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9/22 13:53:35
Name 공룡
Subject 내 리플을 보면서 분석한 진정한 하수의 모습.
  예전 피지알 게시판에 자행되었던(-_-) 제 경기에 대한 매트랩님의 리뷰가 가슴에 와 닿아(사실 뼈에 사무쳐서) 정말 오랜만에 제가 경기한 리플을 살펴보았습니다. 제 딴에는 꽤 잘 했다고 생각하는 플레이에 대해 정말 오랜만에 직접 칼을 대보기로 한 것이지요. 결과는...... 역시나 전 하수더군요.-_-;
  놀라운 것은 매트랩님의 하수에 관련된 이야기는 물론, 제가 평소 생각하는 하수가 갖출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갖추고 있다는 것입니다.(pgr 하수랭킹 공식 2위 이거 쉽게 따지는 거 아닙니다-_-)

  먼저 제 여러 리플들을 통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1. 초반진행 : 이건 정말 프로들 못지 않습니다. 미네랄에 일꾼들도 제법 잘 보내고(예전에는 일렬로 그냥 한 미네랄 찍고 신경 껐더랬습니다.) 빌드타임에 맞게 파일론도 짓고 정찰도 잘 찍어줍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정말 웬만한 준프로 뺨치고 어르는 수준이며, 사실 요즘 대부분의 유저들은 여기까지는 다 하는 수준이라 특별할 것도 없습니다.

  2. 정찰미스 : 로템...... 1대1의 대부분을 하는 맵입니다. 정말 많은 게임을 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가끔씩 정찰미스를 합니다. 저 어제도 두 번 그랬습니다.(어제 총 세 게임 했습니다.-_-) 프로브가 정찰을 제대로 못해서 간 곳 또 가는 건 양호합니다. 보면 12시 나무들 우거진 갈림길 구석에 박혀있곤 합니다. 나무에 가리면 이놈이 어디 갔나 작은 맵 살펴봐야 합니다.-_-; 그렇게 하다보면 테란의 경우는 입구 막혀있는 경우가 많지요. 사실 들어가서 봐봐야 뭐 알지도 못하지만 그래도 정찰 못하면 정말 손해보는 기분입니다.

  3. 정찰 성공시 : 어디서 보긴 봤다고 건물 짓거나 건물 소환하는 일꾼들 방해공작을 벌입니다. 물론 그리 신통치는 않습니다. 요즘 건물 짓는 테란의 scv 잡기 하늘의 별따기입니다. 얼마 못 가서 일꾼들에 쫓겨 이리저리 도망다니곤 합니다. 그러다 일꾼이 잡히게 되고...... 허탈한 마음에 문뜩 제 본진을 보면 아무것도 지어진 것이 없습니다. 미네랄 600에서 800 쌓여있습니다. 달랑 게이트 하나 있는 거 질럿 한기도 뽑지 않았습니다. 당황합니다. 한꺼번에 건물 올리고 멀티도 합니다. 노게이트 더블넥이나 진배 없습니다. 어쩌면 정찰이 안 되는 것이 제게는 이익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곤 합니다. -_-;

  4. 테란상대 원게잇, 저그 상대 투게잇 : 항상 그렇게 합니다. 정해져 있습니다. 왜 그렇게 하냐구요? 일반 게임 중계에서 플토 선수들이 대부분 그렇게 하니까 그냥 따라합니다. 사실 테란 상대로도 투게잇 짓고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그 상대로 원게잇은 꿈에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저 컨트롤 못합니다. 질럿 동수(가림토 선수 아닙니다) 싸움에서 이긴 적도 거의 없고, 며칠 전에는 Z 님과의 저그전에서 입구에 멀쩡한 질럿 대여섯 기 있었음에도 홀드 잘못해서 입구 뚫려 망한 적도 있습니다.-_-; 그저 초반 든든히 시작해야 합니다. 컨트롤 못하면 양으로 밀어 붙어야죠.^^

  5. 투게잇의 비밀 : 초반 투게잇으로 시작하는 저이지만 그것이 중반까지 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심지어 멀티가 세 개까지 늘어나도 여전히 게이트는 둘입니다. 특히나 형세가 불리할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정신 없어서 짓지 못합니다. 게이트나 포지의 업그레이드는 확실한 승기를 잡아 여유가 있을 때나 해주는 겁니다. 따라서 보통은 노업그레이드 2게이트로 끝난 게임들이 상당합니다. 그나마 가끔 게이트가 쉬고 있을 때도 많습니다. 되지도 않는 컨트롤 해준다고 잠시 한눈 팔다 보면 게이트 혼자 잘 놀고 있습니다. 돈 남을 때는 그냥 서너 개씩 예약해놓을 때도 있지요. 물론 노력을 한 덕에 요즘은 많이 나아져서 3게이트 돌릴 때도 있습니다. 여전히 돈은 남습니다. 멀티에 막 투자해도 남습니다. 초반 800.... 중반 이후 4,5천..... 팀플에서 멀티도 안 하는데 돈 남는 플레이하는 사람도 저 뿐일 겁니다. 전 부자플토입니다 -_-;

  6. 컨트롤, 멀티, 병력, 돈 : 초반 병력 컨트롤을 해주면 돈이 남아돕니다. 남는 돈을 쓰려고 멀티를 하고 건물을 지으면 중앙에서 놀고 있던 제 병력이 어느새 사라져 있습니다. 막상 정신 없이 건물 짓고 나면 돈이 없어서 병력을 못뽑습니다. 그렇게 고생하다 겨우 구색이 맞춰졌다 싶은데 왜인지 병력이 안나옵니다. 그제서야 정신 없이 들려오는 소리와 메시지가 눈에 보이기 시작합니다. 파일론이 부족하답니다. 파일론 한꺼번에 서너 개 주욱 짓습니다. 그리고 조금 전의 일의 반복입니다. 게임이 끝날 때마다 프로게이머들이 존경스러워집니다.

  7. 저한테 메시지 보내지 마세요! : 처음 gg yo~ gl. 등은 눈에 들어옵니다. 하지만 프로브 수가 8기를 넘어가면서부터 제겐 소리도, 메시지도 들리지 않습니다. 오로지 유일하게 들리는 것은 공격받고 있다는 소리...... 아무런 정신이 없는데 뭐라고 뭐라고 채팅메시지 보내면 환장합니다. 심지어 이기는 상황에서도 상대가 gg 치고 나가는 것도 못 볼 때도 있습니다. 눈치 빠른 분은 제가 무슨 말하려는지 아실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저 팀플 못합니다.ㅠ.ㅠ 정말 못합니다. 우리편 메시지 다 10어서 맨날 구박 당하곤 했지요. 1대1을 하든, 팀플을 하든 전 항상 혼자 합니다. 부끄러운 말이지만 가끔 원조 오는 우리편에게 강제 어택을 할 때도 있었습니다.

  8. 항상 달라지는 파일론 위치 : 프로게이머들은 로템의 각 위치별로 건물 짓는 방식이 다 다르고 파일론 하나에도 신경을 쓴다지만 전 더욱 신경을 씁니다. 항상 만드는 위치가 다릅니다. 건물 심시티도 한 번도 같은 것을 한 적이 없습니다. 제가 가진 제 리플 중에(사실 리플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지는 리플은 과감히 저장 안하니까요. 이긴 리플만 저장합니다 -_-;) 빌드가 같은 것이 하나도 없더군요. 모르겠습니다. 리플로 저장 안한 것 중에는 어쩌면 같은 적도 있었을지도... 사실 게임 하는 동안 정신이 없어서 건물을 어디에 어떻게 지었는지 기억도 안납니다. 그냥 파일론이 있는 근처에 막 짓습니다.

  9. 러시 타이밍 : 결코 잡지 못합니다. 다른 사람 옵저버를 할 때나 리플을 보면서, 혹은 프로게이머 경기를 보면서 밤 놔야 한다 배 놔야 한다 잘난 척 하며 관전을 하지만 막상 자신에게 닥치면 그런 건 불가능한 일입니다. 저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언제 적이 들이닥칠지 모른다는 생각에 감히 나가지 못합니다. 충분히 상대를 이길 수 있을 만큼 병력이 모였을 때 나가자고 생각할 때는 테란은 우주방어가 된 상태에서 제 3멀티까지 먹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저그의 경우에는 전 맵에 크립이 깔려 있습니다. 어쩌다 운이 좋아서 상대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고 해도 그것이 치명적인지를 간파하지 못하고 수세적으로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역전패...... 정말 많이 당합니다-_-;


10. 내가 뽑은 유닛과 숨박꼭질 : 가장 적은 유닛을 컨트롤 하는 프로토스임에도 이놈의 유닛들을 제대로 관리를 해본 적이 없습니다. 셔틀 뽑아서 어디 한번 드랍 갔다가 본진 근처에 놔두면 도저히 찾지를 못합니다. 어쩔 수 없이 셔틀 한대 더 뽑는 경우도 있고...... 가끔 경기 끝날 때쯤에 아둔 근처에 모여있는 셔틀 서너 기를 발견할 때도 있습니다.-_-; 그리고 왜 중요한 순간에는 옵저버가 보이지 않는 것일까요?-_- 본진에 들어온 벌쳐 잡으려고 옵저버 찾으면 절대 안보입니다. 제게는 정말 희귀한 일인 엘리전의 양상에서 멀쩡한 캐리어 한 대가 살아남아 있는데도 그걸 발견하지 못해 gg를 치려던 때도 있었구요.(그 덩치 큰 캐리어를....-_-)

11. 프로게이머의 빌드를 따라하라 : 엊그제 박정석 선수가 사업 드라군으로 파워 있게 홍진호 선수를 밀어붙이는 장면을 보셨을 것입니다. 들은 말인데 저희 동호회 사람이 배넷 들어가서 게임을 해보니 누가 똑같은 빌드를 쓰더랍니다. 아마 많이들 쓸 겁니다. 저도 그러니까요. 문제는 중계화면과 선수들이 보는 화면은 다르다는 것입니다. 초반 전투가 진행되기 전까지는 비슷하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게임화면에서는 중반 이후로는 전투장면을 주로 보여주지 건물 짓는 모습이나 유닛 뽑는 모습을 잘 보여주지 않습니다. 여기서 혼란이 옵니다. 처음에는 그 빌드와 비슷하게 합니다. 그런데 그 다음엔? 멋지게 패스트 다템드랍을 성공시켰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에는 어떻게 했더라? 기억이 나지 않아 줄창 다템만 뽑다가 졌습니다. "에이, 이 빌드 별로잖아!" 다시 안씁니다 -_-; 그렇다고 자신의 고유빌드가 따로 있는 게 아닙니다. 게임중계가 하수를 잡습니다. 프로게이머들의 기발한 빌드 멋있습니까? 그거 하수한테는 독약입니다 -_-;




  그래도 하수인 것이 편할 때도 있습니다. 지면 좀 속상하기도 하지만 이기면 더 미안해지기도 하니까요. 하수는 지는 것에 익숙합니다. 그러하기에 상대에게 승리의 기쁨을 주면서도 게임은 게임대로 즐길 수가 있지요. 어쩌면 하수야말로 상대를 배려하고 게임을 즐길 줄 아는 진정한 게이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괴변이라구요? 뭐 어떻습니까? 좋은 게 좋은 거 아닐까요? ^^


======================


ps : 그러나 저 어제 3연승 했습니다. 물론 하수랭커들과의 경기였고, 약간은 하수랭킹 2위라는 제 명함에 상대가 방심한 감도 없지 않지만 어쨌든 제 생애 최초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감동적입니다. 하수 여러분! 힘을 냅시다! -_-;

추석이 다 갔군요. 다들 송편 많이 드셨는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사랑HJ
02/09/22 14:05
수정 아이콘
GooD LucK! 건승하시길..
02/09/22 14:17
수정 아이콘
정말 공감가는 글입니당^^ 특히 7번!
저한테 메시지 보내면 나름대로 해석하는데 ... 그리고 그에대한 대답해주는데.. 시간가면 쌓이는 미네랄과 모자란 파일론 ㅠㅠ 바로 gg ~
02/09/22 14:21
수정 아이콘
정말로 공감되는 이야기네요...(저도 항상 친구들과 게임을 하면 이것보다 더 심한 모습을 ....)
저는 정말 심할때는 혼자서 캐논 사방에 박아놓고 본진 방어에 힘쓰다가다 유닛 쪼금 모아서 센터에 보내면 이미 우리편이 이기고 모두들 gg치면서 게임에서 나가더군요...(저는 그때 시즈탱크의 사정거리가 캐논보다 길다는 것도 모르고 캐논이 정말 좋은 건 줄 알고 유닛대신 캐논만 쭉 박았더랬죠... 후에 시즈탱크에 부서지는 걸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는..)
휴유,,, ㅠ.ㅠ
응삼이
02/09/22 14:23
수정 아이콘
점점 이기는 경기가 많아지는 공룡님!
이 문서를 분석하여 본 결과 제가 2위자리를 노려볼 만 하다고 생각됩니다. -__-+
항상 즐겜요~~~
나라당
02/09/22 14:52
수정 아이콘
^^제가 남긴 리플 보셨나 보네요
그래도 그때 충분히 잘하셨어요~게이트 늘리시는 법만 배우시면 될듯~
02/09/22 15:30
수정 아이콘
음 공룡님 정말 치열한 분석을 하셨군요.^^
잘 하면 2위 자리를 놓치실 수도 있겠군요..
저희들 하수는 절대로 리플을 보면서 반성하지 않아야
끝없는 삽질을 할 수 있거늘 .. 리플보며 반성하는 공룡님이
곧 하수계를 은퇴할 거 같은 불길한 생각이 -_-;;
황무지
첫승의 제물이 된 아이디 Rachdanan을 기억하시나요... 접니다. 흐흐흐 언젠가 복수하리...
피팝현보
02/09/22 17:07
수정 아이콘
클랜 피지알21 가면 제가 당장 최하수 자리를 꿰찰텐데.. 허허.. ^^
카오스
02/09/22 18:24
수정 아이콘
음.. 전 공룡님 경기 옵하면서 하수란 생각 안했는데...

공룡님 힘내세요. 공룡님은 하수가 아니랍니다.

제 실력을 발휘 못하신것뿐^^;;
02/09/22 23:0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제플레이> 초반 프로게이머 못지않음 ㅡㅡ 5분이후 뭐하는지 까먹음 ^^;; 아~~ 하수는 시간갈수록 플레이가 집중이 안되더군요^^ 물론 제 예기
케이군
02/09/23 02:45
수정 아이콘
공룡님 안녕하세요? 5연승 축하드립니다.
제 생각에는 하수는 이미 벗어나신것 같은데요. 꼼꼼하게 자기 리플 본다는게 쉬운 일은 아니라 생각하는데, 역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적용을 하시는 공룡님~ 제가 진 이유라 생각합니다.(헉~)
요새 컨디션이 영 말이 아니라서... 연휴내내 쉬지 못한게 원인일수도 있다고 자책하지만 핑계일 뿐이겠죠? ^^;
p/s: 바쁘게 되더라도 한번쯤 다시 게임할수 있게 되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6450 내 리플을 보면서 분석한 진정한 하수의 모습. [11] 공룡1289 02/09/22 1289
6440 늬들이 군대스타를 알어?? - 싸제스타 군대스타 - [14] 사나이울프1391 02/09/22 1391
6405 [연재] 판타스틱 파이널 판타지(무림편) 3편(온게임넷 4강 박 vs 홍) [23] 공룡1871 02/09/21 1871
6382 스타가 이렇게 재미있을 수 있다니.. [10] 지나가다1602 02/09/20 1602
6263 [펌] 당신은 게임 중에 허를 찔려본 적이 있습니까? [2] homy1457 02/09/17 1457
6204 프로토스가 테란을 이길 수 있을까?? [28] 안인기1673 02/09/16 1673
6178 스타관련 잡담 [14] 공룡1276 02/09/15 1276
6083 박정석 vs 조용호 .......조용호 승 [1] 네로울프1353 02/09/13 1353
6041 [잡담]지금 온게임넷 플래쉬백을 보고 있습니다. [5] kama1398 02/09/13 1398
6021 KPGA TOUR 준결승 박정석vs임요환전 총평.. [8] nowjojo2172 02/09/12 2172
6006 [요청연재] -재림- 2부 [1] 겜큐광팬1335 02/09/12 1335
5950 [진짜허접꽁트] 2인자 테란 (3) [5] i_random1234 02/09/11 1234
5867 [진짜허접꽁트] 2인자 테란 (2) [2] i_random1189 02/09/08 1189
5834 임요환의 불가사의.. 2 [32] KABUKI2326 02/09/08 2326
5747 어제 pgr21s 에서...허접 게임얘기 [12] partita1201 02/09/05 1201
5633 [유치찬란꽁트]제목미정 ㅡ,.ㅡ 프롤로그&제1화 [1] 겜큐광팬1259 02/09/02 1259
5547 챌린지리그에서 엄재경님이 이재훈님에 대해 한 말씀 [5] drighk2405 02/08/30 2405
5485 겜티비 특별전 혼성경기 [9] 응삼이1992 02/08/27 1992
5466 프로토스 [5] 낯선1364 02/08/27 1364
5432 [펌글]B조 재경기 홍진호 vs 박정석 경기에 대한 김도형님의 글 [5] Dabeeforever2447 02/08/26 2447
5426 펀글을 또 펀글)) 저그유닛 럴커는 사기다. [17] 랜덤테란3900 02/08/26 3900
5314 [좌충우돌 스타배우기] 테란에서 프로토스로 전향하다 2 [3] acepoker1466 02/08/23 1466
5304 임요환의 명승부 best 2탄 - 온게임넷 스타리그의 명승부 best 10 [27] tongtong2514 02/08/23 25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