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5/15 13:38:08
Name 크루세이더
Subject 양대 방송사의 대박루키들~
지금까지 대박루키들이 꽤 많았는데 밑에 전승우승을 보니 대박루키들이 생각나서 씁니다.

단순히 포쓰는 너무 주관적인 개념이라 객관적인 기준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대박루키기준은 첫 메이저리그 진출에 결승진출이고
초대박루키는 첫 메이저리그 진출에 우승이라고 정의합니다.


OSL
               초대박루키     대박루키
99PKO         최진우         국기봉
하나로통신    기욤           강도경
프리첼          김동수          없음
한빛소프트    임요환        장진남
코카콜라        없음            없음
2001SKY        없음            없음
Nate             없음             없음
2002SKY        없음            없음
파나소닉       이윤열          없음
올림푸스        없음            없음
마이큐브        없음           강  민
한게임           없음            없음
질레트          박성준          없음
2004에버        없음            없음
아이옵스        없음            없음  

MSL
               초대박루키     대박루키
KPGA1차     임요환          홍진호
KPGA2차      없음              없음
KPGA3차      없음              없음
KPGA4차      없음              없음
MSL1차       강 민              없음
MSL2차       최연성            없음
MSL3차        없음              없음
MSL4차        없음              없음
MSL5차       없음            없음

우선 OSL를 보시면 아시겠습니다만 OSL의 경우 초기 한빛배까지는 선수층이 대단히 얇았고 (이건 당연한거죠.)
챌린지리그 예선 없이 바로 본선에 진출한 관계로
첫 스타리그 진출에 첫 우승하는 일이 아주 일반적인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1.08패치 이후로 11개 시즌동안 결승에라도 진출한 선수는 딱 3명밖에 없었고
그 중에 우승한 선수는 2명밖에 안됩니다.
이 선수들은 각각 이윤열 강민 박성준 선수들인데 명성에 걸맞는 성적을 올린거죠.
우승한 선수들은 이윤열 박성준 선수밖에 업었고요.

MSL은 역사가 OSL보다 짧은 관계로 선수들이 적은데
대박루키는 한명 초대박루키는 3명밖에 없습니다.
이중에 KPGA 1차 우승자 임요환 선수나 준우승자 홍진호 선수는
파나소닉배 이윤열 선수만큼이나 신인이라고 말하기에는 낮부끄러운 선수들입니다만
KPGA 1차리그를 MBCgame의 원년리그로 보면 어쩔 수 없는 일이죠.
굳이 비유하자면 MLB에서 신인왕 먹은 이치로와 비슷하겠죠.
여하튼 홍진호 선수를 제외하고는 대박루키는 전혀 없고
초대박 루키는 임요환 강민 최연성 선수 밖에 없습니다.

양대리그를 종합해서 보면
양대리그를 첫 본선 진출에 첫 결승진출한 선수는 임요환 강민 선수 둘뿐이고
이 중에 둘다 우승한 선수는 임요환 선수 뿐입니다.
한번이라도 첫 본선진출에 첫 우승한 선수는 1.08패치 이후로는
코카콜라배 이후 OSL11개 시즌 MSL9개시즌 총 20개 시즌동안
이윤열 박성준 강민 최연성 4명밖에 없습니다.
1.08패치 이후로 준우승자까지 치면
임요환 강민 홍진호 이윤열 박성준 최연성 선수 6명을 들 수 있고..
이 선수들은 명성에 걸맞는 충격적인 데뷔를 했으며
그만큼 스타리그에 강렬한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요네즈
05/05/15 13:41
수정 아이콘
박태민 선수는 1차MSL 본선진출 경험이 있습니다..^^
크루세이더
05/05/15 13:42
수정 아이콘
마요네즈님//
젭싸게 수정했습니다. 박태민 선수는 햇갈렸는데 1차 MSL에 본선에 올라왔었네요 ^^
가을의전설
05/05/15 13:45
수정 아이콘
그다지....
전 뭐 잘하는 신인선수들에 대한 내용인줄 알았는데..
우승 준우승 선수들이었군요..
다들 노장이네요~이젠..
OnePageMemories
05/05/15 13:57
수정 아이콘
kpga2차에서부터 계속우승한 이윤열선수는 루키가 아닌가요 -0-
파나소닉이 루키인데 kpga2차가 루키가아니라는건 좀 말이안맞는것같은데요
NothingNess
05/05/15 14:01
수정 아이콘
뭐...이윤열선수는 1차 KPGA에도 참가해서 그런게 아닐까용...쩝.
워크초짜
05/05/15 14:06
수정 아이콘
한빛배때 박용욱 선수도 대박 루키 아니었나요?
4위였지만, 임요환 선수에게 1패를 안겨줬고
프프전 명경기 중 하나를 3,4위전에 남겼으니...(졌지만;;)
워크초짜
05/05/15 14:0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윤열 선수는 온겜보다 엠겜을 먼저 우승했으니, 엠겜쪽에 초대박루키라고 포함시키는게 좋겠습니다
녹차토토
05/05/15 14:21
수정 아이콘
코크배 대박루키에 홍진호 선수를 ..
05/05/15 14:40
수정 아이콘
올림푸스배 서지훈선수 추가요 ~
워크초짜
05/05/15 14:44
수정 아이콘
홍진호 선수는 코크배에서 먼저 준우승 했고, 거기서 이미 초대박루키였죠.
05/05/15 14:45
수정 아이콘
홍진호 선수 한빛배때 데뷔했는데 ;;
NothingNess
05/05/15 14:46
수정 아이콘
글쓴햏 말로는...

대박루키기준은 첫 메이저리그 진출에 결승진출이고
초대박루키는 첫 메이저리그 진출에 우승이라고 정의합니다.


---> 서지훈선수는 파나소닉 본선, 홍진호 선수는 한빛배 본선, 이윤열 선수는 KPGA 1차 본선...그래서 없는게 아닐까요. 다 전시즌에 본선에 올랐으니 첫 메이저 진출에 결승진출이나 우승은 아니니까..쩌비..
솔로처
05/05/15 14:46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는 파나소닉배 8강, 홍진호선수는 한빛배 8강에 오른 경력이 있었죠.
The Pooh
05/05/15 15:36
수정 아이콘
조용호 선수가 빠졌네요..
ELMT-NTING
05/05/15 18:29
수정 아이콘
The Pooh/// 조용호 선수는 2002 스카이배에 진출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피플스_스터너
05/05/15 18:56
수정 아이콘
박경락 선수 어디갔어요... ㅜㅜ
05/05/15 19:46
수정 아이콘
파나소닉때의 박경락...
녹차한잔
05/05/15 20:28
수정 아이콘
흠..웬지...MSL도 스폰서명써주시징...
스타우트/TG삼보/센게임/스프리스/당신은골프왕
05/05/15 21:50
수정 아이콘
박경락 선수는 첫 진출 파나소닉배 당시 4강이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84 목숨을 걸어라! [8] ryoma4852 05/05/22 4852 0
13083 PGR 오프라인 모임 후기입니다^^ [49] 새벽오빠6031 05/05/22 6031 0
13082 정모 후기입니다^^ [42] 정희석4244 05/05/22 4244 0
13081 난 플토인데 박태민이 좋소.. [30] 비엔나커피6005 05/05/22 6005 0
13080 애처로운 프로토스;; [17] swflying4541 05/05/22 4541 0
13079 PgR in IRC 두번째 이야기... [3] greatFAQ5451 05/05/22 5451 0
13078 천재왈 "괴물과 황제와 붙는게 가장 긴장되고, 재미있다."(경기결과유) [30] 한방이닷8274 05/05/22 8274 0
13077 줄기세포와 그 파장 ..... [14] 오크날다4296 05/05/22 4296 0
13076 무엇이 승패를 가르는가.. [3] 박영록3971 05/05/21 3971 0
13075 방심이나 운 다 실력입니다. [5] might4973 05/05/21 4973 0
13073 미국하고 일본 지들끼리 잘 노네 [19] 먹고살기힘들4887 05/05/21 4887 0
13069 특정팬만 방심 운운? [46] Aiur6108 05/05/21 6108 0
13068 눈을 뜨면. [2] 컨트롤황제4699 05/05/21 4699 0
13067 내가 하렘물을?? [51] goEngLanD6906 05/05/21 6906 0
13066 해킹... [12] YaKaMa5015 05/05/21 5015 0
13065 이긴 게 다 실력때문은 아닌데 왜 그럴까? [45] 잠언6320 05/05/21 6320 0
13064 장 폴 마라 [6] 총알이 모자라.5015 05/05/21 5015 0
13063 예전에 있었던 프로게이머와 아마추어의 실력 논쟁 [66] Bless6753 05/05/21 6753 0
13062 최연성선수 스타일이 바뀌고 있는 걸까요? [17] 정테란7136 05/05/21 7136 0
13060 잡담 두가지. 임요환과 최연성. 그리고 협회. [12] Sulla-Felix5828 05/05/21 5828 0
13059 주간 PGR 리뷰 - 2005/05/14 ~ 2005/05/20 [9] 아케미6667 05/05/21 6667 0
13058 Whatever you say, I am I [21] 비오는날이조4463 05/05/21 4463 0
13057 박태민 선수의 플레이 [51] 벙커구석마린7341 05/05/20 734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