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5/19 23:32:50
Name 바둑왕
Subject 스타크래프트팬으로서 한마디
대한민국에 테란 유저 많은 거 압니다.

당연히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같은 테란 유저의 팬도 많은 거 압니다.

그리고 여기 PGR의 게시판은 디씨의 스갤이나 파이터포럼보다는 훨씬 더 수준 높은 그런 곳인 줄 알았습니다.

헌데, 글에 달려 있는 리플들을 보아하니 속어나 반말만 없을 뿐, 내용은 똑같군요.

  특히나 이변이 생기면 항상 네임밸류가 앞서는 선수가 방심이나 실수해서 졌다는 말들...

지긋지긋합니다. 물론, 실제 그런 경기도 있긴 하겠지요.

  그런데 방심이나 실수는 네임밸류가 앞서는 선수가 패배했을 때 그를 두둔할만한 무슨

  면책특권이라도 되나요? 분명, 방심이나 실수도 실력에 포함되는 겁니다. 여기 계신분

  중에 초중고 때 시험 안 본 분들이 없을 텐데 실수나 방심으로 틀린 문제는 실력 아닌가요?

  이런 식의 논쟁으로 특정 선수 팬끼리 싸우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네요.

  어찌되었건 분명 이긴 선수가 진 선수보다 훨씬 잘한 겁니다.

  그리고 승자에게 조용히 축하해주면 됩니다. 왜 그걸 가지고 별로 상관관계가 없는

  지난 게임 결과 운운하는지 모르겠네요.

   한가지 더,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로 인하여 다른 선수를 깎는 발언도 안했으면 좋겠네요.

누가 순간적인 집중을 못해서다, 실력 발휘를 다 못했다...이건 간접적으로 이긴 상대방

선수를 까는거죠. 그 선수는 이기기 위해서 어마어마한 노력을 했을텐데 말이죠.

  전 강민 선수의 광팬인데 그가 졌을 때, 상대방 선수를 칭찬하고 강민 선수에게 고하는

  글을 카페에 썼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 때문에 다른 선수를 깍아내리지 맙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재석
05/05/19 23:38
수정 아이콘
다른 사이트를 깎아내리는 것도 좀... 여하튼 실수나 방심이란 얘기 하지 말자는 요지에는 동의합니다.
05/05/19 23:38
수정 아이콘
맞는 말씀 입니다. 꼭 보면 최강이라 일컬어지는.. 예 머씨형제 일부팬
(다 가 아니라.. 극히 일부를 지칭하는 겁니다)
팬들이 지면은 실수해서 졌다.. 방심해서 졌다 이런핑계는 아무 소용없죠
05/05/19 23:39
수정 아이콘
수준얘기 안나오면 좋으련만
총알이 모자라.
05/05/19 23:40
수정 아이콘
음..자제요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응원하는 선수들에게 엄청난 성원이 보내지지 않는 것에 대해 아쉬울 수도 있지만 선수들은 자신을 꼽(?)까게 보던 사람들을 팬으로 흡수하며 커왔습니다. 그러니 한판의 경기의 승패에 대한 이런저런 말보다는 그선수의 최선에 대한 칭찬을 더 소주(x)...중 하게 여기고 싶습니다....
05/05/19 23:46
수정 아이콘
요즘에는 적어도 예전 보다는 누구누구의 팬 노룻을 하는 것이 너무나 힘들어진 것 같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선수가 졌을 때 그 자체를 가지고 비난하는 것도 힘들고 이겼을 때에도 그 승리를 폄하하는 글 때문에 힘들고...정말 누구누구의 팬을 자처하시는 분들 존경합니다. 정말로.
스테이터스
05/05/19 23:47
수정 아이콘
수준은 무슨.. pgr오는사람들이 스갤가는거고 스갤가는사람들이 파포가고 그러는거죠 솔직히 pgr만 들어오시는분은 많지않을껄요? 수준차이 어쩌고하는거 웃깁니다
워크초짜
05/05/19 23:49
수정 아이콘
자신이 응원하는 선수가 져서 안타까운 마음이 먼저 들어서 그런 글을 남긴다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저라도 제가 응원하는 선수가 진다면 우선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은 '그렇게만 안했으면...' '그 타이밍에만 안 왔어도...' 이런 생각이 먼저 들어요 ^^ 그런 글을 쓰시는 분들도 이긴 선수가 자신을 응원한 게이머보다 잘해서 이긴거라는 전제하에 글을 쓰는 것 같은데;;
게임의법칙
05/05/20 00:02
수정 아이콘
주관적으로 생각하고 주관적으로 응원하니까 팬인 거죠.
객관적 시각으로 보라는 건 해설자들에게 요구되는 덕목일 뿐입니다.
어찌 됐든 그런 팬들 때문에 방송도 있는 거고 사이트도 있는 거 아니겠어요?
My name is J
05/05/20 00:10
수정 아이콘
아쉬움의 토로는 '정도'를 지킬정도면 딱 좋다고 봅니다.
패배의 이유를 찾을수도 있고 승리의 이유를 찾을수도 있지만 그 아쉬움이 승자의 기쁨을 불편하게 만들어서는 안되는 겁니다.
이긴자가 뭐든 갖는 것은 아니지만 이긴 기쁨은 이긴자가 충분히 즐겨도 되는거 아니겠습니까?
적어도- 승리한 그 순간에는 그 선수와 그 선수의 팬들이 주인공이어야 하지요.^_^
그래서 승부의 매력이 더한것 아닌가요..으하하하-
(말은 이리 하지만...또 속상할때는 속상하죠. 하지만 그건 누구나 어쩔수 없이 기뻐하고 속상해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니까요.)
거시기허네요
05/05/20 04:20
수정 아이콘
실수도 실력이다.
방심도 실력이다.
바둑왕님 말씀에 전적동의.
05/05/20 13:05
수정 아이콘
게시판의 규정과 성격이 다를 뿐... 수준은...
글루미선데이
05/06/09 13:56
수정 아이콘
그럼 대체 팬들은 패배의 이유를 어디서 찾아야 하나요?
그냥 졌습니다?-_-

방심해서 지셨네요
이거에 발끈해서 리플다는 님들이 문제인거지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84 목숨을 걸어라! [8] ryoma4852 05/05/22 4852 0
13083 PGR 오프라인 모임 후기입니다^^ [49] 새벽오빠6031 05/05/22 6031 0
13082 정모 후기입니다^^ [42] 정희석4244 05/05/22 4244 0
13081 난 플토인데 박태민이 좋소.. [30] 비엔나커피6004 05/05/22 6004 0
13080 애처로운 프로토스;; [17] swflying4541 05/05/22 4541 0
13079 PgR in IRC 두번째 이야기... [3] greatFAQ5451 05/05/22 5451 0
13078 천재왈 "괴물과 황제와 붙는게 가장 긴장되고, 재미있다."(경기결과유) [30] 한방이닷8273 05/05/22 8273 0
13077 줄기세포와 그 파장 ..... [14] 오크날다4296 05/05/22 4296 0
13076 무엇이 승패를 가르는가.. [3] 박영록3971 05/05/21 3971 0
13075 방심이나 운 다 실력입니다. [5] might4973 05/05/21 4973 0
13073 미국하고 일본 지들끼리 잘 노네 [19] 먹고살기힘들4887 05/05/21 4887 0
13069 특정팬만 방심 운운? [46] Aiur6108 05/05/21 6108 0
13068 눈을 뜨면. [2] 컨트롤황제4699 05/05/21 4699 0
13067 내가 하렘물을?? [51] goEngLanD6906 05/05/21 6906 0
13066 해킹... [12] YaKaMa5014 05/05/21 5014 0
13065 이긴 게 다 실력때문은 아닌데 왜 그럴까? [45] 잠언6320 05/05/21 6320 0
13064 장 폴 마라 [6] 총알이 모자라.5015 05/05/21 5015 0
13063 예전에 있었던 프로게이머와 아마추어의 실력 논쟁 [66] Bless6751 05/05/21 6751 0
13062 최연성선수 스타일이 바뀌고 있는 걸까요? [17] 정테란7136 05/05/21 7136 0
13060 잡담 두가지. 임요환과 최연성. 그리고 협회. [12] Sulla-Felix5828 05/05/21 5828 0
13059 주간 PGR 리뷰 - 2005/05/14 ~ 2005/05/20 [9] 아케미6667 05/05/21 6667 0
13058 Whatever you say, I am I [21] 비오는날이조4462 05/05/21 4462 0
13057 박태민 선수의 플레이 [51] 벙커구석마린7341 05/05/20 734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