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4/16 17:38:43
Name shadowtaki
Subject [일반] 국회의원의 임무는 무엇일까?
선거도 끝나서 평소에 가지고 있던 질문 하나를 던져보고 싶습니다.
국회의원의 본연의 임무는 입법인가? 예산심의인가?
국회의원들의 지역구 관리라고 부르는 활동의 정의가 무엇인가?
이 정도의 질문입니다.

저는 국회의원들은 변화하는 사회에 맞게 입법활동을 하는 것이 주임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행정부에 대한 감시 임무도 중요하죠.
그런데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을 평가할 때 지역구를 버렸다 라는 평가들이 있는 것을 보면 도대체 그 지역구를 관리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싶습니다. 좀 저급하게 이야기 하면 총액이 정해져 있는, 행정부에서 계획한 예산에서 남의 것 빼앗아 내 지역에 가지고 오면 일 잘했다 소리를 듣는 것 같은데 이게 과연 국회의원이 일을 잘한다 소리를 들을만한 활동인지 궁금합니다.
기술의 발전과 사회구조의 변화로 현실에 맞지 않는 현재의 법안들, 국민 정서를 전혀 따라오지 못하는 형법들 이런 것들을 개선하는데 힘쓰는 의원들은 중앙에만 신경쓴다는 평가와 함께 버려지는 것이 현 상황인 것 같은데요. 과연 국회의원이 지역에 다리가 무너져 가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예산을 따오는 것이 중요한지, 다리의 안전평가를 강화해서 근본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지, 저는 국회의원이라면 후자가 중요하고 지자체의 행정부는 전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16 17: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역구의원 기준으로 일단 국회로 가려면 당선이 되야 되는데 본문에 있는 내용들은 그냥 "국회의원"으로서의 소양이고 내가 왜 "그 지역구"의 국회의원이 되야 하는지는 설명을 못합니다. 확인도 힘들고 유권자 입장에서 와닿지가 않아요.
그냥 지하철 끌어오고 땅값 올리는 기반시설 끌어오는게 최곱니다.
그리고 예산이 왜 남의 돈이죠? 눈먼 돈이고 최대한 자기 지역구민을 위해 싸워서 땡겨오는게 잘하는거지 잘못된 일인가요?
shadowtaki
20/04/16 18:08
수정 아이콘
내 지역에 예산을 끌어 오려면 다른 지역의 예산을 줄여서 가져와야 합니다. 예산 총액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면요. 그것을 말 한 것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무작정 기반시설을 내 지역으로 끌어오면 일 잘한다 소리를 해주면 오송역, 강남 마을 전철, 공주역과 같은 돈만 날리는 상황이 더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라서요.
20/04/16 18: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송역 공주역 욕은 먹겠지만 해당 지역사람들은 좋아하겠죠. 다른지역사람들이 표주는것도 아닌데 그거 욕먹는게 뭔가 문젤까요.
애초에 예산을 어디다 쓸지 정하는게 국회의원인데 다른지역 예산을 줄여서 가져온다는게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
그냥 의원이 힘써서 자기지역구 예산 따오면 그게 그 지역 예산인거죠.

언급하시는 문제가 어떤것인지는 알겠습니다만 그냥 소선거구제의 한계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20/04/16 17:47
수정 아이콘
입법활동과 행정부 감시 모두,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해야 하는거 아닌가 싶은데요.
주민들의 의견을 자주 만나서 듣고 보면, 그 중 입법으로 해결해야 할 요소도 있고 행정부 견제로 해야할 것도 있는거잖아요?
shadowtaki
20/04/16 18:09
수정 아이콘
행정부의 감시가 제가 볼 때는 집행에 대한 감시는 국정감사, 계획에 대한 감시는 예산 심사로 이루어지는 것 같은데 예산 심사, 그 중에서도 쪽지예산에 대한 능력이 너무 과평가 되는 것이 아닌가 싶어서 그렇습니다.
20/04/16 18:25
수정 아이콘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를 생각해보면, 결국 지방의회도 지자체장이 쓰는 예산안에 대해 감시하고 견제하는 역할이잖아요?
이를테면 어떤 동에 도로를 새로 개설한다고 하면, 그로 인해 주민들의 의견을 들어 그 예산 사용안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는 역할인 것이겠구요.

그걸 그대로 국회로 가져온 것이라고 봅니다.
국가적인 사업, 이를테면 GTX가 있는데 그에 대한 본인 지역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그걸 제시하는 것 역시 역할이라고 봐요.
오만과 편견
20/04/16 17:48
수정 아이콘
지역구 의원은 내 지역구에 내가 볼 때 옳은 정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사람에게 투표할 수 있죠. 중앙 정치는 비례에 집중하시고,

어머니와 이야기를 나누어봤는데, 지역구는 통합 비례는 정의당을 주셨더라구요.
shadowtaki
20/04/16 18:16
수정 아이콘
'내 지역구에 내가 볼 때 옳은 정치'에서 옳은이라는 형용사의 뜻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이었습니다.
제일 만만하게 욕을 가장 많이 먹는 오송역을 예로 들면 당시 실제 상황을 제가 잘 모르지만 원래는 안 될 것을 그 지역구 국회의원이 힘써서 오송역을 이루어 낸 것이라 치면 국가 전체적으로는 손해가 막심하지만 내 지역구에 오송역 가져왔으니까 일 잘한다고 해주는 것이 옳은 일인가에 대한 질문이죠.
솔로15년차
20/04/16 17:48
수정 아이콘
전 인간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긴 하지만 입 밖으로 꺼내기엔 부끄러운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그냥 당연한 거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아서요.
뭐가 옳다는 말을 해봐야 현상은 바뀌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shadowtaki
20/04/16 18:18
수정 아이콘
주변에 저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을 보면 크게 바뀔 것 같지 않네요.
솔로15년차
20/04/16 18:25
수정 아이콘
국회의원을 뽑을 때 인지상정이고 뭐고 간에 국회의원에게 주어진 업무가 있고, 국회의원이 자기 지역구를 위해 뭘 끌어온다는 건 업무 외적으로 누군가에게 압력을 행사한다는건데 그걸 말하는 것에 너무 거리낌이 없어요.
그 기준이라면 국회의원을 뽑을 때 자기 돈 나눠주는 사람을 뽑는게 차라리 더 나은데 말이죠. 적어도 자기 돈 뿌리는 거지 권한 외의 압력을 행사하는 건 아니니까. 그렇게 돈 뿌려가며 국회의원 된 사람들이 부정한 일을 안 할 리가 없겠지만.
루트에리노
20/04/16 19:24
수정 아이콘
국회의원이 "원래" 동네 대표로 시작했다는 거 생각하면 지역구에 힘 쓰는게 이상한 일은 아니죠. 우리나라에서 그런 역사가 없어서 국가에 더 힘써야 한다는 인식이 강할 뿐인거구요.
20/04/16 17:51
수정 아이콘
본문의 글처럼 되는 게 맞다고 생각하지만 소선거구제하에서 이뤄지기 힘들죠.
사실 그런 건 시장같은 자치단체장들이 해결해야한다고 보는데 현실은 어째 반대같습니다
shadowtaki
20/04/16 18:19
수정 아이콘
지방자치를 확대해 가는 과정에 있으면 그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고민도 커져야 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다시만난세계
20/04/16 17:56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자신을 뽑아준, 앞으로 뽑아줄 사람들이 원하는 일을 하는게 임무라고 봅니다.
shadowtaki
20/04/16 18:22
수정 아이콘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으니 다선 의원, 나이 많은 의원을 선호하는 것 이겠지요. 저는 미래 세대를 위한 고민을 더 해야하는 시점이라고 보는데 국회의원의 평균 연령이 너무 높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20/04/16 17:57
수정 아이콘
예산안 심사도 국회의원의 중요한 직무 중 하나고 지역구 투표시 어느정도 감안하는건 필연이자 당연이라고 봅니다. 쪽지예산처럼 기형적인 구조로 의원 개개인의 개입이 너무 커지는 게 문제라면 문제지만요.
shadowtaki
20/04/16 18:23
수정 아이콘
그 임무에 대한 평가 비중이 너무 예산 따오기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친절겸손미소
20/04/16 18:13
수정 아이콘
지자체가 정착된 이상 지역구의원 개념이 서서히 탈피해야 하는 거 아닌가 싶습니다만 이 경우 비례대표제 운영 방안을 잘 모색해야겠죠 당연히
shadowtaki
20/04/16 18:26
수정 아이콘
저는 지역구의원 개념에서도 직능을 대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울산처럼 노동계열의 의원들이 뽑히면 노동계를 위해서 일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더 나아가서 국회의원 수 늘리면서 비례를 대폭 확대하면 좋겠구요. 아마 힘들겠지만요..
계층방정
20/04/16 18:17
수정 아이콘
지방자치제를 실시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규모가 작고 국비가 투입되어야 하는 사업이 많은지라 지역구 국회의원이 지역에 끼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요.
shadowtaki
20/04/16 18:40
수정 아이콘
이 문제가 사실 원인 중 하나지요. 그렇다고 국세로 거두고 있는 세금을 지방에 그냥 주자니 지역별 불균형과 수도권 집중이 더 심해지고, 국세를 교부하는 형태로 가자니 지금과 같은 문제가 있고..
40년모솔탈출
20/04/16 18:21
수정 아이콘
지역구는 자기 지역에서 일하고 자기 지역을 발전 시켜줄 사람을 뽑는거죠.
결론은 땅값 올려줄 사람이 되지만요.
그리고 이런 지역구가 아닌 사람을 뽑기 위해 비례대표를 뽑는거고요.

당장 내 지역에 다리가 무너지고 있는데 지역 주민 입장에서는 다리 고쳐주겠다는 사람 뽑아야죠.
솔로15년차
20/04/16 18:26
수정 아이콘
그럼 비례대표의원 수를 늘리는 것에는 동의하시나요? 자기 지역과 무관하게 발전시킬 사람을 47명 밖에 안 뽑는건 너무 심각한 일이잖아요. 그 47명 중에도 자기 지역구 있는 사람들 꽤 있지만 그건 없는 걸로 하더라도요.
40년모솔탈출
20/04/16 18:38
수정 아이콘
더 늘어야 된다고 봅니다.
2배로 늘리거나, 100명을 더해서 147명을 뽑거나 하는 식으로요.
특히 지금 공직선거법에서 홀수번마다 여성을 넣도록 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비례대표를 늘려야 남녀 비율도 50% 에 가까워 질꺼고,
이해할 수 없는 조건으로 인해 비례 번호에서 밀린 분들도 뽑힐 가능성이 높아질거니까요.
shadowtaki
20/04/16 18:45
수정 아이콘
먼저 적어주신 의견대로 국회의원 수를 늘리면서 비례를 대폭 확대하는 것이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상태에서 지역구 숫자를 줄이는 형태로 가면 인구가 적은 지역의 경우 너무 크게 지역구가 편성되어 한 지역구 안에 전혀 다른 생각을 가진 지역구가 탄생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저는 여기에 더해 연령별 쿼터도 있었으면 합니다. 국회의원들의 나이가 너무 많아 변화하는 사회와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너무 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young026
20/04/16 18:59
수정 아이콘
의원의 연령, 성, 직종 편중 문제에 대해서는 선출 후보에 제한을 두는 방법도 있겠지만 선거의회와 추첨의회의 양원제를 구성하는 것도 방책일 수 있겠습니다.
카바라스
20/04/16 18:39
수정 아이콘
소선거구제의 단점인데 고치기가 쉽지않죠.
shadowtaki
20/04/16 18:47
수정 아이콘
그래도 좀 더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고민을 하면 변화가 생기지 않을까 싶어서 적어본 글이었습니다.
20/04/16 18:45
수정 아이콘
장기적으로 완전비례대표제로 가야합니다
shadowtaki
20/04/16 18:49
수정 아이콘
더 많은 사람들이 정당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비례 대표 순위에 대한 투표가 광범위하게 이루어 질 때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최근 당적을 갖게 되고 있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이 꽤나 긍정적으로 보여지구요.
루트에리노
20/04/16 19:30
수정 아이콘
이러면 너무 중앙집권적입니다. 안그래도 서울공화국 소리를 듣는데 서울 편중 현상이 더 심해질 뿐이에요.
young026
20/04/16 18:45
수정 아이콘
'예산을 끌어오는' 건 좀 다른 얘기지만, 지역구 의원은 원래 중앙정치에서 지역의 대표자 역할이었고 지금도 그 역할 자체는 유효합니다.
예산 문제는 한국 지자체는 재정자립도 수준이 천차만별이고 전체적으로 매우 낮으며 그게 역사에 따른 구조적 문제라 개선될 가능성이 별로 없다는 점 때문에 필연적이긴 하죠. 자치단체장은 중앙정치와는 좀 거리가 있는 자리이고.
shadowtaki
20/04/16 18:54
수정 아이콘
지역을 대표한다는 상징이 예산을 가져오지 않으면 상징성이 떨어진다는 것으로 귀결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 때문에 그렇습니다. 행정부에서 계획한 예산안을 국회에서 일괄적으로 깎고 그만큼을 각 정당이 알아서 나눠 갖은 다음에 내부에서 어떠한 견제도 없이 꿍짝꿍짝 하며 나눠 먹으니까 자꾸 다선, 나이 많은 의원들이 선호되는 것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Rorschach
20/04/16 19:18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는 돈(예산)이 가장 눈에 보이는 지표이기 때문에 그럴 것이고, 지방자치가 완전히 자립 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어쩔 수가 없긴 하죠. 이게 자립 되는 날이 오지도 않을 것 같긴 하고요.
그리고 '남의 것 빼앗아 내 지역에' 라는 표현이 아주 틀린 말은 아닌데 단순히 저렇게만 볼 수는 없어요. 어떤 상황에 편성된 국가 예산이 100억인데 관련해서 뭔가 해 보려는 지역이 5개이고 각각 50억씩 드는 일이고 이게 부분지원으로 의미가 없는 일이라면 어쩔 수 없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두 군데를 지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저걸 20억씩 분배해버리면 5곳 모두 아무것도 안되니까요. 이런 상황에서 '예산을 끌어오는" 일는 남의 것을 빼앗는거라고 보긴 힘들죠.
루트에리노
20/04/16 19:28
수정 아이콘
의회라는 게 맨 처음에는 "대표 없는 지역에 과세 없다", 즉 지방의 이익을 대변하고 세금의 정당한 사용을 감시하기 위해 시작했다는 점에서 지역구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과 예산 심의 모두 국회의원의 당연한 의무입니다. 우리나라는 국회의원을 왕한테서 뺏은 게 아니라 원래부터 있어서 이런 의식이 적으니 아무래도 지역구보단 국가에 대한 일을 하는걸 당연시하지만요. 당장 미국만 해도 각 지역의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는게 하원의원의 당연한 의무로 여겨집니다.

지역구의 이익과 의견을 대변하는게 잘못된게 아니에요. 잘못된 방법으로 대변하지만 않으면요.
워송배틀드럼
20/04/16 19:38
수정 아이콘
저는 예산을 빼았아 온다는 표현이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자기게 아니니까 뺏는 거라고 하기엔, 상대방도 자기게 아닌 거잖아요
Justitia
20/04/16 19:43
수정 아이콘
지방자치제가 없을 당시에는 유일한 통로였고, 지방자치제 시행 후에도 자치단체의 장이나 자치단체의원은 중앙예산에 개입할 방법이 없습니다.
결국 중앙 예산의 배분에 대한 호소는 직접 의회에 참석하는 지역구 의원이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knock knock
20/04/16 19:47
수정 아이콘
선거 끝난 순간부터는 누가되던 우리 지역구에 신경써주고 잘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지르콘
20/04/16 20:00
수정 아이콘
지역을 대표한다와 국민을 대표한다의 두가지 입장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생기는 문제죠.
그런데 지역을 대표하지 않으면 중앙정부에 지역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방법이 여럽기때문에 참 문제입니다.
중앙에서 지역별로 조율을 하는건 지방단체장이 다하기 힘든면이 있으니까요.
정치라는게 그래서 복잡하죠.

그래서 지역국회의원이랑 비례대표를 거의동수까지 올렸으면 하는 바람압니다만... 국회의원 수늘어난다고 싫어사는 사람도많아서 힘들죠.
안스브저그
20/04/16 20:06
수정 아이콘
비례대표가 결국 순번정하는 사람 혹은 순번 룰 정하는 사람의 의지가 많이 반영되는 제도인데 우리나라처럼 당내민주주의 기반이 약한 나라이서 비례제도 확대해봐야 대리유저 시즌2일 뿐이죠.
young026
20/04/16 20:20
수정 아이콘
'결국 순번정하는 사람 혹은 순번 룰 정하는 사람의 의지가 많이 반영되는' 것까지는 지역구 의원 후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후보를 지역구 유권자가 안 뽑을 수 있다는 게 차이점이죠.
안스브저그
20/04/16 20:25
수정 아이콘
당선 가능성 또한 공천에 반영되기 때문에 지역구 활동에 신경을 쓸수는 있는거죠. 애초에 완전 배제된 비례대표랑은 비교불가입니다.
young026
20/04/17 20:05
수정 아이콘
'비교불가'까지는 아니죠. 누구를 뽑는가가 당선 가능성에 별 영향을 안 주는 곳도 있긴 있고-_-;, 비례대표제에서도 그 점을 반영하는 게 까다롭긴 하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98 [일반] 문 대통령 국정지지도 59% ‘18개월 만 최고’ [한국갤럽] [66] GRANDFATHER__9463 20/04/17 9463
4897 [일반] 근데, 과연 보수당이 망할까요? [93] 세인트8695 20/04/17 8695
4896 [일반] MBC의 출구조사 오프닝 애니메이션입니다 [44] 뭐로하지8218 20/04/17 8218
4895 [일반] 총선 대승, 경제 수장 경질부터 시작하라 [128] chilling9759 20/04/17 9759
4894 [일반] 보수의 희망(?) 홍준표 당선인이 세월호를 언급했네요. [61] 덴드로븀8466 20/04/17 8466
4893 [일반] 추호 김종인 선생의 인터뷰가 떴네요. [84] 강동원10782 20/04/17 10782
4892 [일반] 180석의 의미, 무의미한 협치를 반대 [201] 아우구스투스10307 20/04/17 10307
4891 [일반] 국가혁명배당금당과 자영업당의 비례지지율이 높은곳은? [15] 아마추어샌님5759 20/04/17 5759
4890 [일반] 헬조선과 국뽕 [20] 마바라6357 20/04/17 6357
4888 [일반] 민주당이 163석을 예측하고 있었군요. [38] 마바라10700 20/04/17 10700
4887 [일반] 초인적인 달리기와 안철수 [106] 가자미10098 20/04/17 10098
4886 [일반] 귀인이론과 국개론 [24] Sardaukar5611 20/04/16 5611
4885 [일반] 젊은사람 많이 사는 지역구지만 핑크하네요. [25] style8539 20/04/16 8539
4884 [일반] 503과 안크나이트, 한국 정치사를 바꾼 인물들... [44] 삭제됨7863 20/04/16 7863
4883 [일반] [단상] 21대 총선, 태구민, 이낙연 [122] aurelius10831 20/04/16 10831
4882 [일반] 제21대 총선 비례대표 지역별 정당 득표율 [11] 손금불산입7161 20/04/16 7161
4881 [일반] 곧 그분이 돌아오십니다. [52] 렌야9532 20/04/16 9532
4880 [일반] 이번 선거 때 인상 깊었던 두 짤방 [36] 부동산9301 20/04/16 9301
4879 [일반] 민주당에서 잊혀진 혹은 잊혀질 의원들 [42] 아우구스투스9752 20/04/16 9752
4878 [일반] 국회의원의 임무는 무엇일까? [44] shadowtaki5897 20/04/16 5897
4877 [일반] 선거패배 후, 보수의 말. 말. 말. (+조선일보 칼럼 추가) [63] GRANDFATHER__9395 20/04/16 9395
4876 [일반] 오늘자 각 정당 대표들의 인터뷰 모음 [37] 손금불산입7426 20/04/16 7426
4875 [일반] 안티 보수정당이 생각하는 총선 후기 (+ 이준석) [77] HesBlUe9510 20/04/16 95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