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1/16 09:14:43
Name 청개구리
Subject 프로게임의 다양화를 막는 진짜 주범은.??
예전에도 이런 토론이 있었을 거라 생각하지만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것이 좋을것 같아
몇 글자 적습니다.

모니터의 해상도가 훨씬 뛰어납니다. 선명도의 기준은 수평주사선인데.
일반 TV의 수평 주사선은 500개 정도입니다.
프로젝트 TV나 HDTV는 7-800개정도를 사용하죠.
최고급 TV도 주사선이 1000개정도가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물론 화면크기가 60인치정도 되는 것입니다.
19인치 모니터의 경우 1200개의 수평주사선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화질이 선명합니다.
해상도 1600X1200을 사용할 때 수평주사선을 1200개 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 선명도 두 가지 모두 모니터가 뛰어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니터를 3~50 센티미터 앞에 두고
가까이 봐도 선명합니다.
참고로 19인치의 해상도를 640X480으로 설정하면 TV와 선명도와 화질이 비슷합니다.

윗글은 펌글입니다.
정확한 스펙은 전문가가 아니라서 tv 가 얼마나 색감을 표현할 수 있는지 음향은 얼마나 충실히 재생해 주는지는 저도 정확히는 모릅니다.
다만 프로게임계의 활성화 하는데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이 장벽이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tv 가 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스타크래프는 해상도 640 X 480 인 게임으로 알고 있습니다. 확인하고 싶지만
스타를 지웠습니다.
요즘 게임 하다가 스타를 하려고 들어가 보면 상당히 화면이 작다는 것을 느낍니다.
요즘 게임들은 해상도 1024가 거의 넘어가니까요.
앞서 에도 말했듯이 tv 수평주사선은 500개가 못됩니다.
스타에는 어느 정도 중계하기엔 적합합니다. 그렇지만 업그레이드 수치나 킬수 라든지
하는 작은 글씨는 알아볼 수가 없습니다. 잘 보면 알 수도 있겠지만
시청자에게 작은 것도 보라고 한다면 그건 리모컨으로 다른 채널 돌리라는 것과 같을 겁니다.
요즘 나오는 게임들에 지금은 저화질의 tv 가 시청하기에 적당한가. 전혀 적당하지가 않습니다.
C&C 마니아, 미쏠로지 마니아 들은 그들 게임이 훨씬 재밌고 그래픽 좋고 음향도 훨씬 좋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작 tv 로 볼 때 그래픽 제대로 표현도 안 되고 색감표현도 제대로 안되어 적과 아군 구분하기도 힘듭니다.
음향 요즘 5.1 채널 까지 나왔다고 하지만 지금 tv 로 시청할 때 뒤에서 총 쏘면 뒤에서 들리게끔 할 수는 없습니다.
음향소리 좌우도 분리도 안 되는 실정이니까요. 제 tv 는 그렇습니다.
만약 지금 tv 가 HDTV 이었다면 어땠을까. 생각해 보면 다양한 게임이 프로게임계에 공존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게임 시청할 때 창병 총병 줌아웃하면 조금만 해서 구분도 안 됩니다.
확대해서 그때는 구분이 됩니다. 전투장면에서 화살을 쏜다고 하는데 보이지가 않습니다.
그거 확인하려고 화면 가까이서 봐야 된다면 리모컨으로 채널 돌리고 맙니다.

물론 게임을 할 때 재밌는 게임이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게임을 할 때 재밌는 게임은 tv 시청할 때 재밋는건 아니라는 겁니다.
물론 게임도 재미가 있어야 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먼저 선행되어야 될것이 있습니다.
저는 우리나라 프로게임이 다양하게 발전할려면 , 아니 그게임에 대해서 정확히 봐주기를
원한다면 tv부터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HDTV 이상 급으로 얼른 바꾸자구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용진
04/01/16 09:18
수정 아이콘
님 말씀대로 TV로 보는것하고 직접가서 선수들 응원하면서 ^^
특히 하나 둘 셋 서지훈 화이팅 이거 재미있더군요 ^^
직접 가서 보는게 제일 흥분되고 좋지만 HDTV돈의 압박이 --;
아무튼 전 엠비씨게임 온게임넷 두개다 나오는거에 만족하며 살아요
돈은 더 내지만 ^^;
안용진
04/01/16 09:20
수정 아이콘
앗 그리고 상관없는 애기지만 레벨 7인분들 정말 좋을꺼 같아요 삭제게시판도 볼수있고 PGR을 더 잘 알수있는 계기가 될꺼 같아서요 암튼 오늘도 레벨 7을위해 열심히 . ^^
올빼미
04/01/16 09:21
수정 아이콘
생각지도 문제였습니다. 확실히 tv중계로는 그런 문제가...
이동환
04/01/16 09:41
수정 아이콘
소니 베가의 경우 1440라인까지 표현이 된다고 하죠? 일반 티비의 약 5배의 화질이라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1440라인의 티비로 스타를 보는 거나 일발 티비로 스타를 보는 거나 화질은 똑같습니다. 그리고 다른 게임을 방송한다고 해도 hd로 내보내지 않는 이상은 우리가 기대하는 그런
화질은 절대 안나오죠. 그냥 똑같은 아날로그 화질일 뿐입니다. 현재
겜방송사가 hd방송을 하기에는 너무 구조가 열악하죠. 그건 방송사를
두번 죽이는...--;
티비를 바꾸는 것도 중요하지만 방송사가 hd방송을 할 수 있을 정도로
기반이 쌓였으면 하는 겁니다.
04/01/16 09:54
수정 아이콘
저는 집에 케이블이 안 나오는 관계로 오직 VOD를 통해서 스타를 보는데요....
집에 모니터가 19인치 LCD모니터여서 그런지 온게임넷 고화질 VOD나 겜티비 VOD는... 선수들 채팅하는거나 킬수 및 업그레이드도 다 보이더군요...
안용진
04/01/16 09:56
수정 아이콘
헉 그런것 까지 보시군요 전 선수들 마우스랑 마우스패드 머쓰나 요리조리 본다는 ^^;
04/01/16 09:58
수정 아이콘
진짜 주범은 스타크래프트가 아닐까...
청개구리
04/01/16 09:59
수정 아이콘
메카니즘을 무시하고 tv 만 바꾸자고 하는 주장은 아니구요.^^
현재 공중파에서 HD송출을 해주니까요. 시범적이긴 하지만
방송 여건이나 시청여건이 프로게임의 다양화를 만든다는게
핵심이거든요.
그냥 표적을 정하고 원망하고 비판하기 쉬운것을 원하므로 스타크래프트를 지명하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이동환
04/01/16 10:19
수정 아이콘
엑박의 720p의 화면을 티비에서 보면 정말 압권이죠. 문제는 대중을
사로잡을 수 있는 게임성인데 그 부분은 도저히 구리구리한? 화질의
스타를 따라잡을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04/01/16 10:30
수정 아이콘
EzMura님 의견에 올인...
드림씨어터
04/01/16 11:27
수정 아이콘
아직 잘 모르시는거같은데 모니터의 색감은 TV를 절대 따라가질 못합니다. 구독성은 모니터와 TV가 비교가 안돼겠지만 게임이나 영화를 볼땐 TV가 월등히 앞섭니다. 저희집은 프로젝션을 쓰는데 물론 HD고요. 근데
전 제방에 있는 작은 21인치 티비를 주로 봅니다. 편해서 그런것도 있지만 별차이 없어서 그렇죠. 정말 기다린 경기는 프로젝션으로 보지만요.
청개구리
04/01/16 12:18
수정 아이콘
드림씨어터님// 굳이 댓글 할 필요가 없을거 같았는데 착각하시는 부분은 집고 가야 될것같아서요.
본문 내용을 짧게 써서 그러는지 표현을 잘못해서 그러는지 오해하시는 분이 있을거 같아서 설명을 드리자면 색표현이 tv 가 월등히 떨어집니다.
그래픽하시는 분들은 아실겁니다.
그래픽할때 tv 수상기가 색표현을 훨씬 잘한다면 tv 수상기를 연결하고 작업을 할겁니다.
오히려 컴퓨터 모니터가 색표현을 tv 보다 월등하므로 인해서 색감이 떨어지는것처럼 보입니다.
역설적이지만 tv 는 미세한 차이의 색은 표현 하지못합니다.
컴터 모니터는 미세한 색을 표현하므로 오히려 자질구레 한것도 잘보입니다.
그래서 색감이 떨어져 보입니다. 한마디로 미세한 차이로 인해서 지져분해 보이는 부분을 보여주는데서 생기는 차이입니다.
그래서 tv 가 깔끔해보이고 단정해 보이는 시각의 차이일뿐 색감이 월등해서가 아닙니다.
coolasice
04/01/16 12:34
수정 아이콘
이곳에서 봤던 멘트인데요,
"스타가 게임시장을 발전시켰고, 스타가 게임시장의 가장 큰 장애요소다"
04/01/16 12:48
수정 아이콘
TV는 화면을 잘 뭉게는 거지 색감이 모니터보다 월등한 건 아니지요..
04/01/16 12:48
수정 아이콘
그리고 모니터도 모니터 나름이지요.
이동환
04/01/16 12:55
수정 아이콘
티비가 hdtv로 넘어오면 얘기는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보아오던 칙칙한 색감이 아니라 리얼 색감이죠. 모니터는 상대가 안된다고 생각되네요.
이동환
04/01/16 12:57
수정 아이콘
물론 방송도 hd라는 전제하에서 말이지요.
04/01/16 16:12
수정 아이콘
스타가 게임시장발전을 장애요소라고요? 게임은 사람들이 하고 싶은 게임하는 겁니다. 재미없는게임 만들어놓고 스타하지말고 그거하라는건 말이 안되는소리.
스타때문에 발전장애가 된다는것은 좋은게임을 만들지 못하고 재미없는게임 하라는 소리입니다.
DeGerneraionX
04/01/16 19:40
수정 아이콘
스타에 너무 익숙해져서 다른 재미있는 게임을 안 하는 사람도 엄청 많습니다. 재 주위도 엄청 많고 RTS 게임 나오면 스타와 비교가 되죠 스타일이 달라도 스타와 비교해서 뭐가 안 좋다라던지 하는 얘기가 나오죠...
에이지계열이 확실히 그런 소리를 많이 먹죠
에이지 같은 계열의 게임은 겜 속도가 빠를수가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0 온라인 사이트 순위 [31] 어쩔줄을몰라5302 04/01/16 5302 0
1157 [펌]허재 바이러스 20년째 기승, `허재불치병` 4인4색 사랑고백 [13] 한빛짱4070 04/01/16 4070 0
1155 요새 테란 상대하는 재미 쏠쏠합니다.... [17] SuoooO3586 04/01/16 3586 0
1149 스타크래프트의 천적 관계 [56] 전유6663 04/01/16 6663 0
1148 [잡답] 어느새.. [2] 주적자3244 04/01/16 3244 0
1147 프로게임의 다양화를 막는 진짜 주범은.?? [19] 청개구리4513 04/01/16 4513 0
1146 [잡담]어느 저그유저 주절주절하다.. [3] 저글링분대장3166 04/01/16 3166 0
1145 [잡담] Trust No One [35] [NC]..SlayerS_NaL-Da3547 04/01/16 3547 0
1144 XellOs..그리고 NaDa.. [23] Love4425 04/01/16 4425 0
1143 안녕하세요. 정태영 입니다. [9] 정태영4633 04/01/16 4633 0
1141 공지사항에 대한 오해를 줄이기 위해 [16] 항즐이4260 04/01/16 4260 0
1140 마우스를 잠시 놓으며 생각하는 저그... [10] CopyLeft3134 04/01/16 3134 0
1138 리플을 달아주셨던 분들께 드리는 반문입니다. [11] xsdenied3136 04/01/16 3136 0
1137 배틀넷에서 저그 하기 싫은 이유 [29] 밤꿀4524 04/01/16 4524 0
1136 아...서지훈선수...부디 그 징크스를 가지시길... [20] EzMura4554 04/01/15 4554 0
1135 보고있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선수 (장 브라더스) 별명공모..;; [18] 찬양자3298 04/01/15 3298 0
1134 For TerranKiller... [23] 만득4070 04/01/15 4070 0
1133 Fly high~ [8] Go_TheMarine2998 04/01/15 2998 0
1132 아시안컵 조편성 확정!!! [17] 원삔3809 04/01/15 3809 0
1131 Yellow, 그를 위한 무대 - 서막 [23] 막군3858 04/01/15 3858 0
1127 MSL리그 최인규선수와 이윤열선수의 모습을 보고.. [20] MayLee4683 04/01/15 4683 0
1124 자유게시판의 딜레마, 안타까움과 소외감. [47] 물빛노을4187 04/01/15 4187 0
1122 게임 습관과 째는 타이밍 [17] homy4270 04/01/15 4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