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1/21 11:32:24
Name 초보토스
Subject APM 80 짜리 고수? --;
제가 아는 어떤 분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APM 80 조금 넘는 프로토스 유저죠.
근데 배넷 전적이 200승 40패 정도 됩니다.
초보끼리 해서 쌓은 승수가 아니겠냐고요?
그렇다면 제가 이런 글도 안씁니다. --;
같은 프로토스 유저들 중에서도 비슷한 승률과 전적을 가진 분들이 있는데 그분들의 APM은 170~230 사이더군요.
그런데 이런 분들과 프프전을 해도 이긴다니...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APM에 대한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아마도 APM 높다고 나쁠 것은 없고 낮다고 딱히 좋을 것까지는 없단 것에는 동의들을 하실 것 같네요.
그래도 프로토스 유저들은 130만 되도 할 건 다 한다고들 하지만 80이면 너무 느린 거 아닐까요?

APM도 APM이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건 게임 운영 능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미군★
04/01/21 11:34
수정 아이콘
물론.. 워크는 인터페이스가 많이 좋아졌지만 워크고수인 이형주선수는 APM이 130~160정도 된다는군요
온게임넷 해설에 나온말까지 빌리면..
정말 빠른손은 apm이 아니라 필요할때 잔손질이 없이 정확한 컨트롤을 해주는 것이죠
SpiritZerG
04/01/21 11:35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제 친구는 APM이 70정도인데 저는 아직 그 친구를 이겨본 적이 없습니다. 제 평균은 200인데. -_-

APM이 낮으면 컨트롤과 다방면에 걸친 생산, 컨트롤 플레이가 어렵게 됩니다. 하지만 경기를 잘 이해한다면 극복할 수 있는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04/01/21 11:35
수정 아이콘
저도 자랑은 아닙니다만 APM 110미만입니다 (ㅠ_ㅠ)
그래도 웨스트섭에서 전적 24/31 .. 좋은건 아니지만 리플레이를 모두
모아봤는데 상대가 대부분 APM 150이상 되더라구요.
저는 핫키비율도 굉장히 적더군요.
그래도 곧잘 지기도 하지만 곧잘 이기기도 하는거 보면 신기할때가 많다는 -_-a
김평수
04/01/21 11:36
수정 아이콘
APM 60인 고수분도 있습니다.ㅇ_ㅇ
걸어서저하늘
04/01/21 11:38
수정 아이콘
350이상 부터는 확실한 차이가 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테테전.
Go_TheMarine
04/01/21 11:54
수정 아이콘
제 친구도 저그초고수인데 손 정말 느립니다. 저희 학교에서 우승했죠..쩝;; 손느린데 저그를 어떻게 잘하는지 베넷 승률은 90%가 넘어간다죠..ㅠㅠ
풀업프로브@_@
04/01/21 12:04
수정 아이콘
확실히 프로게이머들 중에서도 APM이나 손빠르기가 빠른 프로게이머가 정상에 가까이 있는 경향은 있습니니다.
이윤열 선수,서지훈 선수,조용호 선수,박정석 선수 등이 그 예이죠.
하지만 실력이 올라가면서 APM이 따라서 올라가는 것이지 APM따라서 실력이 올라가지는 않죠(물론 생산력 등이 조금 나아지긴 하겠지만...)
전 프로게이머들의 APM그 자체보다는 그런 APM이 필요하게 될 정도의 게임지배 욕구에 감탄합니다.
모든 유닛과 건물을 내 콘트롤 하에 두겠다는 자신감 없이는 그런 극한수준까지 단련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함
あぃ♥АЧа
04/01/21 12:11
수정 아이콘
전 저그유저지만 과거에 APM을 처음 보니 120인가 나오더군요.
하지만 그떄도 웨스트 공방승률은 7-80%정도였는데 사실 왠지 APM낮게 나오면 그런맘 있지않습니까? 나도 높게 나오고싶다^^:;
그래서 친구들과 팀플을 할때마다 빨르게하다보니 정말 손이 빨라지니까 실력이 늘긴 늘더군요. 전에는 전투하면서 물량뽑는게 힘들었는데 확실히 그런점이 늘더라구요. 지금은 250정도 나오는데 헛손질이많아서^^:;
그래도 어느정도 고수라면 200은 되야 자기 플레이 다하면서 물량뽑지 않을까 하는생각을 해봅니다^^ 공방에서 많이이기는것은 100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SpiritZerG
04/01/21 12:12
수정 아이콘
기욤 선수나, POS팀의 박성준 선수가 APM이 느리다고 하네요
제3의타이밍
04/01/21 12:21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유저는 APM 빨라서 보는 이득을 느끼기 힘들죠 ㅇ_ㅇ
APM에 의한 실력 차이는 300이상 넘어가면 눈에 띄는거 같습니다만
04/01/21 12:22
수정 아이콘
컴마동에서 본 글을 인용하자면

50 정도: 간단히 말하자면 초보자, 일주일에 한번쯤하고 단축키도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100 정도: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심히 하는 경험자. 경험자는 잘한다거나 실력 있다는 것 아니다. 그냥 경험이 많고 핫키를 많이 쓰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더 빨리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컨트롤을 더 정교하게 하거나, 생산을 꼼꼼히 하거나, 정찰을 더 체계적으로 하는 것 등.



150 정도: 키보드랑 마우스 속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경험이 충분하다. 게임을 하기 위해서 이 정도가 충분하다. 실력 있다는 말은 아니지만, 게임 효율적으로 풀어 나가는데 충분한 속도.



200 이상: 필요 이상으로 클릭하고 단축키 쓰고있지만, 그것도 하나의 스타일이다. 150 APM의 사람보다 빠르다는 것은 아니다. 행동을 자주 반복하는 것이다. Rekrul(댄 슈레이버)의 말 데로라면, BWchart가 전혀 쓸 대 없는 행동을 제가한다면, 이 선수들의 APM이 150대로 떨어질 거다.
04/01/21 12:27
수정 아이콘
저도 APM 느린 편인데 (70-105) 웨스트 승률 50% 이상분들하고만 붙어서 50%쯤은 나오더군요. 테란 상대하길 좋아해서, 저한테 진 분들 리플보면 200 넘는 분들도 수두룩 -_-; 테란 플레이하기 넘 어려운 듯 -_-; 사실 저그가 대 테란전 손 바쁠 때 있나요? 적어도 저 같은 공방유저에겐, 오히려 해야 할 일(멀티 해처리 펴지면 바로 히드라 2마리 생산, 러커 변태)을 잊지 않는 것이 복잡한 컨트롤 (드랍쉽이 떨어지자마자 허둥대기)을 남발하지 않고 게임의 흐름을 놓치지 않는 지름길이라고 생각.
04/01/21 12:50
수정 아이콘
음.. APM 평균 250이상이 진짜배기들이고 그밑은.. 거의 비슷한거 같더군요... 제APM은 평균200대인데.. 170한테 지기도 210짜리한테 이기기도.. 한답니다..
04/01/21 12:51
수정 아이콘
참고로 조용호선수 본진 투해처리로 상대 끝내는 리플레이보면... APM장난아닙니다 -_-; APM 422 에 MAX가 549...
Vegemil-180ml
04/01/21 13:18
수정 아이콘
핫키 빼고..apm나오는 버전은 안나오나요-_-;
나에겐너뿐
04/01/21 13:30
수정 아이콘
apm130~150으로도 공방승률 90은 나오던데요 뭐 -_-;
04/01/21 14:16
수정 아이콘
저도 apm80입니다만 null은 1입니다
apm이 낮은고수들은 그만큼 쓸대없는 컨트롤은 안합니다
04/01/21 14:41
수정 아이콘
저는 apm이 80~110인데 초보입니다.(?) 저하고 비슷한 손 빠르기이신 분들이 많으신데 그 중 고수도 많으시네요.
天下無雙_Not2und
04/01/21 14:44
수정 아이콘
저는 300 ~ 350 정도 나옵니다만.. 쓸데없는 움직임이 너무 많다고 느껴지는 군요.. 특히 핫키 비중이 50% 넘어가는 거 보면..;ㅁ;
노다메칸타빌
04/01/21 15:17
수정 아이콘
apm 250이상은 거품이라고 생각합니다.. apm 300이상이려면 의미없이 핫키연타하지 않으면 불가능하죠..
TheHongyang
04/01/21 15:33
수정 아이콘
전 APM 8,90에 Null이 100이 넘는데 420승 90패인데..
그대를꿈꾸며..
04/01/21 15:54
수정 아이콘
저도 테란으로 할때 나름대로 앞마당만 먹으면 6팩에서 물량 계속 뽑거던요 근데 APM150이상 안넘어가요 -_-; 전 엄청빠르다고 생각했는데 최고 APM은 200약간 넘은걸로 기억하네요 그래도 왠만한 유저들은 다 이깁니다
TaeKwonV-_-
04/01/21 16:05
수정 아이콘
제가 저그인데 amp이 평균 150정도 되거든요;; 근데 316짜리 테란을
이겼네요;; 당황스럽군요-_-;
Zard가젤좋아
04/01/21 17:00
수정 아이콘
전 APM은 물량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손이 느린사람의 경우 (테란일때) 벌쳐 게릴라하다가 휙 톡 톡 톡 톡 이렇게 되는 반면 APm 빠를사람의 경우 휙 토토토토토톡 휙 이렇게 느린사람의 경우 5초안에 뽑는다면 빠른사람의 경우 2~3초, 몇초차이지만은 그 초차이를 효율적으로 쓸수잇다는 그만큼 물량도 더 빨리 더 많이 나올수 있는거죠
04/01/21 17:19
수정 아이콘
예전에 어느 테란분과 플테전을 한 적이 있는데, 게임내내 렉이 심해서 급기야는 그 분 APM이 300을 넘어가시더군요. 그 땐 그분이 이윤열 선수로 느껴졌답니다. -_-;;;
애송이
04/01/21 17:35
수정 아이콘
그만큼 알짜베기 단축키만 사용한다는 뜻이곘죠.
쓸데없이 번호지정해서 이것저것무브하지 않구요.
컨트롤도 알짜베기로만.오바하는 컨트롤이아닌.
애송이
04/01/21 17:35
수정 아이콘
마우스로만 하는 고수분들도 엄청 많다구요.
PeculiarDay
04/01/21 18:09
수정 아이콘
apm 느린 고수분들 보니까 손이 빠르긴 빠르더군요. 다만 잔 컨트롤을 안하고 미니맵을 잘 보더라고요. 미니맵에서 이상한 점이라도 보이면 순간적으로 그쪽으로 이동해서 컨트롤 딱딱. 물론 대규모 교전이 있으면 apm 300까지는 순식간에 올라가지만 평소에는 고요하게 120apm 을 유지하며 하더라고요.
경락마사지
04/01/21 18:15
수정 아이콘
전솔직히 null을 나쁜것으론 보지 않습니다.
null이없다는것은.. 자원관리를 못한다고 봅니다만..
null이크면.. 그만큼 자원이 0에 다다른단 말이 아닙니까?
박현준
04/01/21 18:24
수정 아이콘
정말 궁금한건데 null 이 뭡니까? ;;;
あぃ♥АЧа
04/01/21 18:27
수정 아이콘
여담이지만 저는 승률이 80%가 넘어가는 유저는 오히려 초보취급하는 저만의 특성이있습니다^^ 특히 웨스트보다는 아시아에 가면 승률이 90%에 육박하는 유저분들이 굉장히 많지만 막상 해보면 정말 할말안나온다는=-;; 오히려 진짜 잘하시는분들은 대부분 길드원이나 아는 길드원끼리 자주해서 승률은 60%정도가 많으시더라구여
어딘데
04/01/21 20:39
수정 아이콘
null은 쓸 데 없는 클릭을 말합니다
마우스와 키보드로 명령을 내렸는데 이런 저런 이유로 명령이 먹히지 않을때가 있죠
그런 행동을 null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미네랄이 16인데 에시비 뽑는다고 s 누르면 미네랄이 부족해서 생산을 못한다는 말이 나오죠
그 때 누른 단축키 s가 null이죠
박현준
04/01/22 07:2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어딘데님..^^;; 제가 한 리플을 보면 대부분 상대는 50이하인데 전 300가까이 되더라구요... -_-
i_beleve
04/01/22 17:31
수정 아이콘
원래 프로토스가 apm을 별로 안먹는 종족인가 봅니다.
저도 apm 70-80정도밖에 안되지만 웨스트 공방에서 왠만하면 안지거든요
천재테란이윤
04/01/23 16:21
수정 아이콘
전 380에서 최고 480가량 나오는데 -_-; 주로 생산은 핫키+단축키를 애용합니다^^; 벌쳐게릴라 하면서 펑션키로 이동해서 생산하는것보다 돌발상황에 더 나은 대처가 가능한 것 같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7 이런 리그 어떨까요? [14] hero of dragoon3355 04/01/21 3355 0
1306 걸작 범죄영화. [50] 본호라이즌5965 04/01/21 5965 0
1305 마우스 드라이버와 그에 대한 대안책 [9] yoon0673305 04/01/21 3305 0
1304 [잡담]chrh에 대한 짧은 기억 [12] 피터팬4665 04/01/21 4665 0
1303 [잡담] 그냥 여러가지 ^^ [10] 반전2975 04/01/21 2975 0
1302 어느 유치원생의 이야기입니다 [13] 배정기3175 04/01/21 3175 0
1301 연예인에 대한 이상한 편견? [25] ik094399 04/01/21 4399 0
1300 아시아 공방유저의 잡담거리. [7] 제3의타이밍3786 04/01/21 3786 0
1299 어제 강민선수 대단했습니다. [24] APT2076251 04/01/21 6251 0
1298 나도현 선수에 관한 글 [55] SpiritZerG6081 04/01/21 6081 0
1297 APM 80 짜리 고수? --; [35] 초보토스7160 04/01/21 7160 0
1294 [잡담] 최고 프로게이머들의 공통점?! [56] 시미군★6055 04/01/21 6055 0
1293 신예 유인봉.................. [43] 잃어버린기억5637 04/01/21 5637 0
1292 서태지 미 영주권 포기... [57] JKPlanet™4890 04/01/21 4890 0
1291 WWE레슬러들과 비교한 프로게이머들 [23] 國泰民安4123 04/01/21 4123 0
1289 팀리그 탈락했지만 자랑스런 한빛스타즈 선수들입니다. [27] 한빛짱4983 04/01/21 4983 0
1288 요즘 TV에서 나오는 HP invention 광고.. [12] 낭만다크2846 04/01/21 2846 0
1286 (OSL)프로토스 이 정도면 성공? and 전적 검색의 흥미로운 점.. [33] 요정테란마린4494 04/01/21 4494 0
1285 [잡담]map...map...(경기결과 有) [16] Go_TheMarine3130 04/01/21 3130 0
1284 [잡담] 조병호선수 대 김근백 선수의 경기 (스포일러) [21] 단무지3597 04/01/20 3597 0
1283 Super Rookie[스포일러 과다!! ^^] [58] 저그우승!!5271 04/01/20 5271 0
1282 삼 년 만의 엔딩...!! [5] 총알이 모자라.2871 04/01/20 2871 0
1281 살아있는 마린 VS 지능저그^^(챌린지리그 결과 O) [15] pailan4697 04/01/20 469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