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9/05/01 14:06:52
Name 초원의빛
Subject 축구에서 홈-어웨이가 경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가 뭘까요?
홈-어웨이 방식으로 치뤄지는 챔스 토너먼트를 보면

보통 홈팀이 어웨이팀보다 전력이 낫거나 비등하다고 판단될 경우 어웨이팀들이 수비위주의 작전을 구사하는 경우가 많죠.

이번 첼시-바르샤전이 그런 양상을 극명하게 드러낸거 같고요.. 첼시정도의 팀이 누캄프에서 극도의 수비전략을 선택해 0-0을 환상의 결과

라고 만족할만큼 말입니다.

그만큼 어웨이 경기를 치르는 팀은 무승부만 해도 본전이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원정경기가 홈경기에 비해 힘들기 때문일텐데요.

실제 경기 결과에서도 홈팀이 승리를 거두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구요..

제가 축구나 스포츠를 잘 아는편은 아니지만 축구는 어떤 타 스포츠에 비해서도 홈-어웨이가 승패에 미치는 영향이 큰 거 같습니다.

야구와 비교하자면 야구에서도 홈팀이 분명 잇점을 가지긴하지만 홈에서 성적이 오히려 안좋은 팀도 간혹있고 축구만큼 원정팀이 홈팀에

비해 불리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으니까 말이죠.

만일 월드컵처럼 축구경기시 대륙간 이동을 해서 시차,기후문제등이 발생한다든지 한다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지만 같은 유럽무대,심지어 같

은 나라 더비경기에서도 홈팀이 원정팀에 비해 유리하지 않습니까.. 같은 규격 비슷한 잔디에서 경기를 한다는 점에서 경기내부적인 요소에

는 큰 차이가 없을텐데 왜 그럴지 그 이유가 궁금해지네요 ^^;

물론 상식적으로 관중의 응원이라든지 익숙함의 문제,이동시의 피로문제등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이런 요소들이 챔스에서 보여지듯 승패,경기 운영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정도로 큰 영향력을 발휘할까요?

축구에서 홈-어웨이간의 유불리를 결정짓는 큰 이유들이 뭐가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9/05/01 14:11
수정 아이콘
2002년월드컵의 한국이면 꽤 많은 부분이 설명되지않을까 생각되네요.
Old Trafford
09/05/01 14:13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익숙한 경기장이죠 축구장 규격도 분명 다 다르고요 예전의 아스날의 홈구장이였던 하이버리의 경우에는 엄청났고요
잔디의 상태도 많는 경기를 치루었던 곳이니 만큼 적응도 되어있고요 잔디의 길이와 땅의 질퍽거림들 킥하는것에 대해서 많은 차이를 가져오죠 예전에 02년 월드컵때도 경기때마다 우리선수들에 맞게 물도 뿌리고 잔디도 깎고 했으니깐요
홈팬들의 응원이야 말로 절대적이죠 3-4만 관중과 7-8만의 관중은 엄청난 차이니까요
개도 자기집에서는 반은 먹고 들어간다고 하니깐요
야구하고는 개념이 많이 다르죠 야구는 투수와 타자의 1:1 승부이고요 축구는 11:11 이잖아요
라이시륜
09/05/01 14:14
수정 아이콘
2008년인가 2006년인가 이후에 지은 구장들은 A매치를 개최하기 위해서는 FIFA가 규정한 정확한 크기로 구장을 지어야 한다는 규정이 새로 생겼습니다. 대부분 구장이 현재는 이 규격에 맞춰서 짓고 있습니다(굳이 A매치 개최를 '못'하게 만들 필요는 없으니까요).

다만 그 전에 지은 구장들은 크기 차이가 조금씩 납니다. 사이드가 수십미터씩 차이나고 그런건 아니지만 3~5m 가량 작거나 크거나 합니다. 실제로 하이버리는 좀 작았었죠.

그 정도 작은 차이인데 프로들 사이에서는 엄청 크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09/05/01 14:17
수정 아이콘
라이시륜님// 공간을 충분히 만들정도의 차이니까요.
MoreThanAir
09/05/01 14:18
수정 아이콘
모든 피지컬 스포츠도 멘탈을 바탕으로 합니다. FM 게임상에서도 누가 실험을 했죠. 피지컬을 막장으로 만들어놓은 선수들과 멘탈을 막장으로 만든 선수들을 붙였더니 피지컬 떨어지는 팀이 압도적으로 이겼죠. 또 어떤 실험에서 홈에서 경기를 할 때 테스토스테론이 증가한다는 결과도 본 것 같군요. 아무래도 사람이 하는 경기이다 보니 멘탈적인 면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09/05/01 14:20
수정 아이콘
챔스 토너먼트같은 경우는 만약 1차전을 어웨이에서 치르는 팀이라면 2차전이 홈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승부의 추를 2차전 쪽에 비중을 둡니다. 최대한 1차전은 수비적으로 임하면서 지더라도 실점을 적게 하는 쪽으로 전술을 짜고 2차전에선 공격적으로 전술을 짜죠. 일례로 이번의 첼시-바르샤 전을 들 수 있겠습니다.
리그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팀이 항상 최고 수준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는 없기 때문에 비교적 조금이나마 자신에게 유리한 홈에서 경기할 경우 베스트 11을 짜서 승점 3점을 따기 위한 경기를 하고, 어웨이일 경우는 로테이션을 돌리거나 전술도 적극적인 체력 소모는 줄이도록 수비적인 전술을 선택하게 되죠. 이처럼 어웨이팀은 실제 실력차 이상으로 수세에 몰리는 경기 운영을 의도적으로 선택하게 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홈-어웨이의 차이가 실제로는 그렇게 크지는 않다는 거지요. 리그 막바지에 급박한 상황에 몰린 팀들의 경우는 어웨이에서도 맞불을 놓는 전술을 짜서 승리를 거두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2002 월드컵 같은 경우 우리가 좋은 성적을 거둔 이유는 홈 어드밴티지를 일부 받았다는 걸 꼽을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월드컵 열리기 전에 몇달동안 합숙 훈련하면서 조직력을 극도로 다져왔던 게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 과정이 없었으면 홈이거나 말거나 조별 리그 탈락이죠.
또 실력차가 비등비등한 팀일 경우는 홈-어웨이의 여부가 꽤 큰 영향을 줄 수 있겠습니다만 실력차가 나는 팀간의 경우는 홈-어웨이가 별 큰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맨유와 웨스트브롬이 경기를 할 경우 웨스트브롬은 홈-어웨이의 여부에 관계없이 수세적인 전술을 펼 가능성이 많으므로 이변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09/05/01 14:21
수정 아이콘
일단 홈구장 잔디 상태 등이 곳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은데, 이는 많이 경기를 치루는 홈팀에게 익숙함에서 우위를 줍니다.
또한 그라운드의 크기도 정해진 규격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구장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예전 아스날의 홈이었던 하이버리같은 경우는 그라운드 자체가 작은 편이었기 때문에
짧은 패스 위주로 빠르고 세밀하게 몰아치는 아스날 스타일의 공격을 극대화시켰었습니다.

또한 관중의 응원 같은 경우도 원정팀에게 여러모로 영향을 끼칩니다. 환호성과 야유는 홈팀에 힘을 주고,
원정팀 선수들을 위축시킵니다. 유럽축구의 경우 대부분 축구전용구장인데다가 관중석과 그라운드의 거리가 아주
가깝기 때문에 이런 심리적인 힘을 얻고 위축되고 하는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공을 잡을때마다 몇미터 뒤에서 수천명이 야유를 보내는 소리가 들린다고 생각해 보세요.
또한 이런 극도의 분위기 차이는 심판 판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선수들이나 코칭스태프들이 기본적으로 홈에서는 아주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는 반면,
원정에서는 안정감있게 선 수비 전술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홈팬들에게 무기력한 경기를 보여줄 순 없으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보다 적극적으로 많이 뛰어다니는 홈팀의 경기력이 더 좋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Old Trafford
09/05/01 14:24
수정 아이콘
pioren님// 유럽축구라고 전부 전용구장은 아닙니다.
라리가와 EPL 만 전부 전용구장이고 세리아 A는 전용구장 아닌곳이 엄청많죠
09/05/01 14:28
수정 아이콘
얼래. 제가 왜 전부라고 쓴거죠 ^^;;; 수정
09/05/01 14:49
수정 아이콘
홈팬의 응원, 구장의 크기, 잔디상태등을 들수 있는데
사실 이것으로 홈팀의 승률을 설명하기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야구같은것은 찰나의 스포츠이기떄문에 몇초만 정신 똑바로 차리면 아무 문제 없는데
축구는 90분동안 집중해야 되는 스포츠이기 때문이 아닐까요?
다른 말로 야구는 트레이드나 FA가 되도 적응문제는 별로 생각안하는데, 축구는 같은 리그간에 이적이라도 적응문제가 더 있는걸로 보면..
09/05/01 14:59
수정 아이콘
똥줄님// 홈어웨이의 차이를 최소로 줄여서 말하자면,
스타에서 일꾼수 한두기조절의 감각을 느끼는 정도입니다.
고수,강팀들사이에서는 엄청나죠.
초원의빛
09/05/01 15:23
수정 아이콘
질문글을 올린지 얼마 안됐지만 충분한 답변을 얻은거 같네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09/05/02 05:15
수정 아이콘
팬분들의 응원이 가장 크지않나싶습니다. 선수들도 가끔 말합니다만 응원이 차이가 나면 응원단들의 응원, 기랄지를 받는다고 하죠.
대학축구도 비슷할걸요. 축구가 도드라지는 이유는 그 팬분들의 숫자와 규모에 있지않나싶네요.
09/05/03 11:1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재미있는것은요 약팀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홈성적이 떨어지고 원정경기성적이 좋은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안좋은 성적에 대한 약팀들의 홈팀응원에 대한 부담이 아닐까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90703
163976 야구 질문입니다 [6] 一切唯心造75263 13/04/03 75263
163975 이런 계산이 가능한가요? [5] 시미군92202 13/04/03 92202
163974 4월말-5월초에 입고 나가기 좋은 스타일 어디서 볼 수 있나요? [2] 자음연타좀73984 13/04/03 73984
163951 쿼티폰 추천부탁드립니다 [11] 천둥63893 13/04/03 63893
163950 요즘 할만한 게임 뭐가 있나요? [10] 목화씨내놔68765 13/04/03 68765
163949 bm코드 짚기가 너무 어려운데 어떻게 하셨나요? [12] 뽀로로75367 13/04/03 75367
163948 여행사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4] 소녀시대컴백59037 13/04/03 59037
163947 세들어사는집을 비워둔 상태인데 수도요금은 계속 내야하는건가요 ? [18] Ha.록74214 13/04/03 74214
163946 이렇게 하면 살을 얼마나 뺄 수 있을까요? [10] 연애박사71044 13/04/03 71044
163945 lol이 중고등학생 친목용 게임으론 최고인 것 같지만... [34] 창이95872 13/04/03 95872
163943 변 질문 ......... [1] 피지컬보단 멘탈57986 13/04/03 57986
163942 혹시 서울 재즈 페스티벌 가려고 계획하시는분 있으세요?! [5] Nujnah_Eab55852 13/04/03 55852
163941 류현진선수 대뷔전 [6] 가게두어라61448 13/04/03 61448
163940 노트북이 맛이 갔습니다. [1] 시지프스57838 13/04/03 57838
163939 축구 룰 질문드립니다 - 홈 & 어웨이 방식 [5] Dwyane56069 13/04/03 56069
163938 니달리와 트포에 대해서. [8] 자기 사랑 둘60200 13/04/03 60200
163937 [퍼드]60랭 진로조언+인벤 활용법좀 [5] 이즈리얼54377 13/04/03 54377
163935 악성코드 이건 어떤 프로그램이 좋나요?? [3] 김치찌개57112 13/04/03 57112
163934 경제 문제 하나 여쭤보고 싶습니다 [2] 643634632656702 13/04/03 56702
163931 미국 학생비자 질문드려요... [3] 神용재56994 13/04/03 56994
163930 발음과 발성은 후천적으로 고칠수 없나요? [12] H266280 13/04/03 66280
163929 저가형 헤드폰 하나 추천해주시겠어요? [3] azurespace52028 13/04/03 520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