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2/05/21 22:34:39
Name nioom
Subject 프로토스 하드코어빌드에 관한 궁금
안녕하세요 전 플토 양민인데 저그 상대로 맨날 지다가 그냥 생각나서 써봅니다.

프로토스가 보통 저그를 상대하려면 크게 두가지로 빌드가 나뉘는것 같드라구요.

첫째는 투게이트에서 질럿을 생산해 내서 저그에게 강하게 압박을 들어가는 방법이죠. 소위 하드코어라고 불리는. 저그가 배째고서 확장을 하고 드론을 늘리거나, 테크를 올리는 것을 늦추는 효과를 보여주지만 질럿 압박이 실패로 돌아갈 경우 입구가 러커에 조여져서 답답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죠.

둘째는 원게이트에서 질럿을 뽑아 입구를 막고서는 테크를 올려서 저그를 상대하는 방법입니다. 물론 사이버네틱스 코어 이후에 세가지로 갈라지는 프로토스의 테크트리상 그 이후에는 다양한 유닛이 쓰여질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테크가 올라가고 멀티를 할 때까지 저그의 빠른 확장 혹은 강력한 초반유닛의 러쉬를 막지 못하면 몰락하게 되겠죠.

물론 이 방법 외에 하이퍼,신,대쉬 플토등 중반 쯤에 발업 혹은 공업 질럿으로 저그의 멀티를 교란함으로써 재미를 보는 것도 있겠지만, 상대의 발전을 늦추는 투게이트 체제의 마인드와 자신의 발전을 추구하는 원게이트 체제의 마인드 사이의 절충안 정도인 느낌입니다. (절충안이라고 해서 별로라고 보는건 아닙니다.)

첫번째에 얘기했던 투게이트 체제에서 실패가 나는 이유는 아마도 게이트웨이에서 상대방 해처리까지의 거리가 멀어서일겁니다. 로템 12시 2시의 위치가 프로토스에게 이점을 주는 것도 거리 때문이니까요. 만약에 게이트웨이를 상대편 본진 가까이 지을 수 있으면 좋으련만 질럿 푸쉬가 실패하고 나면 게이트웨이 두개하고 파일런 하나가 없어지는 셈이니까 위험하게 되겠죠.

근데 만약 게이트웨이 하나는 내 본진 가까이에다가 짓고 다른 하나는 상대편 본진 가까이에다가 지을 수 있다면 위험부담이 많이 줄지 않을까요? 뚱딴지같은 말처럼 들릴수도 있겠지만, 로템의 경우 본진 언덕의 끝에다가 파일런을 짓고 게이트웨이 하나는 언덕 위에, 다른 하나는 언덕 아래에 지으면 질럿의 바쁜 갈 길이 많이 짧아질 것 같네요. 입구의 위치상, 질럿이 많이 돌아가야 하는 8시, 2시, 6시의 경우 게이트웨이 하나를 바깥에다 지어 버리면 질럿 충원도 빠르고 압박이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에도 바깥에 있는 게이트 하나만 파괴되니까요. 게이트가 미네랄 150인데 질럿 하나 프로브 하나 잃었다고 생각하고 원게이트 식으로 플레이해도 되지않을까요? 게이트웨이 하나는 아직도 건재하고 어차피 저그도 압박당한만큼 테크나 확장 면에서 그렇게 앞서가지 못할텐데요.

갑작스런 호기심이 생겨 써봅니다. 어이없어도 그냥 한번 웃고 지나가셔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황영재
02/05/21 23:42
수정 아이콘
게이트 한개에서 1초 더 빨리가자고 150을 도박에 건다는건
다소 무리가 있겠죠..
차라리 7 9 10 극강 하드코어를 하거나
5프로브 센터게이트를 하는쪽이 차라리 더
가능성이 커 보이네요..
황영재
02/05/21 23:43
수정 아이콘
추가로 토스가 저그를 이기려면 지나치게 공격적이거나 지나치게 방어+견재형으로 나가는게 좋습니다.. 어중간하게 한다면 저그에게 전혀 위협이 되지 않아서 저그의 엄청난 확장력을 감당해낼수가 없지요.. 그래서 대회나 리플같은것을 보더라도 저그를 상대로 허무하게 지는 토스를 많이 볼수가 있습니다.
02/05/22 00:33
수정 아이콘
1ㅡㅡ>3ㅡㅡ>5로 이어지는 질럿러쉬 빌드를 생각 해 보시면 왜 안 되는 지 대답이 될까요 ^^
파일론 게이트 게이트이니 .. 전진 2게이트나 .. 본진 2게이트 밖에는 안되겠죠? ^^
시누아르
02/05/22 03:04
수정 아이콘
대 저그전은 하이퍼를 젤 많이 씁니다.(게임아이.1200~
1500정도쯤?)
견습마도사
02/05/22 03:36
수정 아이콘
헉...저거 ..제가 자주 하는 빌든데여..^^;;
8시에서 시작일때 6시방향으로 오버로드 날라오면
저렇게 하는데여..
1질럿 푸쉬도 정말 빨라지고
병력 충원두 빠르궁..^^;;나름대로 좋던데^^;;
암튼 8시에서 특히 6시 방면으로 저렇게 한다고 생각하면여..
질럿 엄청나게 빨리 갑니다..
8시 오른쪽 벽에..파일런 소환하구
내려가서 게이트웨이 소환하면...
Madjulia
02/05/22 08:54
수정 아이콘
꺄아~ 기사도 님이다^_^~
박둘근
02/05/22 19:57
수정 아이콘
L.Y아콘이라는 중국겜머는 이렇게 하던데요.. 8시에서 언덕밑에 게이트웨이 지어서 1질럿 푸쉬 빨리들어가고, 바로 포지짓고 더블넥... 엽기클랜에 리플있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849 듀얼 토너먼트 C조 경기 하는군요. [5] 공룡1084 02/06/28 1084
3830 겜티비 예선 후기 [3] 항즐이2619 02/06/26 2619
3810 프로토스는 불쌍한 종족이다... [20] occipitalbone1947 02/06/24 1947
3565 악몽을 꾸다 -_- [7] 공룡1139 02/06/14 1139
3562 [잡담] 사랑한다면, 저그처럼. [8] Apatheia1393 02/06/14 1393
3503 박정석 선수 신기의 컨트롤로 스타리그 진출!! [39] 커피우유1917 02/06/11 1917
3424 두번쨰 금기 해제 [34] glamourtoss2707 02/06/08 2707
3387 인터셉터 깔아뭉개기와 드론통과 버그를 정당화 하려는 분들!! [49] NOV.012025 02/06/06 2025
3346 [토론]어제 이재훈vs홍진호 선수 5경기 드론 홀드 풀기! [20] 경규원1742 02/06/05 1742
3259 온겜넷,kpga투어 맵에대한 견해!~ [18] 경규원1670 02/05/31 1670
3232 예전부터 궁금했던 어떤 일... [15] T@eJoN1316 02/05/29 1316
3121 아......열받어...... [1] kama1253 02/05/24 1253
3105 [잡담]어제 게임하다가... [11] 이도근1141 02/05/23 1141
3101 추어탕을 먹으면서.. [6] 포 아둔~!1194 02/05/23 1194
3083 프로토스 하드코어빌드에 관한 궁금 [7] nioom1365 02/05/21 1365
3053 게임은 이렇게 하는것이다..이재훈선수 화이팅~ [6] 제갈공명1321 02/05/20 1321
3009 ?!황당기획!? 플토의 살 길(저그를 모방하라!) [10] 이도근1343 02/05/17 1343
2902 환상의 프로트스 [4] 권용태2389 02/05/11 2389
2876 [re] 프로토스정석 [4] Madjulia9708 02/05/10 9708
2852 드디어 테란으로 플토를 이기다. [4] kama1229 02/05/09 1229
2844 [궁금] 플게머분들의 당일 컨디션에 따른 성적.. [3] 목마른땅1136 02/05/08 1136
2635 요즘에 젤 무서운 플토는! [1] 신무1223 02/05/03 1223
2631 스타크 유닛 발음 이야기-_- [3] 과일파이1633 02/05/03 163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