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3/05 21:40:42
Name 이민형
Subject 이윤열 선수 수상 경력
[2001] 한국통신 메가패스배 서바이벌 프로리그 1위

[2001] iTV 한게임배 서바이벌 프로구단리그 1위

[2001.10] 제2회 세계 청소년 문화축제 스타크래프트 게임대회 1위 (문화관광부장관상)

[2002.5] ghemTV 스타리그 1차 3위

[2002.6] 2002 KPGA TOUR 2차 리그 우승

[2002.10] 2002 KPGA TOUR 3차 리그 우승

[2003.1] KTF 비기 4대천왕전 2위

[2003.1] 2002 KPGA TOUR 4차 리그 우승

[2003.2] 파나소닉배 2002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2003.3] KTEC배 KPGA 투어 위너스챔피언쉽 3위

[2003.4] 벼룩시장 FindAll배 챌린저오픈 스타리그 2위

[2003.4] ghemTV 3차 스타리그 우승

[2003.6] 핫브레이크 온게임넷 마스터즈 우승

[2003.7] Stout배 MBC게임 2003 스타리그 준우승

[2003.11] TG삼보배 2003 MBC게임 스타리그 3위

[2003.12] 2003대한민국 게임대상 우승 게이머상

[2004.1] KTF BIgi 프리미어 리그 우승

[2004.1] KT-KTF 프리미어리그 통합 챔피언쉽 우승

[2004.4] 하나포스 센게임배 2004 MSL 준우승

[2005.1] KT-KTF 프리미어리그 통합 챔피언쉽 3위

[2005.2] 당신은 골프왕배 2004 MBC게임 스타리그 준우승

[2005.3] IOPS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이윤열 선수 정말 대단하다는 말 밖에 안나옵니다...정말 수상 경력만큼은 본좌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ew[lovestory]
05/03/05 21:43
수정 아이콘
아~ 다시보니 정말 대단하네요....감탄사가 나옵니다...저렇게 많은 수상 경력을 가질만한 선수긴 하지만 그래도..대단하다는 말 밖에는..^^
갱스터
05/03/05 21:43
수정 아이콘
약간 태클인데 온게임넷 스타리그가 아니라
그냥IOPS스타리그죠^^;;
05/03/05 21:52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도 게이머 생활한지 5년차네요.. 세월 참 빠르죠..
Festajean
05/03/05 21:53
수정 아이콘
최고의 위치에 가장 오래 남아있는 선수...
유일하죠, 이윤열.
김민규
05/03/05 22:01
수정 아이콘
Festajean//흠 최고의 위치에서 오래남았다기보다는 최강의 위치에서 오래남았있다가 맞지않을까요?
홍차소녀
05/03/05 22:14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 제가 당신의 팬인게 정말 자랑스럽네요^^
05/03/05 22:23
수정 아이콘
아 저기에 WCG우승만 있었으면...그래도 대단 합니다.
★벌레저그★
05/03/05 22:33
수정 아이콘
ㅡㅡ;; 캐사기 선수. 윤열선수.후후//
비류연
05/03/05 23:00
수정 아이콘
최강일수도 있고 최고일수도 있는거죠-_-;;
김군이라네
05/03/05 23:03
수정 아이콘
김민규 / 웬지 요환선수의 팬의 냄새(?)가 나는군요..
아.. 비판은 아니고 요환선수팬들이 최강은 누구누구여도 최고는 임요환
이란 말을 하도 많이 해서리.. -_-a
저에겐 이윤열선수가 최강이자 최고입니다.
05/03/05 23:05
수정 아이콘
최강맞네요 ..
우브두 화이팅 !
05/03/05 23:06
수정 아이콘
최강하고 최고하고 뭐가 그렇게 다르나요? ㅡ.ㅠ
화이팅..화이팅
05/03/05 23:25
수정 아이콘
최고의 자리죠....요환 선수에게 팬수빼고 모든것을 앞서니까요..
최연성선수는 윤열 선수 쫒아오려면 아직도 멀었구요..상대전적 빼고 말이죠..
찬양자
05/03/05 23:28
수정 아이콘
최강은 물론 최고도 맞죠!
Be_on_Da
05/03/05 23:47
수정 아이콘
도대체 언제까지...이젠 그만!
05/03/06 00:03
수정 아이콘
최강인자가 최고의 위치에 올라설수 있는 것이고
최고여야지만 최강으로 군림할 수 있다
고 생각합니다.
나른한 오후
05/03/06 00:08
수정 아이콘
흡사 예전에 있었던 테란의 황제 칭호 논란을 보는 듯 하네요.
카이사르
05/03/06 00:35
수정 아이콘
계속되는 지겨운 논쟁입니다.
최고가 최강이지. 최강이면서 최고가 아니면 그게 무슨 소용입니까?

아마도 임요환선수가 최고라고 하는 것은
오직 임요환선수팬들에게는 최고라는 의미이겠지요
05/03/06 00:38
수정 아이콘
자, 이제 그만!
05/03/06 00:53
수정 아이콘
온겜넷과 겜티비 프리미어리그에서의 활약도 최고지만,,,
엠겜에서 우승3번 준우승3번 3위2번(왕중왕전포함)....할말없네요...;;;
05/03/06 03:07
수정 아이콘
얼마전 선수들이 투표했던 사실을 잊으셨는지...최고와 최강이란 단어는 엄연히 뜻이 다르다는 사실을 아셨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그따위 단어로 싸우는 모습도 이제는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의 최강...혹은 최고라는 단어를 들어야 만족하실 수 있는 겁니까?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그냥 현재의 우승에 축하하고 만족하세요.
제리맥과이어
05/03/06 05:10
수정 아이콘
최고나 최강이나 그게 그거죠. 뭐 별로 민감할 필요야..
임요환 이윤열 둘다 한때 최고였죠. 지금은 강자들이 너무 많아서 한명 절대강자를 꼽기가 어려운것같습니다. 물론 이윤열선수는 지금도 최고중의 한명이죠.
05/03/06 08:10
수정 아이콘
흠..한때 연성 선수가 윤열선수 버스태우면서 지존으로 올라섰다..하락하고 성준선수도 윤열선수 몇번 태우고 지존 올라섰다가 다시 하락할꺼같네요..
05/03/06 08:11
수정 아이콘
즉 겁없이 윤열선수 버스태우면...망한다..(생각해보니 우리 강민형도 ㅜ_ㅜ 윤열선수 버스 몇번버스태우고 본좌 자리에 올랐다 하락했네요..좀 인터벌이 길긴하지만..
05/03/06 15:35
수정 아이콘
letina/ 사람이 자신이 생각하기에 최고라고 생각하는선수를 최고라고 부르는데 님이 무슨 권리로 그것을 해라 하지마라 합니까.
현재 우승에만 만족하고 축하해라.. 다른 사람들을 무슨 아이 취급하는 듯한 말투시네요.
최고와 최강이란 단어의 뜻은 엄연히 다르다.. 사전적인 뜻이 다르다는 걸 모르는바 아닙니다. 그러나 그것이 사용되는 의미에는 별차이 없다는게 제 생각인데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 한번 설명해보시죠.
제 생각엔 최고라는 단어를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에게만 붙이고 싶은 일부 이기적인 팬들이 만들어낸 말장난인것 같은데요.
님이 어떤 선수를 최고라고 하는지 한번 지켜보겠습니다.
완전소중등짝
05/03/06 16:43
수정 아이콘
내 마음속의 최고+최강 박정석 낄낄
저그는 어려워
05/03/06 16:44
수정 아이콘
어제도 파포게시판에서는 "이윤열 저그전 잘하지만 SK양테란 따라갈라면 멀었다" 는 소리도 나오는군요....물론 임요환,최연성선수를 비하하는건 아니지만 이윤열선수의 팬으로써 솔직히 서글프더군요...
"도대체 얼마나 더 잘해야 하는건데?????"
샤프리 ♬
05/03/06 19:06
수정 아이콘
저그는 어려워님// 그건 임요환선수의 메카닉에서도 나오는 말이였죠 -
흔들기만 잘하면 되었지 물량의 승리가 아니라서 무효 - 윤열테란 따라갈려면 끝이 안보임 이런소리.. 다 똑같은 겁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419 마에스트로를 막을 최후의 보루 4인 [43] 포로리6944 06/11/24 6944 0
27312 차기 10차 MSL은 '곰TV배 MSL' 이네요. [64] 리콜한방6600 06/11/20 6600 0
26905 [Kmc의 험악한 시청] 2006/11/08 [2] Ntka3909 06/11/09 3909 0
26043 개천절에 벌어지는 개인리그 더블 데이!(하루에 개인리그가 두개 있는것) [20] SKY924316 06/10/02 4316 0
25761 e스포츠 최고의 맞수-영원한 라이벌 : 임요환 VS 홍진호 [33] Altair~★6931 06/09/19 6931 0
25354 [L.O.T.의 쉬어가기] 임요환... 당신께 프러포즈 합니다.. [17] Love.of.Tears.4865 06/09/02 4865 0
24927 제가 본 미국드라마들(미국드라마 시작하고 싶으신분들 참고요 ^^) [76] 율리우스 카이11639 06/08/12 11639 0
24262 WEG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걸까요? [47] Index of Life4032 06/07/11 4032 0
24174 스타크 TCG의 가능성 [14] 백야4589 06/07/07 4589 0
23835 신한 마스터즈, 그리고 시드 결정전에 관하여 [10] Nerion4675 06/06/14 4675 0
23051 T1의 프로젝트 이건준키우기~~~ [17] 초보랜덤4033 06/05/07 4033 0
22745 [이상윤의 플래시백 13탄]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 16강 B조 김정민:유병옥 [2] T1팬_이상윤2906 06/04/26 2906 0
22482 E-SPORTS in 2006 [10] kama5539 06/04/15 5539 0
22383 조지명식의 걸어다니는 시한폭탄 강민선수 이번에는? (D-1 OSL 조지명식) [24] 초보랜덤4768 06/04/11 4768 0
22334 2006 신한은행 1st 스타리그 일정 예상해보기(듀얼 일정 예상 포함)(수정) [29] SKY924430 06/04/09 4430 0
22327 신한은행이 스타리그를 후원하면서 궁금해지는 것 중 하나 이러다 혹시? [39] 에휘루스6042 06/04/09 6042 0
22324 차기 스타리그 스폰서가 결정되었네요. [100] 지포스7075 06/04/09 7075 0
19715 [응원] Sync, 다시한번 불꽃을 지피다. [19] Espio3784 06/01/02 3784 0
17905 과연 스타계에는 1년동안 상금을 1억이상 번 선수가 없을까? [25] Dizzy7286 05/10/30 7286 0
17078 프로게이머팀이 스폰서를 못잡는 이유. [36] 앗뜨6032 05/10/05 6032 0
16879 이시대 최고의 테란들 [107] 공방양민6964 05/09/27 6964 0
11515 이윤열 선수 수상 경력 [28] 이민형3609 05/03/05 3609 0
11154 [추억의 PGR] 'Boxer's Army' [5] 총알이 모자라.2979 05/02/19 29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