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0/17 15:05
TR은 트랜지스터로, 간단히 말하면 스위칭 소자가 되겠습니다. 0이나 1이냐를 전류가 많이 흐르냐 적게 흐르냐를 가지고 판단합니다.
그럼 이 트랜지스터에는 종류가 있겠죠. FET-field effect Transistor, TFT-thin film transistor가 대표적인 TR입니다. 물론 bipolar TR라던지 더 있습니다만 대표적으로는 위에 2가지가 있죠. FET나 TFT의 구동방식은 같습니다만 기판위에 반도체 층(일반적으로 TR이 되려면 반도체-절연체-금속의 구조를 가져야 합니다. )을 새로 만드느냐, 아니면 기존의 실리콘 기판을 쓰느냐에 따라서 갈립니다. 일반적인 실린콘 베이스의 FET는 600~800 두께를 가진 실리콘 기판 위에 만들어지지만, TFT는 10~100나노의 반도체층을 쌓아만듭니다. 그럼 무엇이 가장 큰 차이점이냐 한다면, 실리콘 베이스의 FET는 투명하지 않다보니, 투명소자를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죠. 또한 flexible한 소자도 힘듭니다. 하지만 IGZO와 같은 투명한 반도체 층을 쓴다면 투명한 소자를 만들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기판을 쓴다면 flexible한 소자의 제작도 가능하지요. FET의 종류나 TFT의 종류, 구동방식을 여기에 쓰기에는 무리기에 인터넷에서 조사해보시기 바랍니다.
11/10/17 15:07
큰 줄기라면 FET는 전압제어, 보통 TR이라 부르는 PNP, NPN은 전류제어로 알고 있습니다.
전자전공을 하긴 했지만 전자회로쪽으로는 본지 오래되어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어려울 것 같아요..
11/10/17 15:14
1. Transistor란 (두 종류의 반도체, 곧 N형과 P형의) 반도체를 이용해 3개의 극을 갖도록 만든 물체(N-P-N 혹은 P-N-P, 두 종류가 가능합니다)로 중간극에 가한 전압 혹은 전류가 양극 간의 전류나 전압에 영향(통상 증폭)을 준다는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증폭이 되는 원리는 간단히 생각하면 3극 진공관과 비슷합니다. (물론 세부적인 사항에 있어서는 많이 다릅니다.)
참고) 중간극이 없으면, 즉 2극(N-P)이면 diode라고 부릅니다. 2극 진공관과 마찬가지로 한쪽 방향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하기에 정류 등에 사용합니다. 2. Transistor는 그 구조에 따라 다시 BJT(bipolar-junction transistor), FET 등으로 나눕니다. FET는 간단히 말해 반도체 표면의 성질을 이용하여 만드는 것입니다. 즉, 중간극(FET에서는 grid라 부릅니다)에 전압을 가하면 그에 인접한 반도체의 표면에 전계효과(field-effect)가 나타나는데, 이는 해당 부분의 저항을 변화시켜서 결국 양극간의 전류에 영향(증폭)을 주게 됩니다. 3. FET의 종류에는 MOSFET, HEMT 등이 있고, MOSFET에는 다시 NMOSFET, PMOSFET 과 (NMOSFET과 PMOSFET을 모두 사용하는) CMOSFET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정적 상태에서 전류의 흐름이 거의 없는 CMOS가 현재의 대세입니다만, 앞에 분들이 쓰신 대로 응용에 따라 여러 종류의 transistor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