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4/01/27 00:16:55
Name nting
Subject To. MBCgame
요즘은 MSL이 양대 메이저리그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최근 네티즌들의 평가들도 어느정도 이제는 MSL이 OSL과 동등한 위치에 있다는 것입니다.

때로는 MSL이 OSL보다 괜찮다는 분들도 몇 볼 수 있었구요.

하지만, 예전부터 그랬듯 MBC game은 다소 서투른 운영이 있는 듯 합니다.

차례 차례 열거하고 지적해 보도록 하죠.


1. 스타 방송에만 치중.

다음은 1월 18일부터 1월 24일까지의 스타방송을 몇시간 하는지에 대한 조사결과입니다.

MBC game 홈페이지(www.mbcgame.co.kr)안의 편성표대로 계산을 했습니다.

1월 18일 17시간 35분
1월 19일 15시간 20분
1월 20일 19시간 30분
1월 21일 17시간
1월 22일 13시간 30분
1월 23일 13시간 55분
1월 24일 13시간 30분

이와 같이 일주일동안 모든 날에 12시간 이상의 스타관련 프로그램을 방송합니다.

그리고 또한 스타관련 방송들은 대게 Prime Time에 편성 되어 있으므로

다른 방송들은 제대로 방송되지도 못하고 사라집니다.

이러한 편성은 엠겜은 "스타 방송" 이라는 오명을 받기에 충분한 편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스타가 시청률이 잘 나오므로 스타를 방송하는 것도 있겠지만,

무분별한 재방송을 하기 보다는

다른 프로그램들의 재방송, 게임 중계의 폭을 넓혔으면 좋겠습니다.

*워크래프트 재방송이 턱 없이 부족한 것도 의아합니다.


2. 홈페이지 컨텐츠의 부실

우선 엠겜의 VOD 서비스를 들고 싶습니다.

엠겜의 VOD는 온게임넷과는 다르게 "모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화질도 뭉쳐져 보이게 되고, 뚜렷하지 않으며,

색깔이 비슷한 경우에는 아예 구별이 안 됩니다.

그에 반하여 온게임넷은 "스테레오"를 사용해서 뚜렷한 화질을 보여줍니다.

분명 엠겜도 인티즌으로 서버를 옮기면서 고질적인 VOD 끊김을 제거했지만,

아직까지 화질 부문에서는 온게임넷에는 못 미칩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대진표 상황등이 말끔하게 공지되어 있지 않다는 점입니다.

온게임넷 홈페이지 게시판은 별 볼일 없는 곳이지만,

홈페이지 컨텐츠, 경기 결과들은 업로드가 잘 되기로 유명합니다.

깔끔하게 표를 이용한 결과목록들은 결과에 대한 정보를 빨리 얻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

그러나 엠겜 홈페이지의 대진표는 엑셀 파일을 그대로 캡쳐해서

옮겨 놓은 것과 별반 다를바 없어 보입니다.

결과들은 i_terran님께서 꾸준한 업데이트로 명장면과 함께 제공합니다만,

대진표에 대한 업데이트는 꼭 필요할 듯 합니다.


3. 규정의 미흡함, 데이터 표출의 부실

위의 사항은 MW에는 적용 되지 않음을 미리 밝힙니다.

우선 엠겜은 그 선수의 전적에 대한 데이터를

이승원 해설이 중간에 이야기 하는 식으로 정리를 합니다.

이는 온게임넷의 전적을 비주얼로 표시하는 것보다 능률상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으며,

이승원 해설도 아직까지 전적에 비중을 두는 해설을 하지는 않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제가 느낀 점입니다.

거기에다가 규정의 미흡함은 아직도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예전에 얼라이 마인등으로 몇번 시비가 있었던 엠겜인데도 불구하고,

선수들에게는 공지가 되었겠지만,

홈페이지에 명확한 규정 하나 공지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한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스타리그는 프로그램이기에 앞서서 대회라고 봅니다.

제대로 된 규정이 공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4. 맵에 대한 사항

엠겜의 스타리그에 쓰이는 맵은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길게 오랜기간 쓰이는 맵과, 한 두 시즌 사용되고 폐기되는 맵

이렇게 2가지가 쓰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개선되고 있는 것 같지만, 아직까지 엠겜과 관련된 예선은

JR, PTH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래 쓰여서 선수들에게 최적화된 경기를 유도하는 엠겜의 의도는 알겠습니다만,

그런 맵에서는 전략적인 여지가 적으며,

사용되면서 확실한 빌드가 개발되어 밸런스가 깨져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ex) JR에서 이윤열 선수의 vs P 빌드(4벌처 본진 드랍->4탱크 앞마당 드랍)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엠겜의 맵에 대한 선택은 더 신중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채정용씨가 만든 맵을 엠겜이 임의로 수정하는 것은

맵메이커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엔터더드래군 2004는 엉성한 맵 구성으로 많은 이들의 우스갯거리가 되고 있으며,

루나또한 마음대로 타일셋을 변경한 것에 대해 많은 이들이 의아해 하고 있습니다.

한번 맵 메이커에게 맡겼으면 그 분에게 많은 것을 맡기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점에서만큼은 온게임넷을 보고 배우셨으면 하는 따끔한 충고입니다.


정리.

지금까지는 엠겜의 나쁜 모습만 들춰냈습니다.

한 사람의 엠겜 실시간 방송 시청자로써, 이렇게 비판을 하고 있는 이유는

엠겜의 발전을 위해서라는 것 엠겜 스태프 분들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엠겜도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메이저리그의 예고 스틸 컷은 이미 MSL 고유의 재미가 되었습니다.

또한, 모든 캐스터와 해설진들도 적당한 만-_-담과

상황 상황을 정확히 짚어내는 해설로 우리들이 찬사를 보낼 수 밖에 없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들은 조금 더 부각시키고, 가지고 있는 단점은

차근차근 보완해서 게임 시장의 파이를 조금 더 늘릴 수 있는 MBCgame이 되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_)

사족 : 편성표는 박아제님께서 MW게시판에 올린 것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계산 실수인가..-_-)

사족 2 : 제가 잘못 알고 있는 것이 있다면 태클 해주시기 바랍니다.

사족 3 : 요즘 언어영역을 공부중인데, 고전문학이 아주 힘들더라구요.

사족 4 : 이 '사족' 놀이 참 재밌네요..^-^

사족 5 : 이제는 음력으로도 새해가 시작 되었습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이루고 싶은 것들 다아~ 이루어지길 바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4/01/27 00:21
수정 아이콘
저기 위 글하곤 상관없지만 MW가 뭔지 궁금하네요-_;
김평수
04/01/27 00:23
수정 아이콘
정말 공감가는 글입니다. 특히 1번요. 프라임리그와 CTB3, 재방송 편성도 랜덤이라죠. 이상한 온라인게임 중계재방송은 맨날 하면서 명승부의 산실인 엠겜 워3 프라임리그와 CTB에는 왜이리 무관심한지 모르겠습니다.
04/01/27 00:23
수정 아이콘
TheRune// MbcWarcraft의 준말입니다.^^
나이토스
04/01/27 00:23
수정 아이콘
mbc게임은 tv로 봐도 뭔가 허전함 느낌이 자꾸 드는데... 무엇이 허전한지........
무조건폭풍
04/01/27 00:24
수정 아이콘
엠비씨워크래프트 아닌가요?
김연우
04/01/27 00: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모노, 스테레오가 왜 화질여 연결 되는지. 모노,스테레오는 음향이 단방인가, 양방향인가 아닌가요?;;;
04/01/27 00:27
수정 아이콘
아, 모노, 스테레오는 제가 착각 한 것이었군요..-_-;;
그런데 화질은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Madjulia
04/01/27 00:27
수정 아이콘
저도 경기데이터의 관리면에서 온게임넷의 체계적인 엄재경해설(비교드리는건 죄송스럽지만 마땅한 비교대상도 없습니다-_-)에 비해 전적관리같은 면에서도 조금 떨어지는 느낌을 많이받았습니다. 이승원 해설께서 전담하시는것같은데 조금 더 노력하셔서 좋은 모습 보여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히리비디
04/01/27 00:38
수정 아이콘
간판이랄 수 있는 스타크 리그의 재미 자체는 osl에 전혀 뒤지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요즘은 오히려 msl에 더 관심이 갈 때도 많구요. 임성춘 해설위원이 들어오면서 각각의 해설진 라인이 탄탄해진 것이 크다고 보고, 처음엔 복잡하게 느껴지던 더블 엘리 방식도 이제는 감이 팍 오구요..^_^ 다만 방송 편성과 홈페이지 관련 부분은 조금만 더 신경을 써주셨으면 해요. 특히 워크 프라임리그 같은 경우는 좀 편성 시간대를 바꿨으면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정말 재미있는데, 시간대가 osl과 겹치다보니 제대로 보기가 좀 힘들었어요. 덧붙여 개인적으로 저는 스타리그 외에 다른 게임 관련 방송도 많이 보는 편인데, 엠겜에서도 그런 점을 좀 더 신경써주셨으면 하네요. 스타 관련 방송이 많다는 것 자체는 문제될 게 없다고 보지만 그 외의 프로그램들은 솔직히 아직까지는 온겜 방송들에 더 관심이 많이 가더라구요(씨유배넷이나 생방송 pc 방, 플레이 투게더 같은..) 아무튼 엠겜 리그의 발전에 정말 많이 놀라고 있고, 앞으로 더욱 놀라운 프로그램들을 많이 보여주셨으면 해요..^_^
04/01/27 00:57
수정 아이콘
전 MBC게임이 최근들어 재밌어 지더군요. 솔직히 스타방송이 많긴하지만 최근 최-임 콤비만담에 푸욱 빠져버렸습니다. 앞으로 더좋은 방송 부탁드려요~
오크히어로(변
04/01/27 01:05
수정 아이콘
msl과 osl에서는 서로 비등비등하거나 조금 osl이 나은 평가를 받지만
팀리그(프로리그)에서는 개인적으로 엠비시의 그것이 조금 났다고 생각
됩니다. 올킬의 묘미란 후후
04/01/27 01:27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인 생각으론 OSL,OWL,MSL,MWL의 각종 개인리그 & 팀리그를 통틀어..가장 전체 방송의 구성, 맵의 구성, 해설진의 구성, 데이터 정리등이 가장 뛰어난 방송은 MWL 즉, MBCgame Prime League라고 생각됩니다. 전적관리나 선수 정보관리 혹은 대진관리등의 경기 외적인 데이터 관리도 철저하면서, 경기도중에 재미있는 전적등을 알려주는 방식도 좋고, 그날의 빅매치를 Prime Match로 설정하는 방식과, 프라임 매치의 승자와의 인터뷰 등등..그리고 이현주,김동준,장재영의 탄탄하고 호흡이 좋은 해설진까지..거의 완벽!한 방송이라고 할 수 있지요. 엠겜은 이런 프라임 리그의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스타리그 이상으로 발전시켜주었으면 하는데..역시 한쪽으로의 치우침은..아직은 인지도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겠죠. 온게임넷 워3리그의 경우는 아무래도 래더맵을 그대로 쓰는 것이 밸런스 문제로 여겨지는 부분이나. 스타리그와 별로 다를바 없는 특색이 떨어지는 진행방식이..조금 많이 아쉽지만, 워3리그도 많이 발전해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워3쪽의 팀리그는 역시 전통의 엠겜의 CTB에 관심이 더 모아지는 것은 클래식 시절부터 워3를 봐온 이들의 로망이겠지만(^^;;), 팀플의 묘미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온겜의 프로리그도 상당히 흥미롭다는 측면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온겜의 워3 프로리그는 조금은 스타 프로리그와의 차별화가 떨어진다는 점에선 아쉬움이 있지요.
스타리그는 양방송사 모두 좋다고 생각합니다. 온겜의 조별 풀리그의 노동환 방식도 좋고, 복수를 위해 칼을 간다는 취지에 맞게..재미와 흥미, 그리고 긴장감을 주는 엠겜의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도 좋습니다. 팀플의 묘미를 느낄 수 있는 온겜의 프로리그도 좋고, 올킬의 희열(?)을 느낄 수 있는 엠겜의 팀리그도 좋습니다. 다만 엠겜에 아쉬운 점은 좀더 맵의 선정이나 밸런스 부분에의 관심을 기울여주었으면 하는 것이고. 온겜에 아쉬운 점은 조금은 식상해져서 흥미가 떨어질 수 있게 만들어 버리는 프로리그에서의 종족전에의 문제의 해법과 역시 맵 밸런스 부분에의 보완을 이루어 주셨으면 한다는 점입니다.
양대리그 모두 아직은 커가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은 워3와 스타 두가지 게임리그에 대해 이야기 하지만, 좀더 더 많은 게임리그와 함께 이제는 각각의 리그들의 개성을 찾아가기 위해 노력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몇년전 커프와 피파리그가 성행하고 쥬라기 원시전과 아트록스등의 국산 게임 리그가 성행하던..그 시절보다 오히려 점점 더 한두 게임리그로의 집중 현상이 과도화 되어가는 현상은 각종 게임리그를 두루 즐겨보는 팬으로써 조금 많이 안타까울 뿐이네요.(글은 긴데..내용은 두서없군요..죄송합니다.ㅠ_ㅜ)
초보 토스
04/01/27 01:43
수정 아이콘
저도 엠겜을 주로 (이거밖에 보지 못하는 현재 상황..ㅠ.ㅠ) 시청하고 있습니다. 온겜은 무료 vod를 보구요..
엠겜은 지적2 번의 홈페이지의 컨테츠 구성과 업데이트에 좀더 충실했으면 합니다. 대진표와 경기 일정등 을 보기 위해서 '대진표'라는 페이지를 봤을 때는 실망이 큽니다. 그런면에서는 온겜이 더 좋죠.
그리고 vod의 화질을 애기하자면, 전 엠겜이 좀더 좋다고 애기 하고 싶습니다. 저만 그런지 몰라도 다른 분들도 온겜의 vod(무료)는 화질이 떨어지며, 끊김 현상 그리고 편집 과정에서의 실수가 너무 많이 보입니다. 반면 엠겜은 끊김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 할 정도이고 음향의 모노와 스테레오의 차이점은 별반 차이 없다고 봐도 좋을 것입니다.
마지막 전적에 대한 데이터의 부족은 엠겜도 많이 준비 해야겠군요
이제 온겜과 함께 스타리그의 양대 산맥으로 대두되는 엠겜은 좀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네여 앞으로 많은 발전이 있길 바랍니다.
mooth2000
04/01/27 02:07
수정 아이콘
MbcWarcraft 스탭분들은 방송에 열정이 묻어난달까요. 여러가지 새로운 시도도 하고 계시고, 자체적인 홈페이지도 운영하고 계시죠. 그런데 피파리그보다 시청률이 떨어져서 재방송 배당이 적다고 합니다.(요즘 클럽챔피언쉽도 재밌게 보고있습니다만^^) 시청률이 떨어지는 건 상대적으로 금요일 7시에 OSL때문이 아닌가 하는데요.(전 응원하는 선수에따라 한방송은 재방으로 봅니다-_-) MW Prime리그를 토요일 7시나 다른 날자로 옮겼으면 좋겠습니다.(토,일 연속으로 하면 스탭분들 주말을 완전히 뺏는게 돼지만-_-;;)
MW는 엠겜의 지원에 비해 자신만의 색깔을 확실히 내고 있는 만큼 더 키워볼만한 리그라고 생각됩니다.(당장 PL4 스폰서도 걱정이군요;;)
04/01/27 02:12
수정 아이콘
Prime리그 최고죠..정말
이현주님이 하시는말씀 "꿈과 감동을 플레이 합니다"
정말 프라임리그에 딱 어울리는말..같아요
hansnova
04/01/27 02:28
수정 아이콘
엠겜이 스타에 너무 치중한다는 생각은 했지만 막상 시간으로 보니까 당황스럽군요 -_- 월화수목은 평균이 17시간이 넘네요 -_-;; MBCStarcraft방송이 아니라 MBCGame방송인 이상 좀더 보완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드네요 ;; 한주 일당 평균 13~14시간정도면 적당한듯..
뭐 하기사 저도 스타관련방송밖엔 안보긴하지만 -_-
04/01/27 02:44
수정 아이콘
정말 MW의 금요일 배정은.. .. 최고의 시청률(아마도)을 자랑하는 OSL스타리그와 동시간대에 해서.. 정말 MW자체사이트도 즐겁게 볼것도 많은데 참으로 아쉽네요. 상대적으로 볼것이 없어 심심한 수요일날 방송되면 정말 좋을텐데..
이노시톨
04/01/27 03:41
수정 아이콘
저는 MSL 마이너리그 방식좀 바꿨으면 합니다. 몰입이 잘안돼는 것 같아서..3명중에 2명선출해서 16강뽑는 것좀 꼭 바꿔줬으면 합니다..좀 더 간단 명료하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04/01/27 07:59
수정 아이콘
저는 특히나 대진표 업데이트 좀 빨리 했으면 좋겠더군요..
어떤 경우에는 경기가 있은후 거의 2주가 가까이 되어서 대진표를 업데이트 하더군요.. mbc게임은 홈페이지 운영에 좀 더 신경을 쓰면 좋을듯 합니다. 해설진은 김철민-김동준-이승원 라인을 온게임넷 보다 더 좋아합니다.
04/01/27 08:44
수정 아이콘
저도 msl 마이너리그 방식을 잘 모르겠네요. 너무 복잡해요. 어떻게 되가고 있는지도 모르겠고, 그냥 채널 돌려봐서 오늘은 어떤 선수가 나오나 확인만 하죠. 메이저나 마이너나 엠비씨겜은 너무 바뀌는게 많아서 체계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윗분 말씀대로 몰입이 안돼요.-_-;;
04/01/27 09:43
수정 아이콘
초보토스// 무료 VOD 라서 그럽니다 ^^;
new[lovestory]
04/01/27 10:13
수정 아이콘
저는 이번 명절 연휴중 엠겜과 온겜을 열심히 시청했는데 엠겜 못지않게 온겜도 같은 방송을 쭉 하더군요...근데 저는 온겜은 19일날 녹화한 16강 재경기를 얼마나 볼려고 노력을 했는데도 1부는 계속 틀어주고 방송당일인 22일에도 12시 넘어서도 2부를 안하더라는........자세히 보면 두 방송사 모두 비슷비슷한 그런 상태였습니다......스타중계도 들어보면 훨 유용한 정보와 내용면에서 충실한 해설이 엠겜에 더 많다는것이 제 생각입니다....선발 주자와 후발 주자의 차이의 간격이 점점 없어 진다는 생각이 지배적입니다......어쨋든 두방송사 모두 더 많은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길 기대해봅니다..
04/01/27 10:40
수정 아이콘
CTB화요일 아침9시재방송, 프라임리그 목요일아침11시경 재방송..당일 재방송이외에 딱한번뿐인거 같네요..
대한민국청년
04/01/27 12:14
수정 아이콘
최-임 만담콤비뿐만아니라 이승원님과 김동준님의 정확하고 맥을 짚어주는 해설도 압권이죠~!!
언덕저글링
04/01/27 16:18
수정 아이콘
저도 엠비씨게임을 좋아하는 시청자로서 건의를 하나 한다면, 메이저리그 선수들과 마이너리그 선수들의 메이저 진출전은 그냥 진출전이라는 이름으로 하지 말고, 온게임넷의 듀얼토너먼트처럼 좀 색다르게 진행했으면 좋겠습니다. 마이너인지 진출전인지 헛갈리기도 하거니와, 좀 복잡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리고 메이저와 마이너의 인터페이스등도 다르게 하여 메이저를 좀 더 부곽되게 하는 것이 더 좋을 듯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634 [기타] [스타1] 마지막 4강을 추억하며 [18] 삼공파일8145 13/10/29 8145 0
52633 [LOL] 내가 롤 중독이라고? 일상이 롤인걸 어쩌겠어 [8] 정유미9944 13/10/29 9944 3
52632 [하스스톤] 활용가능성이 많은 공용 하수인들 [18] Siriuslee10991 13/10/29 10991 1
52631 [LOL] SKT T1 #1. 최고의 탑솔과 함께하는 그들의 권토중래는 성공할까? [55] 다솜14177 13/10/29 14177 7
52630 [기타] 배틀필드4 리뷰 [23] 저퀴7183 13/10/29 7183 0
52629 [도타2] 초보의 캐릭공략(1) 폭풍령. [13] 세이젤9968 13/10/29 9968 0
52628 [하스스톤] 마스터리그에서 통하는 무과금 성기사덱 [21] 그시기12832 13/10/29 12832 0
52627 [하스스톤] 왜 대회/상위권에선 사제가 안통할까? [30] Leeka12064 13/10/29 12064 0
52626 [LOL] WE 의 Misaya가 말하는 시즌 4 변화 [72] 마빠이12577 13/10/29 12577 0
52625 [기타] [우영전] 우주영웅전 v1.4.0 대규모 패치 정리, 리뷰 , 유저리스트 추가 [26] 내일8346 13/10/29 8346 0
52624 [기타] [배틀필드4] 배틀팩을 써봤습니다. [14] 저퀴10882 13/10/28 10882 0
52623 [하스스톤] 꿀은 돌고 도는겁니다. 개풀덱 카운터 주술사댁 소개 - 동영상 추가 [23] 바이11155 13/10/28 11155 1
52622 [스타2] 2013년 10월 넷째주 WP 랭킹 (2013.10.27 기준) - 새로운 프로토스 No.1!! [13] Davi4ever8309 13/10/28 8309 0
52621 [하스스톤] 마스터리그에서 통하는 성기사덱과 사냥꾼덱을 소개합니다. [5] KMS9831 13/10/28 9831 0
52620 [하스스톤] 10월 한달간, 하스스톤 대회 결과 [10] Leeka9535 13/10/28 9535 0
52618 [기타] 국내에서 LOL과 DOTA2가 대립할 동안 태국에서 KOF 온라인이 나왔습니다. [34] ThisisZero15076 13/10/28 15076 2
52616 [스타2] WCS 시즌3 파이널 소감 [21] 저퀴7713 13/10/28 7713 0
52615 [하스스톤] 하스스톤 여러가지 짜투리 팁들 #11 [13] Leeka9010 13/10/28 9010 0
52614 [하스스톤] 도적이라면 한방이죠! 미라클로그덱 [10] 레삐11654 13/10/28 11654 0
52613 [하스스톤] 마음이 편해진거같아요. [16] 루키즈7662 13/10/28 7662 0
52612 [하스스톤] 클로즈 베타 직업 밸런스. 뜨거운 카드들 [58] 미움의제국10159 13/10/27 10159 0
52610 [하스스톤] 직업별 10렙까지 얻는 카드 정리 [17] 정용현16406 13/10/27 16406 0
52609 [도타2] 도타를 처음하는 유저를 위한 상점가이드. + 깨알팁 [21] 하카세18565 13/10/27 1856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