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5/01/07 19:42:24
Name 임재현
Subject 이번에도 징크스(우승자징크스아님)는 안깨졌나 봅니다.(1경기결과있음)
이윤열 선수가 조형근 선수를 이겼습니다.

이윤열 선수는 8강 확정되면서 최연성 선수는 16강 탈락이군요.

우승자 징크스라고는 하지만 저는 별로 대단하다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최고의 자리에 올랐으니 좀 쉬어도 되겠지요.

하지만 이 징크스는 조금 오싹 하네요..

결승에서 1경기 이기고 우승하면 16강에서 탈락

결승에서 1경기 지고 우승하면 8강에서 탈락.

질렛배에서 박성준 선수는 박정석 선수와의 1경기에서 졌지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그리고 에버배에서는 8강 까지 올라 갔구요.

최연성 선수는 에버결승에서 1경기 이기고 우승했지만 이번리그는 16강 탈락이네요.

그리고 한게임배에서 강민 선수도 마이큐브때 박용욱선수도 1경기 이겨서 우승하고

16강에서 탈락했죠.

올림푸스때 서지훈선수는 1경기에서 지고 우승했고 마이큐브때는8강까지 갔구요.

파나소닉때 이윤열 선수가 3:0으로 이기고 우승했지만 올림푸스16강에서 탈락했구요.

이것만 해도 장난 아니네요.

아시는분이 많이 계시겠지만 깜짝 놀라서 한번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5/01/07 19:45
수정 아이콘
전 최연성 팬이지만.. 역시나 감각적인 타이밍이나 순간적인 판단은.. 이윤열선수가 최연성선수보다는 나은듯 하네요.. 물론 운영이나 방어능력은 최연성선수가 우세라고 봅니다.. 두 선수가 같은팀에있으면 엄청난 시너지가 올듯 하지만.. 프로리그가 망하겠죠 ^^; 두 머씨 형제의 앞날이 기대됩니다 ^^
CoNd.XellOs
05/01/07 19:45
수정 아이콘
저도 최연성 선수는 정말 아닐 거라고 생각했는데 최연성 선수에게도 징크스라는 게 통하는건지. .
저그맨
05/01/07 19:48
수정 아이콘
징크스VS최연성 징크스 승이군요...
정말, 심리적인 요인이 물리적인 요인보다 더욱 강력한 것 같습니다..
DAYDREAM
05/01/07 19:56
수정 아이콘
강민,박성준선수가 우승했을때도 우승자징크스는 피할것이라고 했었죠.그러나 역시 뚜겅은 열려봐야 하는법!; 최연성선수도 예외는 아니군요.
김평수
05/01/07 19:57
수정 아이콘
우승자의 16강-8강-16강탈락 징크스도 계속..-ㅁ-;;
05/01/07 20:00
수정 아이콘
혹시 임요한의 저주, 란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4강 이후에 임요환을 이기면 슬럼프가 찾아온다, 라는.
김동수선수(Sky배),박정석선수(2002Sky배),서지훈선수(올림포스배),이윤열선수(프리미어리그 통합결승),최연성선수(Ever배)
박서야힘내라
05/01/07 20:13
수정 아이콘
↑그만큼 임요환선수가 4강에 많이 올랐다는 하하 팬으로선 기분좋네요
05/01/07 20:17
수정 아이콘
저그유저들 매너리즘에 빠진것 같군요..
가디언은 소수로 페이크를 주면서 히럴로 빠른 체제변환을 이뤘다면
sk테란을 할게 뻔했던 이윤열선수는 당황했을거 같은데..
저그유저들이 하던것만 하는게 아니라 좀더 연구를 하고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METALLICA
05/01/07 20:29
수정 아이콘
레드나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군..
greatGuy
05/01/07 20:43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징크스란 놈이 무섭긴 무섭나봅니다.-_-;;
오늘 이 경기로서 이윤열선수 9연승 공동 1위..
8강에서 저그를 만날 가능성이 높아졌으니 연승기록 기대해봐도 될까요.

최연성선수랑 이윤열선수가 같이 8강 올라가길 바랬는데
참 아쉽네요..
적어도 스토브리그 끝날때까진 최연성 선수의 개인리그는 못보겠군요.
흠..
05/01/07 21:21
수정 아이콘
이윤열선수 8강진출만 몇연속인지 알고 싶네요
정말 대단합니다
바카스
05/01/07 22:36
수정 아이콘
OSL징크스를 볼 때마다 느끼는 점.

임요환 선수 정말 대단합니다.
아케미
05/01/07 22:59
수정 아이콘
SEIJI님//이윤열 선수의 OSL 8강 진출은 4연속입니다. ^^
이래저래 대단하군요. 징크스가 왜 징크스인지… 최연성 선수만은 예외일 줄 알았는데요. 허허.
그냥:-)
05/01/08 01:28
수정 아이콘
징크스 VS 싱크, 리치, 나다, 제로스, 킹덤, 날라, 줄라이, 우브 .............. 징크스 승
05/01/08 01:54
수정 아이콘
징크스에게 이긴 임요환 선수가 대단해 보이는군요-_- 저는 강민선수나 박성준선수조차 징크스에 걸릴것이라 예상했지만, 최연성선수는 징크스와는 너무 거리가 멀어 보였기에.....최연성선수 팬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8강까지는 갈줄 알았습니다; 16강탈락이라니...징크스가 무섭긴 무섭네요.
황제의 재림
05/01/08 19:31
수정 아이콘
윤열선수도 이번에 8강탈락이라는 징크스에 또다시 직면하는군요 근데 대진표로 D조2위랑 붙나요?
빛의강림
05/01/08 20:24
수정 아이콘
임요환의 저주..라고 하는건 너무 과도한 의미부여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11 [잡담2] 일본에 관련한 저의 의견입니다. [20] Metal mania3405 05/01/10 3405 0
10210 스겔 YG클랜 PGR21 <체험기> [17] 저그맨4084 05/01/10 4084 0
10209 @@ 2004년 스타크래프트 게임내 최고 히트유닛은 ... [34] 메딕아빠4603 05/01/10 4603 0
10208 xx빠, xx까 -의 판단에 대해서 한 말씀 드립니다. [1] 소년3736 05/01/10 3736 0
10207 [잡담]mp3 관련 잡담 및... 개인적인 의견.. [14] Metal mania4003 05/01/10 4003 0
10205 하루에 한번씩 읽는 시! (6) 빛 [3] 컨트롤황제나3694 05/01/10 3694 0
10203 Rekrul.. [22] 범생토스3881 05/01/10 3881 0
10201 충성~!!! [18] 최연성같은플3411 05/01/10 3411 0
10198 흑백논리의 오류.. [19] [couple]-bada4191 05/01/10 4191 0
10196 또 한번의 답답한 끄적거림..... [6] 無一物(무일물)3915 05/01/10 3915 0
10195 [연재] 빙의(憑依) : 귀신들림(2) - Memory of 2004 [6] IntiFadA4011 05/01/10 4011 0
10194 [연재] 빙의(憑依) : 귀신들림(1) - prologue [6] IntiFadA4266 05/01/10 4266 0
10193 내 마음속의 임진록.. [23] 반전4024 05/01/10 4024 0
10192 [펌] 이승환에 관한 글 [35] SEIJI5671 05/01/10 5671 0
10191 몇가지 잡담... [9] 총알이 모자라.3965 05/01/10 3965 0
10189 컨스피러시 [2] 프렐루드3964 05/01/10 3964 0
10188 35-24-35님께 쓴소리와 다른삶... [19] DR.jekyll3245 05/01/10 3245 0
10187 음원법률제정 논란에 대해서.. [26] 라임O렌G3709 05/01/10 3709 0
10185 플러스팀..이제 빛을 바라는 건가? [7] 울랄라~4036 05/01/10 4036 0
10184 야밤에 명경기 추천~ [13] Ace of Base4255 05/01/10 4255 0
10182 봄날 [14] firstwheel3267 05/01/09 3267 0
10180 너무 답답한마음에... 한마디 남깁니다..... 너무 힘드네요.... [39] 無一物(무일물)4627 05/01/09 4627 0
10179 모든 것을 잃어버린 게르만, 오스트리아 [9] minyuhee4164 05/01/09 416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