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6/04/12 23:14:10
Name 이진아
Subject [일반] 내일 관심있게 볼 이슈는 뭐가 있을까요?
선거가 이제 몇 시간 앞으로 다가왔는데, 관심있게 지켜볼만한 이슈들이 무언가 공유해보았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중요하고 진지한 행사이지만 또한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는 즐거운 이벤트이기도 하니까요.

물론 일단 다들 살고계신 지역구 국회의원이 누가 되는가가 이슈일 것이고, 또한 당연하게도 각 정당이 몇석정도 차지하게 될 것인가가 최대 관심사가 되겠죠. 더민주당은 문재인씨 정계은퇴가 걸려있고요.

물론 궁금한 사항들 여럿이지만 저는 딱 2개만 추려보면 이거 2개입니다.

1. 투표율은 얼마나 나올 것인가?
18대 대선은 75.8%라는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었죠. 지난 19대 총선에는 54.2% 의 투표율을 기록했고요. 이번 20대 총선에서 사전투표율은 12% 대를 기록하여 역대 최고치이긴 하지만 선관위 예측인 15%에는 못미쳤습니다.  50% 후반대를 많이들 예측하는데, 투표율이 60%를 넘을수 있을지, 연령별 투표율은 어떻게 집계될지 궁금한 사항입니다.

2. 인기 정치인들 경합지역
[오세훈 vs 정세균] 서울 종로입니다. 아마도 오세훈의 화려한 복귀무대가 되리라 예상은 되는데... 가장 주목도 높은 지역중 하나죠.
[표창원 vs  이상일] 아래 글에서도 뜨거운 감자인 표창원 후보 지역구인데요, 용인 정, 제 지역구이기도 합니다. 표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앞서나가다가 격차가 좁혀지면서 끝났는데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네요.
[안철수 vs 이준석] 서울 노원병입니다. 안철수 후보가 꽤나 여유롭게 앞서는 것으로 여론조사가 나오던데 그래도 최고 인기 정치인이라 결과가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김문수 vs 김부겸] 대구 수성갑인데요, 정치거물들끼리 맞붙습니다. 초미의 관심지역중의 하나죠.
[손범규 vs 심상정] 경기 고양갑입니다. 심상정후보가... 설마 질까요?
[김성주 vs 정동영] 전북 전주병입니다. 여론조사는 엎치락 뒤치락 혼전양상입니다.
물론 초박빙지역은 더 많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유명 정치인들로만 모아봤습니다.

다들 또 어떤 이슈들 주목하고 계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oveCrowd
16/04/12 23:16
수정 아이콘
용산도 지켜볼만한 곳입니다.
여군출신 친박 정치 신인 vs 굳이 더민주로 이적한 쪽박 진영
또니 소프라노
16/04/12 23:16
수정 아이콘
경합지역 심상정 당선 오세훈 낙선 정동영 낙선 원합니다. 제발... 김문수 김부겸은 경합지역이라고 보기엔 김부겸후보가 거의 이기는거로 나와서... 개인적으로 투표율은 40%후반 50%초반 예상합니다. 유권자들이 짜증나서 투표안할만한 사건이 많아도 너무 많았다고 생각해요
베스킨라
16/04/12 23:18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제일 관심 있는 지역은 정치 일번지 종로 [오세훈 vs 정세균], 캐삭빵 서대문구 [이성헌 vs 우상호] 이 두곳이 관심이 갑니다. 크크
도깽이
16/04/12 23:34
수정 아이콘
서대문구는 리틀 테무진 vs자무카 김대중 vs 김영삼이라 꿀잼각
이진아
16/04/12 23:37
수정 아이콘
좀 마이너하네요...
또니 소프라노
16/04/12 23:36
수정 아이콘
우상호의원 을지로 위원회 위원장으로 아는데 살아남았으면 좋겠네요
도깽이
16/04/12 23:46
수정 아이콘
우상호의원이 김근태계핵심이지 않나요?
또니 소프라노
16/04/12 23:49
수정 아이콘
아마 그럴걸요 민평련쪽 사람이라는 소리를 들었던거 같습니다. 보통 민평련 계열이 그렇지만 손학규와도 가까운 관계라고 알고 있네요
타마노코시
16/04/12 23:18
수정 아이콘
거시적인 판세에서..
호남 1당 여부 (매직넘버 의석인 호남 15석은??)
새누리의 160석 여부, 더민주 107석은, 국민의당 20석은 가능한가? 부울경에서 야권은 5석 이상 얻을 수 있을까?

미시적인 판세에서 개인적으로 보려고 하는 것은
1. 관악대장군의 위엄은 계속될 것인가?
2. 야권분열된 안산에서의 야권 당선 여부
3. 그리고 제 지역이 지역이라 분당 2석의 향배.. (특히 권혁세 vs 김병관)
이정도를 주목하고 있어요.
16/04/12 23:25
수정 아이콘
딱 하나만 꼽으라면 노원병의 결과겠죠. 안철수가 받을 성적표에 따라 안철수의 대선 플랜이 결정될 겁니다.
안철수는 노원병에서 자신이 여권지지층에게 확장성 있는 후보라는 것을 보여줘야 자신이 주장하는 대선명분이 살아납니다.
일정 야권 지지층 비토는 감수하면서 기존 자신의 지지층과 여권지지층을 흡수할 수 있는 총량을 시험하려 합니다.
성공하면 이번 총선의 자신감을 가지고 대권에 도전하겠죠. 크크 전 회의적인 입장입니다만.

안철수는 노원에서 대승을 거둬야 합니다. 만약 지거나 근소한 차이로 살아남는다면 자신의 대선도전 명분 자체가 상당히 손상됩니다.
지켜보면 알 일이겠습니다만, 개인적으로 황창화 후보의 당선을 기원합니다.
역시택신
16/04/12 23:30
수정 아이콘
여당 상대가 정치신인 이준석인걸 감안하면 더더욱 큰 승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최소 과반은 넘겨야 큰소리 좀 치실수 있지 않나 싶은데..
MoveCrowd
16/04/12 23:34
수정 아이콘
문재인-손수조가 55:43이었는데 딱히 대선도전에 큰 걸림돌이 되진않았습니다.
3자구도이니 일단 승리만하면 괜찮죠.
또니 소프라노
16/04/12 23:37
수정 아이콘
거긴 부산이었지만 노원병은 야권세가 강한곳이죠 다 야구도긴하지만 개인적으로는 15%이상은 벌리면서 승리해야 안의원이 목에 힘줄수있다고 봅니다.
16/04/12 23:37
수정 아이콘
부산과 노원병의 지역차이가 좀 심하죠. 거기에 그당시 문재인의 위상과 지금의 안철수의 위상의 차이도 크구요.(안철수가 압도적이죠)
새누리 더민주 구도의 제3세력을 주장하던 안철수에게 노원병에서 도토리 키재기 구도는 자신의 명분을 잃게 만듭니다.
자신이 주장하는 명분을 증명하려면 최소한 과반에 가까운 지지율은 나와야 합니다.
MoveCrowd
16/04/13 00:59
수정 아이콘
위상 차이는 당시 문재인도 만만치않습니다. 야권 다자구도도 고려해야죠.
16/04/13 01:20
수정 아이콘
당시 문재인에 비해 안철수의 현 위상이 월등히 높습니다. 당시 문재인은 노무현의 비서실장과 부산지역의 대표적 비서실장 타이틀을 가진 사람이었고, 현 안철수는 한때 문재인과 쌍벽을 이루던 대권후보에 새정치민주연합 국민의당 당대표 경력의 현역 지역구 의원입니다.

본인의 지역구에서 상대에 비해 앞도적인 커리어로 승부를 보는데 결과가 신통치 못하면 상당히 곤란해 집니다.
또한 야권 다자구도라고 하지만 본인은 기존 야권이 아닌 제3세력을 주장하기 때문에 그에 합당한 결과를 내야 합니다.
MoveCrowd
16/04/13 02:19
수정 아이콘
전혀 다른 제3세력이라고 한다면 더욱 그 실험정신을 높이사서 일단 이기는데에 초점을 맞춰야겠죠.
그리고 2번도 아니고 3번 당인걸요.
이준석 쪽도 손수조보다 압도적인 커리어구요.

결국 이런저런거 따져봤을 때 문재인-손수조보다 크게 막 차이 나는 상황이라고 보긴 힘들 것 같습니다.
뭐 문재인 지지자분들이야 뭔가 다르게 볼 수도 있겠지만
스프레차투라
16/04/13 02:51
수정 아이콘
손수조와 이준석의 차이는 감안 안하시나요.
당시의 손수조는 이름조차 알려지지 않았던 시기의 깜짝 공천이었고
이준석은 다년간 쌓아온 인지도와 포텐의 싸이즈부터가 다른 인물입니다만.

노회찬이 홍정욱에게 꺾인 전적도 있는 전장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 지도 모르는 와중에,
압도적 승부는 언감생심ㅡ 이기면 장땡인 게임이라 봅니다. winner take it all이죠.
이준석이 安 호흡기 뗄 수도 있는 거고요
Korea_Republic
16/04/13 00:02
수정 아이콘
다야 상황인걸 감안해도 야권이 강한 노원병에서 이준석을 최소 10% 이상 이기지 못하면 그간 사실상 패배나 마찬가집니다.
16/04/13 00:14
수정 아이콘
본인도 그걸 알고 있기에 방송토론이나 워딩에서 이준석 대신 황창화를 공격하더군요.
안철수는 자신의 코어지지층 + 라이트한 야권 지지층 + 흡수가능한 여권 지지층의 총합을 가지려고 합니다.
본인이 친노세력이라고 부르는 강성 야권 지지층의 표는 버린다는 플랜인 것으로 봅니다.
그 때문에 자신이 정의한 친노세력의 규모를 최대한 축소하려고 하구요.
만약 황창화라는 신인을 상대로도 지지세를 흡수하지 못한다면 안철수의 제3노선은 불가능하다는 증명이 됩니다.
16/04/13 05:04
수정 아이콘
저도 노원병이 제일 관심사이고, 그 다음이 종로입니다. 두 군데의 결과에 따라 내년 대선 구도가 다양한 모습으로 변할 것 같아서 관심사네요.

야권세가 강한 노원병이지만, 황창화가 야권표의 일부를 가져간다고 보면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안철수라 하더라도 35%는 기본적으로 가져갈 이준석과는 박빙일 겁니다.

다만,안철수에게 실망한 야권표가 얼마나 적극적이냐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어 질 수 있다고 봅니다.

또, 종로에서 오세훈이 이긴다면 총선 이후도 득세할 친박쪽에서 밀 수 있는 예비 후보로 보입니다.
물론, 반기문,김무성과의 경쟁이 불가피 하리라 생각되지만 판이 복잡해질 경우 반기문의 포기가 나올 수 있다고 보기에 오세훈이 이병박의 발자취를 따라 갈 수도 있다고 예상되어 이번 총선의 결과는 위의 두 곳이 개인적으론 최고의 관심지역입니다.
아스미타
16/04/12 23:28
수정 아이콘
전 피지알에서 핫한
은수미, 권혁세 지역구 위주로 보려구요
과연 어떤 득표율을 보일지
역시택신
16/04/12 23:33
수정 아이콘
일단 저희 지역구 결과가 관심이 가고 새누리, 민주, 국민, 정의 의석수 다 관심이 가고 제 지역구 아닌 다른 지역구 꼽으라면 종로나 전주병 정도?
김밥옆구리에서삐져나온단무지
16/04/12 23:38
수정 아이콘
은퇴 선언이 몇 시에 나올 것인지?
도깽이
16/04/12 23:46
수정 아이콘
이택수 말이 맞다면 문재인 김종인 둘 다 고려장행 인데 과연?
간디가
16/04/13 00:10
수정 아이콘
ㅠㅜ만약 그리되면 글 쓸 시간은 줍시다.
시네라스
16/04/12 23:42
수정 아이콘
부산 북강서갑, 김해 갑을, 창원 성산
야권에서 PK 세력을 어느정도 유지할 수 있을지
대구에서는 북구을 홍의락 의원이 당선될지도 주목해봐야겠죠
사실 실질적으로 중요한건 수도권 전세 판세일 겁니다, 경기는 몰라도 서울은 어느 한쪽에게 확 기울 가능성도 있으니...
Polar Ice
16/04/12 23:51
수정 아이콘
TK측 결과랑 무소속후보들의 어느당 으로 가는지가 제일 흥미롭네요. 사실 총선 전까지는 맨날 야권끼리 싸우는 소리만 나왔는데 정작 중요한건 여당내 비박계와 진박계의 다툼인거 같습니다. 새누리가 무소속 후보들 받을까도 궁금하구요.
손예진
16/04/12 23:55
수정 아이콘
[정치 1번지 종로] 여기가 제일 기대됩니다. 부디 세균맨이 오세훈을 짓밟아버리길...
그리고 더민주 107석 유지 여부...
윤가람
16/04/13 00:03
수정 아이콘
부정선거가 과연 있을지, 만약 정말로 부정선거가 일어나고 그게 세상에 알려진다면 이번엔 어떤 식으로 책임들을 물을지...
매우 흥미롭게 지켜보는 중입니다.
[NOH]ChrisPaul-NO.3
16/04/13 00:04
수정 아이콘
영남에서 야권이 몇석을 얻느냐도 이번선거의 포인트중 하나라 봅니다.PK,TK 지역에서 야권이 얼마나 지분을 확대하느냐에 따라 향후 지역구도가 무너질 가능성이 있죠.
능숙한문제해결사
16/04/13 00:05
수정 아이콘
정세균후보 , 김성식후보, 김병기후보(맞나요? 국정원출신) , 진성준후보 (어려워 보이던데...)
회전목마
16/04/13 00:31
수정 아이콘
비례대표에서 더민주와 국민의당 중에 누가 더 득표율이 높을것인가가 관심이네요
또한 원내 제 5당이 나올지도 궁금하고요
비례쪽의 결과가 기다려집니다
16/04/13 04:46
수정 아이콘
비례 득표에서 국민의당이 이긴다는 걸 상상하기 힘드네요...전 차이가 많이 날거라 봅니다.
회전목마
16/04/13 08:23
수정 아이콘
저도 더블스코어 난다고 봤는데
아버지랑 내기를 해서 흐흐
근데 더블까지는 안나올듯 하네요
Eye of Beholder
16/04/13 01:26
수정 아이콘
국회 선진화법이 있다 보니 예전 만큼 여당 과반이 포인트가 되지도 않는 것 같고 개인적으론 국민의당이 30석 넘기느냐가 전체의 관심사고 지역은 뭐 크게 관심가는 데가 없네요.
16/04/13 04:20
수정 아이콘
내는 마 우리부산이 대구를 제치고 순수여도가 댈끼라고 학신 합니다.
16/04/13 04:24
수정 아이콘
안철수가 이준석에게 지면 안철수 탈락
오세훈이 정세균에게 지면 오세훈 탈락
호남에서 더민주당이 지면 문재인 탈락
새누리가 일백육십석 전후 친박 득세 김무성 애매

목요일 대선 관련주는 무얼 사야 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997 [일반] [뉴스 모음] 제목을 뽑을 때 사람이 됩시다 외 [18] The xian6832 18/05/06 6832
3982 [일반] 안철수와 독대한 이준석 [90] 루크레티아11224 18/05/03 11224
3949 [일반] 불합리적인 공천심사에 고통받고 있는 1인 [48] 7836 18/04/29 7836
3896 [일반] 자한당만큼은 아니지만 내부상황이 볼만한 바미당 [57] 후추통8704 18/04/23 8704
3825 [일반] DC 바른정당갤러리에 대한 이준석의 반응 [35] 아지메11555 17/05/12 11555
3362 [일반] 유승민사퇴변수가 깜깜이 기간에 어느정도 변수가 되리라 보십니까 [43] Chandler8366 17/05/02 8366
3254 [일반] (펌)국민의당 김영환, "'여론조사 맞지 않는 선거' 가능성 높다" [39] 자전거도둑6460 17/04/28 6460
2514 [일반] 문재인 캠프의 전략, 그리고 단 하나의 실수(?) [24] 클레멘티아6339 17/04/10 6339
1735 [일반] 총선 유우머 모음 [38] 피로링8180 16/04/14 8180
1632 [일반] 이미 총선 이후 일들만 생각하게되네요 [1] 능숙한문제해결사2113 16/04/13 2113
1620 [일반] [완결][여론조사 정리 시리즈 8.서울] [31] BIFROST9130 16/04/13 9130
1615 [일반] 내일 관심있게 볼 이슈는 뭐가 있을까요? [38] 이진아3836 16/04/12 3836
1532 [일반] 안철수에 대한 평가 [74] 에버그린5946 16/04/09 5946
1524 [일반] 더민주 지지자들에겐 최악의 시나리오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61] 에버그린7594 16/04/09 7594
1519 [일반] 약 빨은 CG에 스토리를 가미하다 - SBS 총선방송 그래픽이 공개되었습니다. [23] Alan_Baxter5210 16/04/08 5210
1444 [일반] '문재인 대선후보 지지유세' 영상 튼 안철수 [57] 로빈5673 16/04/05 5673
1287 [일반] 안철수 "노원병 지역구 선거, 후보 연대 없이 정면돌파" [139] 에버그린7090 16/03/29 7090
1238 [일반] 더민주 홍영표 “국민의당, 당명 빼고 단일화 여론조사하자고 했다” [17] 에버그린5197 16/03/26 5197
1181 [일반] 서울 7개구 지역 KBS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64] 미뉴잇7343 16/03/23 7343
1097 [일반] 노원병 안철수 vs 이준석 vs 황창화 확정 [15] 에버그린5971 16/03/19 5971
1087 [일반] 1여 다야 구도의 실체 [13] 바밥밥바2981 16/03/18 2981
1073 [일반] 안철수, 천정배, 김한길 국민의당 트로이카의 현재 상황 [36] 에버그린5859 16/03/17 5859
968 [일반] 안철수 "내가 이준석과 접전? 평일 낮 조사 때문" [29] H.B.K5901 16/03/06 59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