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1/07/30 01:03:16
Name XellOsisM
Subject MBC GAME과 함께 했던 추억들.

어린 시절 TV를 켜보니 즐겨하던 게임이 나오고 있었습니다.
신기하기도 했고 게임으로 무슨 방송을 하냐며 어이없어 했던 기억도 납니다.
누구와 누가 경기를 하는지도 몰랐지만, 중계진의 열정적인 모습에 압도당해 조용히 시청했습니다.
이것이 첫 MBC GAME, 그리고 제가 이 판에 첫 발을 내딘 순간입니다.


폭풍처럼 흘러간 지난 밤에 잠을 청하기 위해 누워 내가 PGR에 어떻게 오게 되었을까?
라고 생각하면서 기억을 하나둘씩 더듬고 또 거슬러 올라가기에 이르렀습니다.
근 7-8년이라는 시간동안 함께 해왔던 방송이였습니다.
그때 그 시절, 스튜디오라고 부르기엔 초라한 컴퓨터 2대 딸랑 있던 그 곳.
노란색 빨간색, 지금 보기에는 촌스러워 보일만한 옷을 입고 마주 앉는 두 선수들.
지금은 보기 힘들 잔뜩 긴장한 중계진들.
그렇게 시작된 제 스타크래프트 시청의 추억들입니다.


너무나도 많은 기억과 추억들이 제 머릿속에 존재하겠지만,
이젠 그마저도 기를 쓰고 생각하지 않으면 떠올리기조차 버겁습니다.
그렇게 열정적으로 응원하던 이 판에 내가 언제부터 이렇게 애정이 식었나 하며 헛웃음이 나오기도 합니다.





아직도 기억합니다.
알록달록 색동옷 같은 유니폼을 입고 모니터를 뚫어져라 쳐다보던 수많은 선수들.
모두가 인정한 황제, 폭풍이라 불리던 선수.
앳된 얼굴이였지만 앞마당만 먹으면 수도 없이 많은 물량으로 모두를 압도한 선수. 그래서 조금 싫어했던 선수.
쉴새없이 휴지로 콧물을 닦아내며 경기에 몰두하던 꽃밭토스, 이름때문에 기억한 그 선수, 그리고 그가 정점에 오르던 그 날.
압도적인 물량, 미칠듯한 수비, 강한 인상, 절대자라 불려도 부족함이 없는 치터라고 불리던 선수.
본좌라고 불렸던 누군가로부터 혁명을 일으킨 선수.
택뱅리쌍의 시대.
그리고 지금까지...


해외에서 새벽같이 일어나 본방사수하게 만들었던,
오늘은 누가 올킬을 할 것인가 기대하게 만들던 팀리그 그리고 프로리그.
그 속에서 탄생한 수 많은 이야기들.


선수들의 닉네임만큼이나 치열하고 화려했던 플레이와 엄지손가락 치켜세워주고 싶던 연출.
하지만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몰락으로 슬픈 프라임이라고 불리던 워크래프트3 리그.


철권을 전혀 몰랐지만, 그저 보는 것만으로도 즐거웠던 텍켄크래쉬.


챙겨보진 않았지만, 볼때마다 소소하거나 빵빵 터트리는 웃음을 안겨줬던 스무도.
기타 모든 프로그램들.


지영훈선수가 헤드셋 거꾸로 써서 웃음을 참으려 애쓰던 중계진.
아크메이지! 아크메이지! 소리지르던 이현주캐스터.
우주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라고 말하던 김동준해설.
아프실때 같이 아팠고, 돌아오실때 같이 기뻐했던 KCM캐스터.
언제나 차분하게 중계하던 이승원해설.
강민, 유대현, 임성춘, 한승엽, 정인호, 서경종해설까지.





이 오랜 시간동안 함께했던 모든 것들이 사라질 위기에 봉착하니 착잡한 마음이 듭니다.
기억을 거슬러 올라가면 갈수록 이렇게도 소중한 추억들을 안겨줬는데
정작 제 자신은 이렇게 앉아서 추억을 곱씹을수 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어떻게 흘러가게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현실에 치여 조금씩 멀리했고 어느덧 관심밖에 두었던 이스포츠.
저 같은 사람때문에 지금의 일이 생긴게 아닐까하고 자책도 합니다.
힘이 없기에 그냥 지켜만 봐야 될지 모르지만...
또 조금 이기적이지만 끝이 아니기를 빌어봅니다.





"리콜~~~~~!!!!!!! 우와아아아~!!!!"
"마엘스트롬, 마엘스트롬. 사이오닉 스톰!!!!"
"여러분은 왜 프로토스를 시작하셨습니까?!!!"
"GG~!!!"



누군가에게는 애들 장난 같은 방송.
누군가에게는 삶의 활력소 같은 방송.
누군가에게는 모든 것인 방송.
..이였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떤일이 있어도 언제나 멀리서나마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오타, 표현 등 잘못된 부분에 대한 지적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



PS) 겜게에 어떠한 글도 쓰지 않겠다고 다짐했는데 그럴수가 없네요. 부족한 필력으로 인해 몇 번이나 퇴고를 했지만 부끄럽습니다.
근 5년만에 써보네요. 이스포츠의 미래나 방향성 같은 주제도 좋지만, 그냥 엠겜이 준 추억들에 대해서 같이 이야기 해보고 싶었습니다.
아직 끝이 아닌데 끝인것 처럼 글을 써서 불쾌함을 드렸다면 죄송합니다.


* OrBef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1-08-01 23:0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업매직
11/07/30 01:09
수정 아이콘
이유 없이 게임 채널 틀어놓는 저에겐 지옥 같은 미래네요.. ㅠㅠ.
Since1999
11/07/30 01:12
수정 아이콘
전 MSL은 당연하고
스무도가 정말 아쉽네요.
거의 방송초기 부터 보다가 군대가서 잠시 잊고 지냈고....
제대하고 처음 봤던 스무도 임요환 선수편이 너무 재밌어서 다시보게 되었는데...
케이블에서 거의 없는 200회 300회까지 왔는데...방송국이 사라진다니
박상현 캐스터에게 싸인도 받았는데...
박상현 캐스터의 특유의 개그를 이제 볼 수 없다니요.
열혈남아T
11/07/30 01:13
수정 아이콘
엠겜을 살려주세요........................... 제발
쎌라비
11/07/30 01:15
수정 아이콘
참 재밌어서 남들도 알아줬으면 하는데 말이에요.
11/07/30 01:15
수정 아이콘
추억이라고 표현하니 벌써 과거가 되어버려서 슬퍼지네요
스웨트
11/07/30 01:22
수정 아이콘
여러분들은 왜 프로토스를 하십니까? 라고 물으면
하드코어 질럿러쉬가 너무 좋기때문에!!! GG!!!!

이젠 추억속의 그 대사가 아직도 내 귓가에 맴돈다

앞으로 더 수없이 나올 이와 맞먹는 명대사들
그러나 이젠 그 대사들은 존재할수 없겟지.. 대사들이 있어야할 집이 사라지니까...

내 엠겜.. 아니 우리엠겜ㅠ 살려줘요.. 버리지말아줘요..ㅠㅠ
노리플라이
11/07/30 01:39
수정 아이콘
하아.. 투싼 개그오프닝의 팀리그.. 워3 프라임리그.. 등등 정말 아끼는 프로그램이 많았는데요.. 이렇게 보내야 하나요 정말 슬프네요
11/07/30 01:46
수정 아이콘
서경종 해설이 빠진 것이 아쉽습니다...
11/07/30 01:46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저는 mbc게임과 더 많은 추억을 만들어나갈 수 있을 거라고 믿습니다

조금의 희망이라도 있다면 그 희망을 믿어야죠
The Pooh
11/07/30 01:59
수정 아이콘
프라임리그도, 팀리그 통합, 온풍기도 이겨냈는데..
'이정도 쯤이야..'하고 별일 아닌듯 지나가버렸으면 좋겠습니다.
XellOsisM
11/07/30 02:03
수정 아이콘
분위기가 이별을 준비하는 것으로 보여 죄송스럽습니다.
단지 지난날을 기억하면서 좋은 결과로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이였습니다.
택신사랑
11/07/30 03:59
수정 아이콘
솔직히 거의 확정이라고 보는게 맞을겁니다. 전 정말 엠에셀좋아했는데... 사라진다는 밀을 듣고 너무나 섭섭해서 오늘 스타도 그다지 큰 관심이 안가더군요. 우리가 노력해온 십여년의 이스포츠 중흥이 이렇게 무너질줄이야... 매우 슬픕니다..
the hive
11/07/30 10:06
수정 아이콘
프라임리그도, 팀리그 통합, 온풍기도 이겨냈는데..
'이정도 쯤이야..'하고 별일 아닌듯 지나가버렸으면 좋겠습니다(2)
이종범
11/07/30 13:44
수정 아이콘
치어풀 공모전에서 입상해서 첫 MP3를 선물해준....

MBCGAME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해 ㅠ
11/08/02 09:35
수정 아이콘
잊지 못할 할루시네이션 리콜..
다리기
11/08/03 02:46
수정 아이콘
"이렇게, 광범위한, 마엘스트롬을, 보신적이, 있으십니까!!!! 쥐쥐!!!!!!!!!!!!!!"

엠겜으로 스타를 보기 시작했는데.. 정말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하아
11/08/03 17:48
수정 아이콘
"여러분들은 왜 프로토스를 시작하셨습니까."

해설만으로 저에게 눈물을 찔끔거리게 만든 분은 이승원 해설 한 분입니다. 오래오래 보고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23 대다수 네티즌을 위한 인터넷 보안 가이드 [47] Kivol10200 11/07/30 10200
922 MBC GAME과 함께 했던 추억들. [19] XellOsisM7174 11/07/30 7174
921 남한산성 이후 - 1. 해가 빛이 없다(日色無光) [63] 눈시BB6266 11/07/29 6266
920 '제가 슈마지오때부터 팬이었는데.....' [34] survivor11953 11/07/25 11953
919 [넋두리] 나는 시소 타는 직장인 [29] Artemis8847 11/07/19 8847
918 죄수의 딜레마. [26] Love&Hate13560 11/07/18 13560
916 다승왕을 정확히 이해하기. [57] 절름발이이리11271 11/07/14 11271
915 2ch-오유 펌) 이모가 돌아가셨다. [11] 부끄러운줄알아야지12182 11/07/12 12182
914 스마트폰 요금제 알아보기 [50] Nihil15573 11/07/10 15573
913 홍진호에 관한 마지막 잡설. [35] becker13717 11/06/24 13717
912 [Review] 진정한 철벽을 보여주었던 S급 테저전(김민철vs이신형) [10] 이성은이망극10335 11/06/16 10335
911 안녕, 홍진호. [32] becker10854 11/06/18 10854
905 4할타자 [23] 코세워다크23411 09/12/19 23411
902 <통계로 보는 PGR> 10월. (2) 분야별 분석 [59] Ms. Anscombe8895 09/11/18 8895
900 <통계로 보는 PGR> 10월. (1) 전체적 조망 [29] Ms. Anscombe9112 09/11/15 9112
899 클래스는 영원하다 (BGM) [38] 귀염둥이 악당16564 09/10/31 16564
898 스타리그 2000 매치 기념 짤방 원본 [29] Alan_Baxter15274 09/10/29 15274
897 부산오뎅 갖고 당진으로 [22] 굿바이레이캬12695 09/11/03 12695
896 라이터가 없다. [13] kapH11391 09/11/03 11391
893 스타리그 10주년 기념 특별기획 - 90 페이지에 담은 10년의 기록 [120] Alan_Baxter15161 09/10/02 15161
889 [L.O.T.의 쉬어가기] 대통령께 '보낼' 글 全文 [18] Love.of.Tears.11039 09/09/24 11039
888 [인증해피] 슬램덩크 캐릭터 신발 정리 1편. 북산고교. [60] 해피20643 09/09/20 20643
887 바둑을 두지 않고 바둑을 즐기는 법 - 바둑을 모르는 분들을 위한 바둑 강좌 [56] 디미네이트16320 09/08/25 163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