란고수가 돼기 어렵다는 i_random님처럼 성급한 말씀인듯하네요.
무계획자
04/01/22 12:44
수정 아이콘
임요환선수가 220-230대라 하지 않았습니까 -_-ㅋ
최연성 선수였나;;
Fanatic[Jin]
04/01/22 12:47
수정 아이콘
apm250이 안되면 고수가 안된다는건 성급한 일반화-_-;;
그럼 100대 후반의 고수테란유저인 배근화님은 어떻게 설명-_-합니까...;;apm은 빠르면 좋지만 느려도 나쁠건 없다 정도로 파악하는게 좋을듯...
노다메칸타빌
04/01/22 14:24
수정 아이콘
apm250이 안넘으면 초고수가 아니라는건 헛소리입니다 임요환선수도 apm이 200초반 나오는 게임도 많을뿐더러 최연성선수는 apm 190~220시절에 이미 게임아이를 평정했죠
이준희
04/01/22 14:41
수정 아이콘
얼마나 빠르냐가 아니라 얼마나 정확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뭐든 정확한게 우선이고 빠른건 그다음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뭐든 그렇다고생각합니다...야구를 예로들자면 대략 야구공이 빠른게
우선이 아닙니다..우선 정확한 컨트롤이 우선이죠 공이 의도하지않는 방향으로 던져지면서 빠른건 아무 의미가없죠..농구선수도 그렇습니다 아무리 화려한 스피드가있어도 정확한 슈팅능력과..정확한 패싱능력이 있어야하는거 아닐까요 골프도 그렇고 어느종목이든지 스피드가 빠른게 우선이아니라 정확도가 우선인겁니다 심지어 스피드를 겨루는 경주게임에서도 정확히 컨트롤할수있어야 그스피트를감당하며.. 경기를 할수있는거죠..
저그우승!!
04/01/22 15:47
수정 아이콘
이준희님// apm은 빠르고 정확한게 두 가지 다 갖춰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두 가지 것을 모두 봐야 한다는 것이죠. 아무리 정확해도 스피드가 떨어지면 생산력에서 밀리기 쉽상입니다.
야구나 농구도 스피드가 정확도 면에서 결코 떨어지는 요소라고 볼 수 없습니다. 스피드가 갖춰지지 않는다면 상대방에게 다소 위력을 떨칠 수 없는 결과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빠른 것이 꼭 좋은 것은 아닙니다만, 빠르면 대체로 좋긴 합니다.
대책없음
04/01/22 15:55
수정 아이콘
'Hotkey 많으면 헛손질이다'가 아니라 'Null'이 많으면 헛손질이 많은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예전에 효채널에서 어떤 분이 하신 말씀이 있지 않습니까 'APM 높으면 좋을건 없다 낮으면 나쁠수도 있다' 나쁠수도 있는거니까 꼭 나쁘다는건 아니구요;
허유석
04/01/22 16:41
수정 아이콘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냐가 중요한거 같습니다.
제생각엔 제플레이만 할수 있다면 apm은 빠를수록 좋은거 같습니다.
언덕저글링
04/01/22 17:22
수정 아이콘
apm생각 안하고 게임을 했을 때의 apm이 진짜 자기 apm이겠죠. 머릿속에 apm생각을 조금이라도 하면서 게임을 한다면 그건 자신의 apm이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아무리 사람들이 apm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해도, 많은 동생들이 apm올리려고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답답하더군요. 말을 해줘도 안통하고..; 참고로 저희 길드에 150테란이 220테란을 10경기하면 10경기 모두 거의 강물수준으로 이깁니다.
04/01/22 17:48
수정 아이콘
APM은 정말 그렇게 까지 실력의 척도가 안되는거 같네요... 저 같은경우 평균 190정도 나오는데 가끔 APM 300대를 이길때도 있구요... 손이 빠른게 중요하긴 하지만 어떻해 빠르냐가 중요한거 같네요...
저도 APM의식하고 하면은 250대 정도는 나오더군요... 그런데 오히려 컨트롤은 더 엉망이에요...
그래도 최소 150은 넘어야 왠만큼은 컨트롤이 될듯 싶네요...
04/01/22 18:48
수정 아이콘
리플들 읽다보니 약간 잘못된 부분이 있는 듯. 이윤열 선수라든지 APM 높은 많은 테란 프로게이머들이 핫키 비중이 높은 건 '건물 부대지정을 활용한 생산' 때문은 아닙니다. 이윤열 선수 리플레이를 보면 생산건물에 지정한 부대는 많아야 2개, 그것도 중후반에 유닛 많아지면 유닛 지정에 밀려서 유닛이 5부대 이상 편성될 경우 아예 핫키 지정된 건물이 없어집니다. 그냥 화면지정으로 생산하는 거죠. 6~8까지의 핫키는 거의 안쓰여요.
04/01/22 19:16
수정 아이콘
아아. PgR의 모다구리-_- 무섭습니다. 250 한 마디 했다가 몇 명한테 핀잔을 듣는 분위긴지;;
あぃ♥АЧа
04/01/22 22:09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나다나 제로스정도의 바이오닉 물량을 확보할려면..( 바이오닉이 손이 훨씬 많이 가지않나요-? 나오는속도도 빨르고 관리하기도 힘든듯) 300이상은 필요하다 생각되네요...^^ 물론 안나온다고 못한다 이거는 아니지만 쓸데없이 손놀림안해도 극한의 물량은 300정도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최연성선수 예전 게임아이 실력보다 지금 훨씬 는거같은데요. 아마 요즘은 300나오지 않을까요-? 예전리플보고 200나온다는건;; 요즘리플도 200근처면 제가 헛다리 짚은거네요^^:;
04/01/23 00:51
수정 아이콘
frente 님 그건 당연히 바이오닉 일때는 유닛으로 핫키가 몰린답니다.
그러나 대 토스전 리플을 한 번 보시길 끝낼려고 어택땅 탱크 부대 하기전까지의 부대 지정 상황등을 요.
04/01/23 01:23
수정 아이콘
최연성 선수 손이 빠르지 않다는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 차세대 테란 유저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는 차재욱 선수도 많은 리플레이들을 보면 apm이 200대 초중반을 보이고 있더군요.^^
04/01/23 10:06
수정 아이콘
Nell님 죄송하지만 토스전도 똑같은 것이 3, 4, 5 이상의 팩토리 지정은 없습니다. 팩토리가 10000000000개일지라도. 개인화면 봐도 초반 넘어가면 핫키 생산 아닌 일일이 팩토리 찍어 생산함을 볼 수 있구요. 제가 애초에 글을 올린 이유는 프로들이 3, 4, 5, 6, 7 모두 팩토리 지정해서 핫키로 생산한다는 말이 있기에 '프로들도 의외로 핫키에 의존하지 않는 편'임을 말씀드리려 한거였습니다. 핫키 생산의 달인은 테란보다는 프로토스 플레이어들이지, 테란 플레이어들은 건물 넘버링을 철저하게 하는 편은 아닙니다. (조정현 선수 및 몇몇 예외)
휘발유
04/01/24 14:5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솔직히 apm 150~200초반은 차이가 난다고 보면 안되는 수치같고요
300이 넘어갈 경우 헛스윙300이 아니라면
실력도 웬만큼 받쳐줄것이라는 생각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33 [잡담] 1월의 프로게이머. 변길섭. [26] i_love_medic5082 04/01/23 5082 0
1332 [잡담] 퇴계 이황과 기대승의 토론. [9] Movingshot3602 04/01/23 3602 0
1331 [잡담]아침형 인간 [32] 막군3249 04/01/22 3249 0
1330 [잡담] 커피숍 알바를 하고있습니다 [14] 깜지2913 04/01/22 2913 0
1329 올드보이의 비극과 요즘 사람들이 생각하는 '사랑' ... (스포일러) [7] SXDFSSX3283 04/01/22 3283 0
1328 추억의 한국농구. [34] domo3933 04/01/22 3933 0
1327 [잡담] 20세기 소년이란 만화책을 보시나요-? [47] 로렌3312 04/01/22 3312 0
1326 미국 NBC의 시트콤 'FRIENDS' 를 아시나요? [28] 슈퍼테란3066 04/01/22 3066 0
1325 PGR의 언쟁들에 告한다. [34] 낭만드랍쉽3587 04/01/22 3587 0
1324 정말 오랜만에 시원한 경기를 봤습니다...(스포일러 짙음-_-;;;) [27] 침묵의들개5021 04/01/22 5021 0
1323 만장일치... 테란. [20] 비엔나커피5572 04/01/22 5572 0
1322 하하하하 드디어 글쓰기 권한이 생겼습니다..^^ [6] 김희진3212 04/01/22 3212 0
1321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3] 세레네이5349 04/01/22 5349 0
1320 괴물 최연성의 닉네임.....?(광개토 테란) [149] 드랍동회원8444 04/01/22 8444 0
1319 [잡담]최동원과 선동렬 [14] 피터팬3329 04/01/22 3329 0
1318 제주에도 눈이 왔습니다! [13] HyDe2861 04/01/22 2861 0
1315 [잡담] 사람과 스타. 스타와 사람. [2] 天下無雙_Not22753 04/01/22 2753 0
1314 APM에 대한 생각? [32] misono4375 04/01/22 4375 0
1313 [잡담] 2004년 첫 명절 새해의 아침이 밝았습니다. [2] 반아2880 04/01/22 2880 0
1312 두번 죽는 거라고~~~~~~~~~ [10] 넌내뒤가어울2865 04/01/22 2865 0
1311 [비디오 가게 옆 만화방] 설 연휴 시간을 매꿔줄 만한 만화^^ [51] 멜랑쿠시4138 04/01/22 4138 0
1309 요즘 자주보는 올스타전.. 그대신 이런 올스타전은 어떨까요..? [14] あぃ♥АЧа3791 04/01/21 3791 0
1308 모두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 [3] ggum3372870 04/01/21 28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