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9/03/07 02:19:58
Name 러브포보아
Subject 러브포보아의 09년 3월 초보를 위한 컴퓨터 추천견적입니다~!!
안녕하세요~
러브포보아입니다~!!
벌써 또 3월이 시작되고 저도 어느덧 4학년이 되었네요.
취업과 대학원진학을 동시에 준비하려니 이리저리 바쁘단 핑계로 그동안 글을 많이 못올렸네요~
죄송하다는 말씀과 함께 특별히 시간을 내서 09년 3월 견적을 한번 내드리겠습니다~!!

먼저 말씀드릴것은 추천견적이므로, 참고만 하시고 선택은 여러분이 직접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추천한 품목과 저는 어떠한 연결고리도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4월경에 인텔과 AMD쪽에서 새모델의 CPU가 등장하고
ATI에서도 새로운 VGA가 나올 예정입니다만 여기서는 그것들을 제외하고 적도록 하겠습니다.

CPU 메인보드 VGA만 가격대별로 따로 적어드리고
램 HDD ODD 파워는 밑에 따로 추천부품을 적어드리겠습니다.
같은 용도로써의 AMD용과 인텔용을 따로 적어드리고 VGA는 엔비디아와ATI 따로 적어드리겠습니다

-사무용 초저가형-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5200+ 정품  88,000
ASRock A780LM 디앤디컴 81,000
VGA 내장형이므로 없음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5200 정품 103,000
ASRock G31M-S 에즈윈 63,000
VGA 내장형이므로 없음


-사무용 및 동영상 감상 및 간단한 게임용 저가형-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5200+ 정품  88,000
MSI K9A2 Neo2 웨이코스 88,000
XFX 라데온 HD 4350 D2 512MB LP Rextech 56,000 or 이엠텍 지포스 9400GT HV 알찬놈 DDR2 512MB 67,000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5200 정품 103,000
ASRock P43DE 디앤디컴 101,000
XFX 라데온 HD 4350 D2 512MB LP Rextech 56,000 or 이엠텍 지포스 9400GT HV 알찬놈 DDR2 512MB 67,000


-서든이나 스포와 같은 중사양 게임용-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5600+ 정품 103,000
MSI K9A2 Neo2 웨이코스 88,000
HIS 라데온 HD 4670 IceQ DDR3 512MB 120,000 or Rextech 지포스 9500GT 블랙라벨 D3 256MB 쿨러마스터 87,000  

인텔 펜티엄 울프데일 E5300 정품 120,000
ASRock P43DE 디앤디컴 101,000
HIS 라데온 HD 4670 IceQ DDR3 512MB 120,000 or Rextech 지포스 9500GT 블랙라벨 D3 256MB 쿨러마스터 87,000  


-AVA나 아이온 프리우스와 같은 중사양 3D게임용-
AMD 페넘II-X3 헤카 710 정품 194,000
GIGABYTE GA-MA770-UD3 AM3 130,000
XFX 라데온 HD 4830 D3 512MB Rextech 179,000 or Rextech 지포스 9800GT 블랙라벨 ST 512MB 쿨러마스터179,000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7400 정품 180,000
GIGABYTE GA-EP43-UD3L 153,000
XFX 라데온 HD 4830 D3 512MB Rextech 179,000 or Rextech 지포스 9800GT 블랙라벨 ST 512MB 쿨러마스터179,000

-와우 or 크라이시스 F.E.A.R 등과 같은 고사양 게임용-
AMD 페넘II-X4 데네브 810 정품 277,000
GIGABYTE GA-MA770-UD3 AM3 130,000
HIS 라데온 HD 4850 IceQ4 512MB 242,000 or XFX 지포스 9800GTX+ TripleX 512MB 254,000

인텔 코어2듀오 울프데일 E8400 정품 259,000
ASUS P5Q 아이보라 175,000
HIS 라데온 HD 4850 IceQ4 512MB 242,000 or XFX 지포스 9800GTX+ TripleX 512MB 254,000


-하이엔드 유저를 위한 초고사양게임용-
AMD 페넘II-X4 데네브 940 Black Edition 정품 353,000
ASUS M4A79T Deluxe 디지탈그린텍 350,000
HIS 라데온 HD 4870 IceQ4+ 1GB 416,000 or 이엠텍 지포스 GTX260 XENON 珍(보배진) 216SP Over 896MB 387,000

인텔 코어2쿼드 요크필드 Q9550 정품  416,000
ASUS P5Q Deluxe 아이보라 282,000
HIS 라데온 HD 4870 IceQ4+ 1GB 416,000 or 이엠텍 지포스 GTX260 XENON 珍(보배진) 216SP Over 896MB 387,000





이제 추가적인 내용을 좀 덧붙이자면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4월쯤 해서 신모델들이 등장합니다.
전 모델들의 가격인하도 당연히 동반되겠지요.
현재 HD4850의 가격인하는 이미 실시 되었는데 국내에는 반영이 안되어있습니다.
반영이된다면 19만원으로 내려갈 것입니다.
HD4870도 가격인하가 되었는데 국내에는 미반영이고 HD4830은 단종되며
HD4890 HD4750 두 모델이 새로이 등장할 예정이며

CPU쪽에서도 인텔이 Q8400을 출시하면서 쿼드코어 라인의 단종과 가격인하가 있을 예정입니다.
AMD도 데네브955가 등장하면 데네브920이나 940의 가격인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이 모든것은 4월에 이루어질 것이며 관행상 인텔은 4월20일경의 날짜로 가격인하발표를 하니깐
4월10일이후부터는 가격의 인하가 국내에 이루어집니다.
4월20일에 가격인하를 한다고 해서 19일과 20일의 가격이 확 차이나는게 아니라 20일에 가격인하되는 부분만큼
미리 조금씩 가격인하를 하기 때문입니다.
업그레이드를 하실분 중 그다지 급하지 않으시다면 4월까지 기다리시는 것도 좋은 방편입니다.




이제 나머지 부품들에 대해서 추천부품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RAM-
삼성 DDR2 1G PC2-6400U CL6  13,600
삼성 DDR2 2G PC2-6400 (정품) 27,900
EKMEMORY DDR2 2G PC2-6400 블랙 31,000
G.SKILL DDR2 2G PC2-6400 PK (1Gx2) 티뮤 53,000

램은 2기가를 하시든 4기가를 하시든 항상 용량과 속도가 같은걸 짝수개로 사셔야 하며 특별히 오버클럭을 안하실꺼면
삼성램은 추천하며 EK메모리를 쓰셔도 됩니다.
밑에 지스킬 램은 오버클럭용인데 다소 저렴한 편으로 나온 모델로 오버클럭을 안하시는 유저들도 한번쯤은 써볼만하다고 생각되서
소개는 해드립니다만, 싸게싸게 하시려면 역시 삼성으로......


-ODD-
삼성 Super-WriteMaster SH-S223Q  25,850
LG Super-Multi GH-22LS30 28,000

ODD는 이 둘중에서 아무거나 사셔도 무방합니다.
최근에 잘 사용하지 않기도 하기에 그다지 중요한 부품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엘지모델은 블랙밖에 없고 삼성은 화이트 블랙 둘 다 있네요.
기술면에서도 그다지 큰 차이는 없구요.
마음에 드시는 브랜드 껄로 사셔도 됩니다.

-HDD-
WD 320GB Caviar Blue WD3200AAKS (SATA2/7200/16M)  75,000
삼성 320GB Spinpoint F1 HD322HJ/DOM (SATA2/7200/16M)  81,000
WD 640GB Caviar Blue WD6400AAKS (SATA2/7200/16M) 99,150
삼성 640GB Spinpoint F1 HD642JJ/DOM (SATA2/7200/16M) 113,000

HDD는 ODD와 함께 다른부품과의 조합을 생각안하셔도 되므로
다른부품이 고가라고 해서 꼭 HDD도 고가를 쓸 이유가 없습니다.
마음에 드시는 용량으로 사시면 되기 때문입니다.
WD가 가장 저렴하고 성능또한 무난하니 가장 많은 판매수를 기록하고 있구요.
삼성은 약간 비싸기는 해도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꾸준히 판매되고 있습니다.
씨게이트는 HDD에서 오류가 발견되는 바람에 많은 사람들이 꺼려하고 있습니다.
HDD는 씨게이트라는 말이 옛말이 된지도 오래되었구요.
WD나 삼성중에서 적당한 용량으로 사시면 현명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파워-
Absolute 천일야화 Green 4500 SV 2.3 43,990
CORE 천궁 4500MX 빙산 Dual V2.2 EK 42,780
스파클텍 EXCELLENT 450 37.300
AONE 태왕 450GW Dual v2.2 43,110

스카이디지탈 파워스테이션2 PS2-450EF 80PLUS  56,000
Heroichi HEC 400SIR  63,400

Enermax MODU82+ EMD425AWT 99,000
시소닉 M12Ⅱ 430W 128,000

차례대로 저가 중가 고가형으로 적어드렸구요.
파워의 용량은 고사양이라고 해도 450정격이면 충분합니다.
고사양의 경우 오버클럭까지 하실거라면 넉넉잡아서 500이면 충분하구요.
크로스파이어나 SLI를 하실꺼라면 파워도 훨씬 커야겠지요.
일반적이라면 450W면 충분하고 저 모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시면 될 꺼 같습니다.





이렇게 추천부품을 올려드렸는데, 참고만 하시고 선택은 여러분이 직접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다음에 다시 시간나면 또 올려드리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010-8495-1220 이 핸드폰으로 문자주시면 되겠습니다^^*
언제나 저의 글을 읽어주시고 관심을 가져주시는 분들께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면서
저는 여기서 물러가도록 하겠습니다.

P.S 언제나 말씀드리지만 전 핸드폰이 2개라서 사생활침해 등등에 대한 우려는 없으니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P.S2 본문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저와 저 위의 추천부품들은 어떠한 연결고리도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Timeless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9-03-10 15:4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taraxia
09/03/07 02:31
수정 아이콘
글 수정 중이시라 언급하기 조심스럽지만 브리즈번 5200+는 단종되었습니다.
글 작성에 참고하시길...
양념반후라이
09/03/07 02:35
수정 아이콘
네할렘과 1366 소켓 마더보드 가격은 언제쯤 떨어질까요?
지금 E6750에 8800GT 쓰고 있는데 가끔 몇몇 3D게임이 버벅거리네요
고사양 게임을 많이 돌리는지라 업글 병에 단단히 걸린것 같습니다 ;;
러브포보아
09/03/07 02:36
수정 아이콘
ataraxia님// 지적감사합니다. 5200이 단종된건 알지만 물량이 하도 많아서 아직까지는 구매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거라고 판단해서 넣었습니다^^*
회전목마
09/03/07 02:37
수정 아이콘
5200이 단종되었으나 한동안은 재고물품이 남아있을겁니다
이번에 새로 출시된 쿠마가 5600정도의 역할을 하지 않을까 싶네요^^
기적의 헤네브! 헤카도 꽤나 쓸만하죠
러브포보아
09/03/07 02:38
수정 아이콘
양념반후라이드반님// 네할렘가격은 안떨어진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AMD측에서 견줄만한 CPU가 없거든요.
보드도 크로스파이어와 SLI모두 지원하는 등 사치의 극을 달리는지라 40만원 이하로는 거의 불가능할 듯 싶네요.
당분간은 말이죠.
그런데 그거 아시나요?
네할렘이나 요크필드 9550이나 게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게이밍때문에 업글을 고사양으로 하실꺼면 요크9550이나 데네브쪽을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네할렘은 가격이...........
09/03/07 02:42
수정 아이콘
와우를 즐기는 유저인데 노스가면서 컴사양이 딸려 고생하고있습니다.
이번에 생각치않은 돈이 들어와 컴을 바꾸려하는데...
"서든이나 스포와 같은 중사양 게임용-" 을 참고로 사면 되는건가요?
회전목마
09/03/07 02:43
수정 아이콘
ADVIA님// 이번 부자왕 패치 이후로 와우도 사양이 꽤 높아졌습니다 중옵정도면 모를까 풀옵을 원하시면 좀더 고급 조합으로 가셔야합니다^^
09/03/07 02:45
수정 아이콘
회전목마님// 답변 감사합니다. 예산 책정이 고민인데요. 1,000,000원 정도면 모니터 괜찮은것까지 살수있을까요?
09/03/07 02:46
수정 아이콘
회전목마님// 아...모니터20인치이상은 않바라구여^^;
양념반후라이
09/03/07 02:47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9550쪽으로 알아봐야 겠네요. 아 그런데 보드가 지원할려나 ㅠ
회전목마
09/03/07 02:48
수정 아이콘
ADVIA님// 작년 12월에 아는형 맞춰줬던 견적이 대략 E8400+9600GT+램 4G 에 24인치 모니터 였거든요?
그게 130만원쯤 했었는데 지금 모니터 20인치로 바꾸고 똑같이 맞추면 100~110만원정도에 되지 않을까 싶네요^^
09/03/07 02:53
수정 아이콘
회전목마님// 얼마전 차사고로 어찌어찌 하다보니 속칭 나이롱 환자가 되어 버렸는데 저쪽보험사에서 합의금으로 80만원을 추가로
지급한다 하더라구요. 이참에 컴바꾸려구요.^^;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러브포보아
09/03/07 02:53
수정 아이콘
양념반후라이드반님// P35도 대부분 9550을 지원합니다. P35나 P45나 사실 그다지 차이가 없거든요.
인텔의 4시리즈 칩셋은 사실 실패작이라고 보는 사람도 많습니다.
지원여부는 그다지 걱정안하셔도 될꺼 같습니다.

ADVIA님// 와우용은 제가 좀 있다가 올려드리겠습니다.

그러면 저는 다시 수정하러 갑니다.
양념반후라이
09/03/07 03:13
수정 아이콘
자꾸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한데 제 보드가 아수스의 P5N-E SLI 인데 아수스 홈피에 가니 Q9550은

드라이버 지원목록에 없네요 쿼드는 Q6700 까지만 나와 있군요. 이런 경우에도 일단 그냥 끼워넣고 보면 되는 건가요 ?
이철순
09/03/07 03:19
수정 아이콘
정말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

pgr 컴퓨터에대한 지식풍부하신분들이 많아서 너무 좋습니다~~
Timeless
09/03/07 03:23
수정 아이콘
오~ 마침 다음 주 중에 친구가 컴퓨터 사야하는 상황인데 이런 글이!!

질문이 있는데, 친구 컴퓨터가 4~5년 된 것이라는데 거기 있는 하드(IDE 방식이겠죠?) 내용을 새 컴퓨터로 옮기려고 합니다. 새 컴퓨터는 SATA 방식일 텐데, 기존 IDE 하드를 연결해서 하드 카피만 하고 버리려고 하는데 가능할까요?^^; 제가 하드웨어에 대해 어중간하게 알아서..

그냥 기존 하드 들고, 용산가서 컴퓨터 맞추면서 복사해달라고 하는 것이 나을까요? 음흠~

일단 좋은 글에 강추합니다!
09/03/07 03:25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혹시 와우용 쪽지로 보내실려고 하셨다면 저도 좀.. 굽신굽신
TheInferno [FAS]
09/03/07 03:25
수정 아이콘
3850 과 4670 중 더 나은 게 뭐냐고 여기저기 물어본적이 있는데 (둘의 가격대는 거의 비슷합니다)
소비전력 절약면에서 4670이 월등하지만
순전히 게임을 위해서라면 3850이 조금 더 좋다고 하구요
4670은 게임은 좀 떨어지지만 전반적인 능력(동영상이나 고해상도그래픽 등...)이 조금 더 좋다고 들었어요
게임을 위해서 컴 맞추실 분들은 참조하세요

근데 게임을 위해서라면 4850이 괴물급 능력을 자랑하니 돈 좀 쓰는게 좋대요 -_-;;
(다른 세계의 물건인 지포스 GTX는 제외 -_-;;)
회전목마
09/03/07 03:30
수정 아이콘
Timeless님// 새 메인보드에도 보통 IDE 포트가 하나쯤은 있습니다 연결해서 자료를 옮기시면 될것 같습니다
TheInferno [FAS]님// 3850이나 4670이나 9600GT나 가격차이가 나는만큼 게임시 성능차이가 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3850보다는 4670이 최신기술이 들어가 있다는 점과 발열과 전력소모에서 이득이라는 장점이 있죠^^
러브포보아
09/03/07 03:34
수정 아이콘
양념반후라이드반님// 찾아보니깐 지원안되는 거 같네요.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서 지원이 가능할 수도 있으니 본사에 전화해서 물어보는 것이 가장 빠르겠습니다.
양념반후라이
09/03/07 03:3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에휴. 씨퓨 업글 할려니 보드가 발목을 잡네요. 미친척하고 그냥 사서 끼워볼까 -_-.
업글병 걸리니 환장하겠군요. 게임 버벅거리는건 짜증나는데 돈은 돈대로 깨지고... ㅠㅠ
사람은 만족할줄 알고 살아야 하는것 같습니다.
러브포보아
09/03/07 03:41
수정 아이콘
Timeless님// 거의 모든 보드에는 IDE포트가 1개는 있습니다. 거기에 하드 1개 연결하시고 S-ATA에 새하드 연결하시면 됩니다.
다만, 복사하실 때의 속도는 IDE방식의 느린속도로 복사되니 시간 좀 걸리실 겁니다.


TheInferno [FAS]님// 정확히 말씀드리면 3850보다는 4670이 발열과 소음, 전력소비면에서 월등히 뛰어납니다.
그리고 동영상재생능력도 좀 더 낫구요.(그래봐야 그다지 못느끼지만요) 저해상도에서는 3850보다도 프레임이 잘나오기도 합니다만
128비트라는 한계때문에 고해상도로 갈수록 3850에 확연히 프레임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GTX260과 GTX280은 이미 4870X2한테 밀린지 오래되었지요.
최근 GTX290 295가 등장해서 다시 최고의 자리를 찾았으나, 다음달에 4890(?)정도로 등장할 놈이 X2로도 나온다면
GTX295도 아성이 무너질듯 합니다.
개인유저가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하이엔드 제품은 4850 or 9800GTX+가 좋다고 생각하구요.
그래도 4850에 한표 더 주고 싶습니다.
러브포보아
09/03/07 03:46
수정 아이콘
양념반후라이드반님// 이참에 업그레이드 하실꺼면 데네브 쪽을 추천해드릴께요.
데네브940이면 Q9550이랑 삐까삐까합니다.
데네브920만 써도 Q9550이랑 큰 차이는 없거든요.
Q9550이 데네브940보다 가격이 한 6~7만원 비싸기도 하구요.
데네브940 + 790칩셋의 메인보드 + HD4850 or HD4870
이정도 조합이면 새로운세상이 열립니다.
양념반후라이
09/03/07 04:03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Ephilis님// 감사합니다. 아악~ 괴로워라.
그동안 AMD는 인텔보다 싸도 그만큼 성능이 떨어진다는 선입견이 있어서 잘 눈에 안 들어왔는데
이 참에 좀 다양하게 알아봐야 할거 같습니다.
맨 처음에는 그래픽 카드만 업글할려고했는데 제 CPU로는 그래픽 카드의 발목을 잡을수 밖에 없어서
CPU를 알아보고 그러고 나니 또 마더보드가 발목을 잡네요.
곧 있으면 Empire Total War 나 War Leaders, Battlestaion:Pacific 같은 게임을 돌려야 하는데 흐흑.ㅠㅠ
러브포보아
09/03/07 04:14
수정 아이콘
양념반후라이드반님// 아무래도 엔포스칩셋을 사용하다보니 바이오스에서도 지원을 안하나보네요.
인텔>AMD 성능에서는 확실히 맞습니다.
인텔>AMD 가격에서도 확실히 맞습니다.

하지만 AMD도 이번에 헤카와 데네브를 출시하면서 성능면에서 격차를 거의 좁혔구요.(네할렘은 제외........)
비슷한 성능, 저렴한 가격으로 승부하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AMD도 좋아합니다.
인텔과 AMD는 회사규모자체가 다르다보니 똑같은 수준을 바라는건 무리가 있겠습니다만
AMD도 제법 좋은 모델들이 많습니다.
星夜舞人
09/03/07 06:07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초저가형도 너무나 스펙이 좋은데요. ^^; 개인적으로 초저가를 한다면 AMD 두얼코어일경우 러브포보아님이 맞지만 싱글코어로 눈을 돌리신다면 저전력 샘프론 LE시리즈 (4만원대)도 괜찮을겁니다. 그리고 보드는 PCCHIPS A15G정도로 하시면 파워(300W)와 케이스와 2G 메모리 그리고 320기가 하드와 ODD하면 18에서 19만원정도에 장만하실수 있을겁니다. Intel의 경우 CPU는 셀레론 E1200 (이것도 6만원대 정도이긴 헌데, 캐나다에서 이게 환난이전에 한국돈으로 2만원대까지 떨어진적이 있습니다.)시리즈와 보드는 PCCHIP P35G정도 하시면 역시 18-19만원정도에 컴하나 뽑습니다. 하지만 제가 언급한건 그야말로 초초저가고 컴에 자신이 없으신분들은 러브포보아님이 윗글에 언급한 스팩이 괜찮은 컴한대 사는데 정답에 가까운 선택으로 봅니다.
星夜舞人
09/03/07 06:40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중사양 게임용용에서 AMD 시퓨는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5600쪽보다는 가격대가 거의 엇비슷한 퀘드인 AMD 페놈 9500 혹은 AMD 애슬론64-X2 쿠마 7750 Black Edition 정품 (쿠마쪽은 그닥 크게 차이는 없지만, 0904주차는 복권확율로 퀘드로 변한다는 잇점이 있기에) 쪽이 낫지 않나요? 제가 사는 곳에선 AMD 애슬론64-X2 브리즈번 5600과 퀘드인 AMD 페놈 9500의 가격차이가 한국돈으로 2만원정도밖에 차이가 안나서요. 아 방금 다나와 가격 찾아봤는데 9500은 팔지도 않는군요. 이상하네요.
러브포보아
09/03/07 08:24
수정 아이콘
星夜舞人님// 말씀해주신대로 쿠마7750은 그다지 메리트가 없습니다. L3캐쉬가 있다는 것이 유일한 장점이지만 이것때문에 소비전력또한 높아진게 단점이구요. 복권확률로 쿼드로 변하는거 역시 말그대로 복권확률이기 때문에 배제하구요.
그럼 왜 9500을 선택안했냐고 하신 물음에 답볍은 아제나9500은 TLB버그가 존재하는 CPU로 후에 버그가 수정된 9550으로 재등장 했습니다.
그래서 당연히 9500은 단종수순에 들어갔구요.
단순히 게임만 따지면 듀얼클럭 높은것이 쿼드 저클럭보다는 낫습니다.
게임이 쿼드CPU를 지원한다면 얘기가 달라지지만 쿼드 CPU를 지원하는 게임이 그다지 많지도 않구요.
그래서 그냥 5600으로 정했습니다. 5600이랑 6000이랑은 가격차이도 2만원 가까이 나는데 2만원정도의 가치는 없다고 봐서
6000은 배제했구요.


그리고 윗글에 달아주신 샘프론이나 샐레론쪽으로 눈길을 돌리신다면 좀 더 싸게 맞출 수 있겠지만.....
역시 듀얼과 싱글의 성능차이는 어마어마어마어마어마어마어마하죠.
말씀해주신대로 초초저사양 진짜 인터넷과 워드작업만 하실 분이라면 초초저사양이 대략 7만원정도 아낄 수 있을테니 좀 더 낫습니다.
그러나...........19만원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일단 하드 320기가 7만5천원 메모리 2기가에 2만 5천원 이것만으로도 10만원.................
CPU에 보드에 케이스 파워 ODD까지하면 30만원은 들겟네요.
외국에 계신거 같은데 한국이랑은 가격대가 좀 다른거 같습니다~
09/03/07 08:33
수정 아이콘
정말 알찬 정보네요. 앞으로도 종종 부탁드립니다.
星夜舞人
09/03/07 08:43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아 그런가요? 다나와 최저가 대충 보니까 AMD LE하고 보드 해서 약 8만5천원 저전력 파워달린 저가형 케이스 만 5천원 하드 7만 5천원, ODD (라이터블 말고 그냥 CD-rom)5천원 메모리하니까 2만원정도인데 하니까 대충 19만원대정도 나오는데 제가 잘못본건가요? 아니면 실제가격좀 틀린가요.. (아 하긴 조립비는 넣지 않았구나..)
9500의 경우 3D mark 테스트 결과 5600보다 페놈 9500이 2배정도 좋은데, 그게 허수라는 말씀인가요? 아니면 실제 게임 돌릴때 5600쪽이 더 낫다는 이야기인가요? Bus 스피드는 5600이 1000MHZ고 페놈 9500이 1800MHZ인데 5600쪽이 실제 게임돌릴때 빠른가요? 저도 가끔 벤치마크 테스트 신봉자이긴 하지만, 실구동시 약간씩 다른결과가 나온적이 있나 궁금해서요.
아 딴이야기지만 저 셀레론 E1200정말 좋아합니다. 아는 사람 컴 맞춰주는데 저렴한 Asrock 보드에 2.6ghz까지 오버해주니까 정말 쓸만해지더군요.. ^^;
09/03/07 10:10
수정 아이콘
글 잘읽었습니다.
테페리안
09/03/07 10:20
수정 아이콘
아 브리즈번 5200+ 이 환율때문인지 엄청 비싸네요.... 작년 9월 초에 컴퓨터 맞췄을 때 7만원 이하를 줬던걸로 기억하는데 .....
Timeless
09/03/07 11:37
수정 아이콘
ASRock A780LM 디앤디컴의 내장그래픽 카드 성능은 어느정도인가요?

상당히 라이트 유저(게임은 아예 안합니다. 프린세스 메이커2, 대항해시대2 이후로 게임해본 적이 없다네요)이고, 가끔 동영상 감상 하는 수준인데 내장 그래픽 카드로도 블루레이급 아니면 별 무리 없이 돌아가겠죠?^^; 이것만 해결되도 거의 5~6만원이 절감되네요.

그리고 파워는 450W가 400W보다 나을까요? 파워가 중요한 부품이라 가격이 같으면 400W에 좀 나은 브랜드가 어떨까 싶어서요.

아! 운영체제는 이제 vista 밖에 못사는 거죠? 요건 얼마쯤 하나요?

질문이 너무 많아서 죄송합니다_(_ _)_
星夜舞人
09/03/07 11:48
수정 아이콘
Timeless님// ASRock A780LM엔 ATI Radeon 3000급의 내장그래픽카드가 최대 512메가 메모리를 사용하고, 1080p의 블루레이를 지원합니다. 쉽게 이야기 하자면, 메모리가 2기가정도 끼고 XP있는 운영체제에서 와우 풀옵션으로 돌리기는 그렇지만 웬만큼 원활하게 돌릴수 있는 수준입니다. 제경험상 파워는 될수있으면 전압이 낮더라도 튼튼하고 믿을수 있는거 사시는게 좋을겁니다. 괜시리 잘못샀다가, 전압이 불규칙하게 마더보드에 공급되 마더보드 날라가는 수가 있습니다. (SOYO계통은 절대 사지 마세요) 윈도 XP아직까지 DSP버전 구하실수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넷북때문에 XP단종 안하다는 뉴스도 나와서 그렇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것 같습니다. 또하나는 어느병원에 근무하시는지 모르겠지만, 전산실에 가시면 병원이름으로 산 볼륨라이센스 XP얻을수 있을겁니다.
러브포보아
09/03/07 13:17
수정 아이콘
星夜舞人님// 저가형파워 달린 케이스가 1만5천원이라구요? 전 한번도 본적이 없는데...
설령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절대로 추천하고싶지 않네요. 파워가 그렇게 저가형이면 결국 망가지는건 시간문제니깐요.
그리고 3D마크랑 실제프레임이랑은 좀 다르죠. 3d마크는 쿼드라는 것을 인식하고 점수를 내는것인데 실제게임에서는
쿼드를 지원하지 않는게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결국 클럭빨이라는 얘기가 나오죠.
그렇다고 9500이 5600보다 프레임이 덜 나오지는 않고 잘 나올겁니다만,
이미 버그CPU로 단종된 9500을 추천하기에는 좀 그래서요,
3d마크로만 따지면 아제나9850이 E8500보다도 높게나옵니다만 임에서는 E8500이 프레임이 훨씬 잘나오죠.
Q6600이 E8500보다도 3d마크는 근소하게 앞서지만 게임에서는 프레임이 e8500이 더 잘나오구요.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int_news&no=12781&search=fx&keyword=9500
벤치자료 참고하시면 되겟습니다.
러브포보아
09/03/07 13:18
수정 아이콘
Timeless님// 파워는 제가 위에 적어드린 목록에 있는 것들 모두 쓸만합니다.
내장그래픽도 星夜舞人님/이 잘 설명해주셨네요^^*

내장으로도 와우는 거의 머 불가능하다고 봐야하지만 워크나 카트정도는 무난히 돌아갑니다~
낭만.로망.갈망
09/03/07 13:26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죄송하지만 몇가지 여쭤볼께요

3,4년전 컴으로 워크유즈맵 카오스를 하는데 겜 후반에 궁극이 두,세개 겹칠 경우가 되면 컴터가 자주 느려집니다.(끊기는 정도는 아니고
프레임저하로 보입니다)

그래서 질문1.다른 고사양 게임은 전혀 안하는데 카오스가 안 끊길 정도면 위에 업급하신 사무용 및 동영상 감상 및 간단한 게임용 저가형 울프데일 E5200 정도면 될까요?

질문2.위에 언급하신 컴퓨터들을 살때는 XP나 운영체제등도 제가 사서 깔아야되는겁니까?(컴맹이라서 이런것에 걱정이 되네요)

질문3. 깔아야된다면 혹시 깔려있는 완제품을 파는 곳도 있는지요?

질문4. 제가 가지고 있는 컴퓨터를...팔수는 없겠죠? 4년전 내장형 컴터인데 처리는..어떻게 하는게 올바른지요?

모니터는 17인치 CRT구요 특별히 바꿀 생각은 없습니다.

대답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星夜舞人
09/03/07 13:35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사실 저도 만 5천원짜리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 다만 초초초저가로 만들면 저렇게 된다라는 것만 보여드리고 싶었습니다만, 사실 초초초저가로 만드는데, 메모리 1g로 하고 하드를 80기가 수준으로 줄이면 더 가격을 줄일수도 있긴 합니다. 저야 초초초저가로 컴을 맞춰서 그럭저럭쓰는성격이긴 합니다. (사실 돈이 없어서요 T_T~~) 사실 정말로 초초초초저가로 한다면, 요즘에 떨이로 파는 PCCHIP Goal3+ 마더에 AMD 샘프론 3000으로 하라고 하고 싶지만, (마더 시퓨까지 합쳐서 5만원수준입니다.) 시대에 맞지도 않는 DDR 메모리를 쓰는 보드라 아마 하면 맞아죽을것 같아서요 ^^;
CPU문제는 아 그런식으로 돌아가는군요. 제가 게임을 하는걸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이 아니고, 3D Mark 테스트가 요즘 게임평가하는데 중요하다고 믿고 있었습니다. 근데 아닌가 보군요.
캐스윈드
09/03/07 13:38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항상 좋은 글 잘 보고 있습니다^^ 아 한가지 궁금한게 제가 st램 1기가를 쓰다가
몇달전에 삼성 DDR2 2G PC2-6400 를 두개 사서 총 5기가;; 로 1기가 정도는 램디스크로 잡아놓고
쓰고 있는데 제가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 건가요...;;
星夜舞人
09/03/07 13:45
수정 아이콘
낭만.로망.갈망.님// 질문1번은 울프데일정도면 날라다닐겁니다. 지금 쓰시는 보드가 어떤건지는 모르지만 있는 CPU업글시키기 좋은 보드라면 CPU만 사시면 될것 같습니다. 2번은 만약에 지금 운영체제 CD를 가지고 계신다면 또 사실필요는 없을겁니다. 3번 깔려있는 완제품 파는곳은 많습니다. 4번 스펙이 어떤건지 자세하게 알지 못하면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만약에 새로 컴을 바꿀 계획이 있다면, 전에 쓰시던 DVD롬, 하드드라이브, 3.5인치 드라이브 그외 PCI스롯에 끼는것들외에 나머지만 처분하셔도 괜찮을겁니다. 뭐 컴 잘아시는 분이 옆에 계신다면 파워와 케이스까지 사실필요가 없고 재활용하면 그만입니다. 그럼 처분해야 되는건 마더보드, 메모리, CPU정도일겁니다.
회전목마
09/03/07 15:14
수정 아이콘
와우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데 노오버 브리즈번 5000+780G로 최하옵에 시야만 상으로 놓고 게임했을때
프레임이 36으로 나왔습니다 이정도면 아제로스에서 하기에는 무난한 정도이구요 아웃랜드로 가면 조금 끊기는 정도입니다
09/03/07 23:38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할 따름입니다.^^
전 컴터 살 때만 관심을 갖는지라 추세를 잘 모르고 있었는데 러브포보아님 덕분에 트렌드~를 알게 되네요.
예전에 한창 주위 사람들 컴터 조립해줬었는데 이제는 머언~ 옛날 얘기가 되었네요.
정보를 알려주고 공유한다는게 쉬운 것만은 아닌데 귀차니즘(?)을 이기시고 좋은 정보 알려주시는 러브포보아님 및 피지알러님들께
감사하단 말씀 드리고 싶네요.

늘 좋은 정보 보기만 하다가 감사하단 말씀 드립니다.^^
러브포보아
09/03/08 00:12
수정 아이콘
누트님//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이네요^^*

캐스윈드님// 본문에도 나와있지만 램은 듀얼채널을 구성하려면 같은 속도 같은 용량의 램이 짝수개가 필요한데 홀수개로 쓰시니
듀얼채널은 풀립니다.
즉, 램의 속도는 떨어지지요.
1기가 짜리 하나 뺴시면 램속도는 올라가겠네요. 대신 용량이 1기가 줄지만요.
램디스크를 포기하시고 그냥 2기가 두개 쓰시는게 어떨지 합니다.
캐스윈드
09/03/08 15:30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감사합니다 당장 빼겠습니다.^^;;
Crossroad]]
09/03/10 17:44
수정 아이콘
현 시점에서 e8400 사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좀더 기다려야 할까요?
러브포보아
09/03/10 21:26
수정 아이콘
Crossroad]]님// e8400의 가격이 많이 올랐죠. 환율때문인데 꼭 e8400을 사셔야 하면 지금사나 추후에 사나 그다지 큰 가격차이는 없을듯합니다. 다만 4월20일경에 있을 인텔 CPU 가격인하에서 e8400이 단종수순을 밟을수도 있지만 가격인하는 없습니다.
관행대로라면 8400의 현재가가 163$인데 상위듀얼모델은 최저모델이 163$이고 그이하로는 가격인하없이 단종시킵니다.
아마도 8400단종 8500 163$ 8600 183$ 8700 266$순으로 될지도 모르겠네요.

좀 더 저렴하고 비슷하거나 좀 더 나은성을을 보여주는 헤카도 한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RunDavid
09/03/13 06:41
수정 아이콘
러브포보아님. 전 온전히 스타 2와 디아 3를 바라보고 천천히 컴퓨터를 알아보고 있는 중인데
그렇다면 러브포보아님이 적어주신,
중사양 게임용
중사양 3D게임용
고사양 게임용
중 어느쪽 정도에 해당이 될까요?
물론 게임이 나와야 권장사양이 확실해 지겠지만, 대충 어느정도 감을 잡을 수 있으면 참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항상 존경스런 마음으로 러브포보아님의 컴퓨터 추천견적을 보고 있습니다.
대단하세요
러브포보아
09/03/15 05:32
수정 아이콘
RunDavid님// 적어주신대로 게임사양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아직 발매예정제품이기때문에 현재로 치면 고사양쪽으로 보셔야 할 듯 싶습니다.
스타2가 예상보다 권장사양이 높은거 같거든요.
그때 발매가 되면 제가 다시 견적을 올리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886 About Bisu - 김택용에 대한 찬사 (사운드) [44] 귀염둥이 악당16605 09/08/27 16605
885 씬 스틸러(scene-stealer) 변형태. [25] ipa13735 09/08/05 13735
883 안녕, 좁디 좁은 천하여 [41] 코세워다크21284 09/03/11 21284
882 흑백 테레비 [27] zillut.j13595 09/06/02 13595
881 J의 비극 [40] happyend14074 09/05/25 14074
879 [츄리닝의 재구성] 3편 : 지한과 백호, 그리고 의철 [27] Vision20687 09/05/10 20687
878 [야구] KBO 명예의 전당에 관한 글 [71] ClassicMild12784 09/05/04 12784
877 이영호vs조병세 리뷰 [30] 김연우17394 09/04/16 17394
873 남은 눈물은, 나중에 더 높은 곳에서. 같이. [20] The xian12585 09/03/05 12585
871 러브포보아의 09년 3월 초보를 위한 컴퓨터 추천견적입니다~!! [48] 러브포보아13354 09/03/07 13354
870 하늘의 왕. [28] 한니발16380 09/02/25 16380
869 리켈메와 이재훈, 이재훈과 리켈메 [43] 와이숑13801 09/02/23 13801
868 블루칩 이영호. [25] 한마 유지로11902 09/02/19 11902
867 그래프와 함께하는 커리어 랭킹 & 본좌 [83] ClassicMild16537 09/02/19 16537
865 [Ms. Anscombe 의 사회학 이야기] 사회학을 공부해볼까요?? ~ 일곱번째 이야기 [14] Ms. Anscombe10533 08/07/02 10533
864 손끝이 떨려온다. [33] kEn_14219 09/02/12 14219
863 통계로 보는 스타크래프트 [55] 김연우12995 09/02/12 12995
862 '비르투오조' 전용준, '마에스트로' 김철민 [138] legend22540 09/01/21 22540
860 나를 사랑해주는 사람 - 임요환... [12] Love.of.Tears.10800 09/01/27 10800
859 '판'님 스페셜 #1 - 동물의 왕국- [115] Timeless23902 09/01/23 23902
858 두번 다시 마주 잡은 이 두 손을 놓지 않으리라고 [37] Cand14346 09/01/19 14346
857 "좋아, 아직 할 수 있지" [62] 한니발18174 09/01/15 18174
856 [세상읽기]2008_1231(마무리2)<스크롤 주의> [31] [NC]...TesTER8855 08/12/31 88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