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1/16 00:49:16
Name xsdenied
Subject 리플을 달아주셨던 분들께 드리는 반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리플을 읽으면서 서로간의 입장차이가 정말로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역시 자신이 플레이 하는 게임을 옹호할 수밖에는 없는 거겠죠 ^^;;

일단 i_random 님께 말씀 드리자면 카운터스트라이크는 절대 한 게임이 빠르지않습니다. 스타크래프트와 다른점은 한 게임이 여러 라운드로 나뉘어져 있다는 거죠. (카스는 현재 라운드 당 3분이고 앞으로 2분~2분30초 정도로 줄일 예정입니다. 패치에서 시스템이 새로 바뀌게 되서 라운드타임이 줄어들 필요가 생겼거든요. 아무튼 간단하게 권투를 연상하시면 되겠네요.) 경기 당 최소 30분에서 한시간 정도 걸리는 게 기본입니다. 그리고 라운별로 어느 때는 패스트러쉬를, 다른 때는 무척 느린 러쉬로 몇 초 안 남기고서야 공격을 들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리전을 말씀 드리자면 각종 페이크러쉬와 자금을 이용한 압박, 조용하게 기다렸다가 들어가는 타이밍러쉬, 피스톨라운드에서의 기선제압, 시간 끌기 등 무척 심리적인 요소가 많습니다. 솔직히 카스를 안 해보신 분들께는 선뜻 이해가 안가시겠지요. 일단 해보시면 압니다. 그것만 말씀 드리고 싶네요. 전략적인 요소.. 카스가 왜 인기 있는가는 이 요소에 갈렸다고 생각합니다. 한 팀이 한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 수십 번의 시행착오, 몇일 간의 밤샘으로 만드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카스는 무작정 달리는 게임이 아닙니다. 팀웍과 개개인의 실력, 작전 모든 것이 중요한 게임이죠. 세계적으로 유명한 선수들 중에는 실력이 아니라 전략으로 알려진 선수도 있을 정도니까요. 그리고 대회전에는 전략노출을 피하기 위해서 연습경기마저 피하는 경우도 있답니다.

그리고 김대선님께. 프로게이머란 직업 자체는 한국이 앞서있습니다. 계약제도나 구단같은건 해외에서 찾아볼 수가 없는 것이죠. (요즘에는 해외의 유명 팀들도 계약제를 사용하고있습니다. 물론 매우 일부분에 국한되었지만요.) 하지만 다시 생각해보자면 그건 RTS에 국한되어 있을 뿐입니다. 베르트랑이 말하는 한국에 대한 꿈을 가진 외국인들은 전부 RTS 게이머들이죠. 오히려 한국의 FPS게이머들은 전부 스웨덴이나 독일을 꿈꾸니까요. 이건 게임이 어디에서 인기가 있는가에 대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스폰서를 따내는것만이 프로게이밍의 목적인가에 대해서는 '스폰서'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는 않겠지만 스폰서가 없다면 대회가 이루어질 수가 없습니다. 연봉을 제외하면 상금이 주수입원인 선수들의 생활에도 문제가 생기구요. 프로게이머가 광고 모델로 사용된다는 것은 지면이나 방송등에서 얼굴을 내보낸다는 것이 아니라 그 게이머들이 자신들의 물품을 이용해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있다는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FPS 게이머들의 특성상 고수들의 제품들에 호감을 가지기 때문이죠. 제 말은 국제적 컴퓨터기업들의 스폰을 받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프로게이밍에 투자할 가장 유력한 기업이라는 것입니다. 대규모기업, 컴퓨터기업이 아니더라도 스폰만 제대로 해주면 어떤 기업이던지 문제가 될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다른 기업보다는 일단 컴퓨터관련 기업이 스폰을 유치하는데 쉬울 것이라는 겁니다. 제 글에도 있듯이 어느 한 종류의 기업이라도 프로게이밍으로 큰 효과를 본다면 서로 나서서 스폰할려고 할겁니다. 다음으로 고사양과 FPS 의 관계는 대선님 말대로 어떤 종류의 게임이던지 고사양에 게임성, 흥행성만 보장된다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로 봤을 때 FPS 게임 이상으로 고사양에 대회에 적합함을 보여주는 장르가 없는 건 사실이죠. 어드벤쳐, 롤플레잉이 아무리 게임성이 뛰어나고 고사양이라도 대회를 연다는 건 힘들다는건 잘 아시겠지요. FPS 게임이 대회에 적합한가.. 이 부분은 직접 대회장에 한번 가보시라는 말밖에는 할말이 없습니다. 대회에서 열광하는 모습들은 스타크래프트 못지않습니다. 레인보우와는 비교하지 마세요. 그때보다 훨씬 많이 발전했답니다. 구토....-_-;는 주위 사람들을 봤을 때 첨엔 어지럽네 해도 하다 보면 모두 잘 적응하더라구요. 이건 대중성의 문제, 얼마나 많이 하느냐의 문제입니다. 스타크래프트 처럼 활성화만 되고 사람들이 카스에 적응만 한다면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스타크래프트에 비해서 이런 약간의 적응이 필요하다는점이 단점이 될수도 있겠지요.

다음으로 방송문제를 지적하신 분들께. 카스의 최대장점은 HLTV 라는 자체적인 방송용 시스템을 가지고있다는 점입니다. 1인칭시점, 3인칭시점, 자유이동시점등 다양한 시점과 게임화면도 동시에 볼 수 있는 미니맵의 존재는 예전의 레인보우 시대를 기억하시는 분들께 "예전과는 다르다" 라는 말씀을 드릴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역시 직접 해보시라는 말씀을 드리고싶습니다 -_-;;; (이게 참 애매하죠.. 카스하는 사람들치고 스타크 안 해본사람이 없지만 반대로 스타크 하시는 분들 중에 카스를 제대로 해보신 분들은 별로 없으신거같습니다. 스타는 대중화되었고 카스는 매니아적인 게임으로만 남아있기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보이네요.) 화려한 컨트롤과 흐름을 읽을수있다는건 카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1인칭 화면으로 보면서 게이머가 어떻게 상대를 조준하는가, 어떻게 움직여서 상대방이 자신을 제대로 조준할 수 없게 하는가, 무기를 어떤 타이밍에 바꾸는가, 폭탄을 어느 시점에 던지는가.. 전부 미묘한, 연습하지않으면 가질 수 없는 컨트롤의 산물입니다. 스타크에 비해 빠른 템포이고 어지러울 수 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도 인정합니다만 역시 이건 적응의 문제, 대중화된다면 문제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스타크래프트가 아무나 봐도 방식을 알수있기때문에 대중화되어서 인기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씀은, 저는 스타크가 결국 상대편의 유닛을 모두 제거해서 승리를 거두는 것이라면 카스는 사람들에게 더 친숙한 "총" 을 이용해서 상대편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카스의 총을 쏴서 상대방을 맞춘다는 기본 개념은 누구나 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 말은 무조건 적응만 하면 ok, 이런게 아닙니다. 그렇지만 솔직히 일단 한번 해보시고 몸으로 느껴주세요.. 라는 말밖에는 할말이 없네요;; 카스 방송경기가 한번도 제대로 활성화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추측만으로 서로의 생각을 풀어나가는건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니까요.

마지막으로 제 글의 스폰서문제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제 글을 찬찬히 읽어보셨다면 이해하셨겠지만 저는 일단 컴퓨터회사들로 하여금 스폰서를 받아서 그들이 효과를 얻는다면 다른 종류의 기업도 알아서 스폰을 할 것이다. 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종류의 스폰서를 받지말자는게 아니라 컴퓨터회사들이 아무래도 효과를 먼저 볼 테니 그들을 먼저 유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일단 효과가 있는 것이 검증되는 사업이라면 다른 기업들, 물불안가리고 게임시장에 뛰어들 것입니다. 아직까지 그들이 원하는 만큼의 효과를 못 봤으니 서로들 발을 빼는 거지요.

아무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로간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 의견차를 좁힐 수만 있다면 좋겠습니다. 역시 궁금하신 점, 반론은 리플로 달아주세요. ^^;

뻔한 이야기일지 모르겠습니다만 우리는 적이 아닙니다. 같은 게이머이고 프로게이밍, esports 를 좋아하는 사람들이죠. 서로 즐기는 장르가 다른 거구요. 편견 없이, 고운 시선으로 서로를 바라봤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2004년 1월 16일 xsdenied 이상훈
choriluv@hanmail.net
http://guns.ioigames.co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Alska
04/01/16 00:56
수정 아이콘
카운터 스트라이크의 프로게임계 저변 확대는 아무래도 좀 힘들듯싶네요.
저도 왠만한 사람 못지않게 FPS를 좋아하고 많이 해본 사람입니다만 카스 방송은 그다지 챙겨본적이 없습니다. 물론 데모는 아주 가끔 보긴 합니다만;;;;
게이머의 입장에서는 끝나기 수초를 남겨두며 러쉬 타이밍을 기다리는 짜릿한 긴장감과 마지막 1:1 상황에서의 대치 상황등이 숨막힐지 모르지만 단순한 시청자의 입장에선 '짜증'과 '지루함'을 유발하게 되죠-.-
거기에 카스는 팀게임입니다. 옵저빙하기도 꽤나 벅차죠;;; 정신없이 돌아가는 화면들-_-;;;
FPS를 RPG다음으로 좋아하는 제가 이런말 하기 괴롭지만 카스는 엔터테인먼트 적인 프로게임으로는 낙제점입니다. 즐기기엔 좋지만요.

차라리 퀘이크나 언토의 1:1이 훨씬 더 방송경기로써의 가치는 높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카스보다 훨씬 더 매니악 하지만요-.-
04/01/16 01:06
수정 아이콘
제 리플도(이 글 올라오기 바로전에) 답변 해주셨으면 합니다. :)
그리고 엠비씨게임에서 카스 방송경기를 보내준적이 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메이븐 클랜 하고 몇몇 클랜이 나왔습니다.
가부뤼
04/01/16 01:12
수정 아이콘
(전 카스+스타 매니아 입니다.)
처음 스타가 방송을 할때만 해도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엄청 많았었죠.
결국 성공했지만 말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한 게임이 관전용으로서 인기를 얻으려면 시청자들의 그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된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빌드를 알고. 어느 유닛이 어느정도 강하고 등등을 알기 때문에 스타 관람이 재밌는 것입니다. 카스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5:5 매치 플레이. 서로 보이스챗을 하면서 일사분란하게 움직이고. 수류탄류를 하나 던지는 장소나 벽 뒤의 상대를 노리는 월샷등 하나하나가 그냥 하는 것이 아닌 엄청난 연습과 철저한 계산의 산물이라는걸 시청자들이 이해할 수 있어야 관전이 재밌는 거겠죠.

프로게이머들이 하는 행동들이 왜 하는 행동인지, 어떤 의미를 가진 행동인지를 이해할 수 있어야 더 재미있을듯 싶네요.

어떻게 해야 그렇게 될 수 있을지는 저도 모르지만요 -3-;
xsdenied
04/01/16 01:28
수정 아이콘
네 F.L 님 글 잘 읽었습니다. 하지만 저로서도 이해가 안가는군요. 해외에서는 분명히 FPS 게임이 대세인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대회가 개최되는것만 봐도 메이저급 대회의 경우 카스가 우선이고 최근들어 워3 가 같이 열리고있습니다. 경기종목에서도 카스, 언토, 헤일로, 퀘이크3, 울펜, 콜오브듀티등 절대다수가 FPS 게임이지 RTS 게임은 워3 외에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게임의 판매량 여부가 아니라 얼마나 대회가 열리고 많이 플레이하는가가 중요한것입니다. 통계자료를 봐도 게이머 수에서 카스가 압도적이고 판매량에서 카스가 약할 수밖에 없는건 카스의 경우 리테일이 나온건 카스 제작이 시작된후 한참후에 일입니다. 원래는 하프라이프의 모드였지요. 어차피 성공가도를 달리는 게임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하지만 그 소수의 게임이 얼마나 자주 대회가 열리는가 이것이 중요한 것 아닌가요? 한국에서는 스타가 히트를 쳤지만 한국 외의 지역에서는 카스가 대세입니다. 유럽과 북미는 말할것도 없고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아시아에서는 말레이시아가 카스 최강국중 하나입니다. 라이벌은 싱가포르 -_-; 한국도 비슷하죠.) 같은 아시아권에서도 카스가 PC방등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중에 절대다수로 알고있습니다. 인지도 측면에서는 한국이 유럽보다 방송이 활성화 되었기 때문에 선수들 인기가 많은건 사실입니다만 어차피 외국에서는 박서, 나다, 옐로우 같은 선수들도 스타크에 관심있는 게이머외에는 아무도 모릅니다. 만약에 유럽의 카스리그가 한국에서처럼 방송을 타게된다면 히튼, 포티, 엘레먼트를 모르는 사람이 없겠지요. 그건 여건의 문제랍니다. 그리고 전미, 전유럽을 커버하는 케이블TV 를 만든다는건 장난이 아닙니다. 어지간한 대형방송사 아니면 절대 불가능하죠.
항즐이
04/01/16 01:53
수정 아이콘
아 ... 글 내용에 힘을 더하는 코멘트를 달고 싶지만.. 생각이 부족하군요 ^^

아무튼, 간만에 아주 좋은 토론의 장을 보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Sir.Lupin
04/01/16 01:59
수정 아이콘
카운터 스트라이크 클랜 초청전을 몇달전에 연출한 적이 있습니다. 그 전까지는 카스에 대한 개요만 알고 있던 상태였죠. 하지만 카스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나서, 왜 카스가 전세계적으로 최고의 게임으로, 스타와는 비교도 안될만큼의 유저를 가지고 스타의 역사와 견줄만큼 사랑받고 있는지를 알게 되었답니다. 한국에서의 카스리그의 가장 결정적인 문제는, 역시 스타입니다. 다른 게임들이 그러하듯이. 리그를 시작하려면 스폰서가 있어야 하지만, 스타라는 게임이 타 게임리그들의 스폰서를 가로막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인 것이죠. 그런데, 정말 만약, 카스리그가 본격적으로 2-3기의 역사만 가지게 된다면, 전 적어도 스타와 견줄만큼의 훌륭한 리그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 생각의 가장 큰 기반은 바로 '언더그라운드의 황제'로써의 카스란 게임의 대중적 기반입니다. 카스는, 아직 수면위로 올라오지 않았을 뿐이지, 외국을 차치하고라도, 이미 플레이하는 유저들의 수는 스타를 넘어서고 있는 게임입니다. 만약, 진정으로 월드와이드한 프로게임시장이 탄생한다면, 전 단연코 카스를 가장 첫번째 주자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을 것입니다. 최근의 프리미어리그까지, 오랫동안 스타리그를 연출해 왔고, 2002년부터는 현재의 프라임리그까지 워3 리그를 담당하고, 몇달전의 카스 리그의 경험은, 스타만이 게임 방송의 모든 것이 아니라면, 만약, e-Sprots가 진정으로 복수의 종목으로 다양하게 자리잡으려면, 조금은 시야를 넓게 볼 필요도 있음을 알게 해주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자신이 좋은 것은 좋은 것이고, 재미 있는 것은 재미 있는 것이겠지만요..:)
04/01/16 02:10
수정 아이콘
xsdenied님 저의 말을 좀 더 다른 방면으로 이해해주셨으면 합니다. 앞서 리플에서 말했듯이 저도 카스에 푹 빠졌던 적이 었었고,(제가 한 2년정도 말XXX아에 있었으니 충분히 얘기가 될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카스는 하프라이프 정품만 사면 공짜로 다운 받아서 플레이 할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xsdenied님이 밝히셨듯이 FPS게이머들의 업그레이드 욕구는 있다고 하지만, 정작 그 수요는 판매량에 비례되는 것 아닌가요? FPS류는 아직 방송타기에 부족함이 많습니다. 케이블TV등의 개설을 떠나서 이미 온게임넷과 엠비씨게임등이 활성화 되어있는 대한민국에서 방송되었던 '소콤:네이비 실즈' 나 '하프라이프:카운터스트라이크' 등은 방송되기에 최적화 되지 않았습니다. FPS, First Person Shooting 아닙니까? 적어도 스타나 워크같은 RTS는 옵저버가 3인칭의 관점으로 시청자들이 산만하지 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카스에서 3인칭으로 중계할 수 있는 법은 전체 맵에서 각 선수들 위치를 보면서 교전이 일어나는 지역이 있으면 비추는 법밖에 없습니다. FPS의 경우 방송용 옵저버가 등장하면 FPS특유의 긴장감이 사라집니다. 정말 실제 게임매니아들만 시청하고 보고 있을거란 얘기죠. 실제 박서나 나다, 옐로우의 플레이에 매료되어 스타크를 시작하는.. RTS 류와 달리 FPS는 한정적이고 뚜렸한 한계가 보입니다. 스폰서문제 역시 전혀 안정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실제로 Q2이후 FPS중 롱런한다는 게임은(콘솔제외) 카스밖에 없습니다. xsdenied님이 말씀하시는 스폰서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좀더 발전된 게임이 발매되어 cpu/vga등의 판매가 따라줘야 합니다. '프로'게이머들 입장에서는 새로운 것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이죠.
04/01/16 02:11
수정 아이콘
p.s: 요즘엔 한국에도 카스가 깔린 피시방 / 소콤이 있는 플스방이 많더군요.. 스타만큼은 아니지만..
TheAlska
04/01/16 02:30
수정 아이콘
카스의 가장 큰 장점인 팀플레이가 프로게임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가장 큰 단점이 되어버립니다. 단적인 예로 스타만 해도 3:3이 되면 정신이 하나도 없는데 카스는 오죽 하겠습니까;;;
카스가 정말 뛰어난 게임인것은 맞지만 프로게임으로는 낙제점 이상 줄수가 없습니다. 정말 대대적인 패치로 옵저빙이 수월해 진다거나 하지 않는이상 연출하기도 힘들고 FPS게임 특유의 찰라의 순간을 포착하기도 쉽지 않죠
RTS인 워3에서도 극적인 영웅 킬 장면이 가끔 화면에 안잡히는것 처럼 말이죠;;

해설 하기도 꽤나 난감하겠습니다. 만약 월샷을 하고있는데 그 월샷에 대해 설명을 하고 어떤어떤 방법이다를 설명해야 하는데 바로 그 선수가 죽거나 하고 교전이 일어나면... gg스럽죠;;;;

예전에 KPGA에서 퀘3 듀얼 방송한적이 있는데(아마 아리랑TV에서 방영했을겁니다.) 그때도 해설이 매끄럽지는 못했습니다. 그나마 1:1이라서 옵저빙은 수월했지만요.(어찌 아냐고요;;? 제가 그 옵저버였으니까요-_-;;;;.)

FPS라는 장르는 즐기기엔 정말 좋지만 스포츠화 되기엔 무리가 있는 장르입니다. 차세대 FPS들은 어떨지 모르겠습니다만^^;;
i_random
04/01/16 05:32
수정 아이콘
저도 fps를 전혀 해보지 않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fps에 심리전과 전략이 있다는 것은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fps에 심리전과 전략이 rts의 그것을 따라가는 데에는 한참 못미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몇 몇 분들이 말씀해주셨지만 fps는 뒤에서 보는 입장에서 즐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것 같더군요.. (뛰어가다가 상대방 만나면 숨거나 총 쏘고 수류탄 던지면서 견제하다가 죽고 화면 바뀌고 이런식의 연속을 자꾸 보면 지루해질 수밖에 없겠죠..)
올빼미
04/01/16 06:41
수정 아이콘
짧은 생각일수도 있겠지만, 카스 방송경기가 자리 잡으려면 생방송보다는 녹화 방송이 날듯하군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만 역시 옵저빙의 문제때문이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60 온라인 사이트 순위 [31] 어쩔줄을몰라5302 04/01/16 5302 0
1157 [펌]허재 바이러스 20년째 기승, `허재불치병` 4인4색 사랑고백 [13] 한빛짱4070 04/01/16 4070 0
1155 요새 테란 상대하는 재미 쏠쏠합니다.... [17] SuoooO3586 04/01/16 3586 0
1149 스타크래프트의 천적 관계 [56] 전유6663 04/01/16 6663 0
1148 [잡답] 어느새.. [2] 주적자3244 04/01/16 3244 0
1147 프로게임의 다양화를 막는 진짜 주범은.?? [19] 청개구리4513 04/01/16 4513 0
1146 [잡담]어느 저그유저 주절주절하다.. [3] 저글링분대장3167 04/01/16 3167 0
1145 [잡담] Trust No One [35] [NC]..SlayerS_NaL-Da3547 04/01/16 3547 0
1144 XellOs..그리고 NaDa.. [23] Love4425 04/01/16 4425 0
1143 안녕하세요. 정태영 입니다. [9] 정태영4634 04/01/16 4634 0
1141 공지사항에 대한 오해를 줄이기 위해 [16] 항즐이4260 04/01/16 4260 0
1140 마우스를 잠시 놓으며 생각하는 저그... [10] CopyLeft3134 04/01/16 3134 0
1138 리플을 달아주셨던 분들께 드리는 반문입니다. [11] xsdenied3137 04/01/16 3137 0
1137 배틀넷에서 저그 하기 싫은 이유 [29] 밤꿀4524 04/01/16 4524 0
1136 아...서지훈선수...부디 그 징크스를 가지시길... [20] EzMura4554 04/01/15 4554 0
1135 보고있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선수 (장 브라더스) 별명공모..;; [18] 찬양자3299 04/01/15 3299 0
1134 For TerranKiller... [23] 만득4070 04/01/15 4070 0
1133 Fly high~ [8] Go_TheMarine2999 04/01/15 2999 0
1132 아시안컵 조편성 확정!!! [17] 원삔3809 04/01/15 3809 0
1131 Yellow, 그를 위한 무대 - 서막 [23] 막군3858 04/01/15 3858 0
1127 MSL리그 최인규선수와 이윤열선수의 모습을 보고.. [20] MayLee4684 04/01/15 4684 0
1124 자유게시판의 딜레마, 안타까움과 소외감. [47] 물빛노을4187 04/01/15 4187 0
1122 게임 습관과 째는 타이밍 [17] homy4270 04/01/15 4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