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5/15 19:21:05
Name ManUmania
Subject 플토대 테란전에서의 몇몇 사소한 tip.
안녕하세요. 웨스트 서버에서 주로 스타를 즐기는 초보 플토유저입니다.
뭐 전략게시판에 쓸 정도로 대단한 건 아니구요.
저같은 초보 프로토스분들이 테란전을 할 때에
조금 더 꼼꼼하게 플레이 하는 방법엔 어떤것이 있을까 하고
평소에 생각하던 것들을 적어보려는 생각이 들어서
조심스럽게 Write버튼을 눌러봅니다^ ^
아래 적은 것들중에는 저도 평소에 신경쓰지 못하는 것들도 있는데
이렇게 해보면 좀 더 좋지 않을까 해서 넣어보았습니다.

첫번째는 드라군과 옵저버의 부대지정에 관한 것인데요.
드라군을 부대지정하는 방식을 보자면
어떤 분들은 드라군12기를 하나의 부대로 지정하시는 분들도 있을거고
어떤 분들은 드라군11기+옵저버1기를 부대지정하시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저는 주로 두 번째 방법을 이용하는 편입니다.
근데 이렇게 하다보면 급하게 드라군을 이동시킬 때
옵저버와 드라군의 이동속도 차이 때문에
마인 피해를 보는 경우가 가끔 생기기도 합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생각해본게 드라군11기+옵저버1기의 부대지정에
한기의 옵저버를 드라군을 따라가도록 지정해놓으면
이런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네요.
그리고 이것은 옵저버 속도업이 되지 않았을 땐 큰 의미가 없고
속도업이 되었을때 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두번째는 템플러의 소극적 이용에 관한 것인데요.
어떤 말이냐 하면 본진 스타팅 쪽이 아닌 타 스타팅쪽에 멀티를 할 때
보통 포톤 캐논만으로 수비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드랍쉽으로 날아오는 탱크+벌쳐 게릴라에
피해를 보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타지역 멀티에 게이트 한기를 소환하고
여기에서 하이템플러+다크템플러 세기 정도를 생산해서
소수의 포톤캐논과 함께 수비를 해 준다면
한 두기 정도 분량의 드랍쉽이나 벌쳐 게릴라 정도는
적절하게 막아낼 수 있고 적어도 타 위치에 있던 병력이
수비를 하러 돌아올때 까지는 시간을 벌 수 있을 것 같네요.

세 번째는 상대방의 멀티 정찰인데요.
가끔은 테란이 타 스타팅에 꽤 빠른 타이밍에 멀티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옵저버 두 기 정도를 미리미리
타 스타팅과 그 앞마당 지역정도에 패트롤을 시켜놓으면
상대방의 멀티타이밍을 체크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여력이 되신다면 다크템플러 한 기정도로 패트롤 해 주시면서
커맨드 센터를 지으러 오는 SCV를 잡아주시는것도 괜찮은데
이건 마인에 조금 주의를 해 주셔야 하구요.
사실 다템으로 패트롤 하는건 저그전에서 하는거죠;

뭐 몇 안되는 것이긴 하지만
꼭 위의 것이 아니라도 평소에 머리로는 생각을 하면서도
실제 상황에서는 적용을 시키지 못하는 사소한 팁들이
꽤 많이 있거든요. 저같은 초보 프로토스 유저라도
사소한 것들 하나하나부터 게임할 때에 조금씩 더 신경을 써서
적용시켜 보려고 노력한다면 더 좋은 게임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몰라주는아픔
05/05/15 19:30
수정 아이콘
^^*
김명진
05/05/15 19:31
수정 아이콘
첫번째 정말 공감
05/05/15 19:31
수정 아이콘
흠..전부다 돈이 많이 들어서 OTL..
lightkwang
05/05/15 19:34
수정 아이콘
첫번째 옵저버 같이 부대지정.. 써봐야겠네요~
감사~
05/05/15 20:17
수정 아이콘
음.. 두번째 세번째는 평소 늘 생각하지만 막상 겜할때는 그렇게 안되는-_-;

첫째 태클좀 걸자면요 저도 드래군 11옵1 이렇게 하는데요 님이 말하신 옵저버 하나 드래군 찍어놓는건 별로 일것같네요. 왜냐하면 님이 말한것에 옵저버 속업 했을때 유용할것 같다고 하셨는데 속업 했다면 부대단위에 옵저버 한기가 포함되어있는 경우엔 옵저버가 앞의 시야를 먼저 밝히기때문에 한기 붙여놓는것은 전혀 필요가 없잖아요.
05/05/15 20:18
수정 아이콘
드라군 1기에 찍어놨는데 그 드라군이 제일 뒤로 간다면 낭패 -_-;;
05/05/15 20:20
수정 아이콘
음.. 다시생각해보니 타스타팅멀티러시왔을떄 구원갈경우는 유용할듯하네요.. 옵저버는 미네랄쪽으로 먼저가지만 드래군은 언덕으로 돌아가니까요. 하지만 웬지 옵저버 하나가 아깝다는 생각이..
05/05/15 20:20
수정 아이콘
첫번째 같은 경우에는 초중반까진 유효하고 후반가선 그러지 않아도 될 정도의 옵저버 숫자를 보유하는게 좋겠죠
김명진
05/05/15 20:45
수정 아이콘
티티님//낭패-_-
몰라주는아픔
05/05/15 21:13
수정 아이콘
2번은..저그한테도 됨 히히
골루미선데이
05/05/15 21:48
수정 아이콘
근데 드라군11기+옵저버1기 부대지정해놓고 옵저버를 드라군 1기에 붙여놓은 상태에서 그 부대를 이동시키면 옵저버를 드라군에 붙여놓은 효력이 사라지지 않나요..??
ManUmania
05/05/15 21:51
수정 아이콘
골루미선데이/드라군11기+옵저버1기에 또다른 옵저버 한 기를 추가로 드라군에 붙여주는겁니다^ ^
ManUmania
05/05/15 21:56
수정 아이콘
제가 첫번째 방법이 효과적일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희주님의 리플처럼 타스타팅멀티에 구원가는시에 옵저버가 드라군과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 경우입니다. 그리고 옵저버 한 두기 정도를 추가시키는데 드는 자원은 원 가스가 아니라 투 가스 상태일 때 캐리어를 가거나 3포지 정도를 돌리지 않는 이상 가스엔 무리가 가지 않기 때문에 큰 손실이 있다고는 볼 수 없다고 생각하구요.
그리고 빤따님의 리플처럼 후반부로 가면 옵저버를 곳곳에 배치시켜서 상대편 병력의 움직임을 파악해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크게 효과가 있지 않다는 부분엔 동의를 합니다. 반대로 테란 입장에선 곳곳에 마인을 심는다거나 멀티 지역을 옵저버로 정찰하기 불편하도록 터렛같은 것을 지어두는 것도 프로토스에게 손이 많이 가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되겠죠^ ^
05/05/15 23:24
수정 아이콘
하긴... 사실 옵저버 하나는 별거 아니지만 저같은 경우는 옵저버를 꾸준히 뽑는 스타일이 아니라서.. 아니 스타일이 아닌게 아니고 뽑고싶지만 하다보면 옵저버가 별로 없죠. 옵저버 꾸준히 뽑아야되는데 잘안돼요. 옵저버 뽑고 셔틀뽑고 하다보면 어느순간부터 로보틱스는 잊게되는...ㅠ.ㅠ
쿠니미히로
05/05/15 23:34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옥저버를 프로브뽑듯이 뽑아서 전맵에 퍼뜨리는데 이것도 쓸만하더군요
05/05/16 00:57
수정 아이콘
속업옵져버를 같이 부대지정하면 좋습니다.하지만 거기에다 드라군 한기에 또다른 옵져버를 붙이는것은 이해가 되지않네요.
어차피 팔로우 명령을 내려놓은 유닛은 드라군이 움직이기 시작해야 뒤따라서 움직이는것인데요.드라군이 지나간 다음 팔로우된 옵져버가 시야를 밝혀주기때문에 무슨필요가있나하는생각이드네요.
타스타팅 구원갈때는 11드라군+1옵져버를 일단 직선코스로만 어택무브를 시켜줍니다.한번에 그지역까지 찍는것이 아니고요.
직선 직선으로만 움직인다면 마인피해가 전혀없죠.

1줄요약하자면.팔로우된 옵져버는 드라군이 지나간 자리를 디텍팅해준다.필요가 없을것같다.
산재보험료싫
05/05/16 13:01
수정 아이콘
저도 드라11 + 1옵 이렇게 부대지정을 하지만 옵저버를 따로 드라군 1마리에 찍어놓는것은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되네요. 스타팅 방어하러 갈때를 생각해 봐도 다 따로 놀게 되죠. 차라리 스타팅 입구까지 가는 컨트럴 거기서 다시 스타팅으로 가는 컨트럴 이런것을 연습해 주는게 나을듯 합니다. 7103™님의 의견 동감
산재보험료싫
05/05/16 13:02
수정 아이콘
그리고 공격갈때는 옵저버를 부대지정에서 빼주는 정도의 센스를 발휘하심이.. 터렛에 죽거든요..
블랙릭
05/05/17 00:11
수정 아이콘
옵저버 속업은 좀 이용하는편인데요..
멀티에.. 하템 하나에.. 다크 3기라...
드랍쉽 3기 이상 아니면.. 포토 5기에 맞먹는 자원인데..
힘들거 같네요.. 포토 2기 깔기도 빠듯하신 분들 많으실 텐데요..
차라리 그냥 포토 5기하는게 낫지 않을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73 미국하고 일본 지들끼리 잘 노네 [19] 먹고살기힘들4899 05/05/21 4899 0
13069 특정팬만 방심 운운? [46] Aiur6118 05/05/21 6118 0
13068 눈을 뜨면. [2] 컨트롤황제4709 05/05/21 4709 0
13067 내가 하렘물을?? [51] goEngLanD6935 05/05/21 6935 0
13066 해킹... [12] YaKaMa5033 05/05/21 5033 0
13065 이긴 게 다 실력때문은 아닌데 왜 그럴까? [45] 잠언6333 05/05/21 6333 0
13064 장 폴 마라 [6] 총알이 모자라.5025 05/05/21 5025 0
13063 예전에 있었던 프로게이머와 아마추어의 실력 논쟁 [66] Bless6773 05/05/21 6773 0
13062 최연성선수 스타일이 바뀌고 있는 걸까요? [17] 정테란7143 05/05/21 7143 0
13060 잡담 두가지. 임요환과 최연성. 그리고 협회. [12] Sulla-Felix5859 05/05/21 5859 0
13059 주간 PGR 리뷰 - 2005/05/14 ~ 2005/05/20 [9] 아케미6681 05/05/21 6681 0
13058 Whatever you say, I am I [21] 비오는날이조4484 05/05/21 4484 0
13057 박태민 선수의 플레이 [51] 벙커구석마린7352 05/05/20 7352 0
13056 수고하셨습니다~[스포일러] [6] SkadI4382 05/05/20 4382 0
13055 임정호 코치님, 힘내십시오. [16] 김효경5302 05/05/20 5302 0
13054 에버 스타리그 맵의 옥의티?? [30] 마이스타일6155 05/05/20 6155 0
13053 토론도 코미디가 될 수 있다. [22] 피터팬4753 05/05/20 4753 0
13051 살아남은 자가 강한것이다!!!우주배 MSL!!(박서와 우브의 이야기) [43] 이제다시5287 05/05/20 5287 0
13050 이번 MSL 충격이네요 [14] 초보랜덤5481 05/05/20 5481 0
13048 또 하나의 전설이 역사속으로 사라지다. [9] 처제테란 이윤4815 05/05/20 4815 0
13047 e스포츠가 드디어 공중파에 진출했네요. [32] 한량5615 05/05/20 5615 0
13046 포상 휴가를 마치며 [3] 햇빛이좋아3972 05/05/20 3972 0
13044 Pgr의 규제방식과 팬에 관한 이야기 / 발악성 잡담. [44] 잠언5576 05/05/20 55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