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8/03/08 01:05:09
Name 뉴[SuhmT]
Subject 프로토스의 결승진출.. 아직 쓸쓸하다.

  1." 나의 시작은 당신의 등 이었고, 나의 현재도 당신의 등을 쫓고있으며, 나의 끝도 당신의 등에 손이 닿을때 끝이나겠지. "

   저와 제 친구들은 사실 나름대로 올드 입니다. 기욤이 한참 날라다닐때부터 스타를 시작해서, 군대를 다녀오고
정신없이 사회에 적응하며 일하고 공부하느라, 즐겨보던 스타리그도 일끝나고 재방송으로 맥주한잔 걸치며 보는 편입니다.

   저는 제 친구들 사이에선 그나마 신참입니다. 가림토가 우승을 하고, 그 바로 다음 대회에서 부터 스타를 시작했으니까요.


   예전에 갓 20살이 된 우리들은 막 들어갈수 있게된 호프집에서 신나게 맥주를 마시며 논쟁을 거듭했습니다.
누가 최고냐고.

   어떤 이는 임요환을 말했고, 어떤 이는 이윤열을, 어떤 이는 홍진호를 말했고, 김동수를 말했지만.
  저는 언제나 한 사람만을 우기며 그가 나에겐 최고라고 우겨대었습니다.

   어떤 이들은 말합니다. 지금 최고는 역시나 이윤열이라고. 이제는 시대가 바뀌어 최연성의 시대라고.

  그래도 저는 말합니다. 그를 대회에서 보지도 못하는 일이 생기고 길고 긴 슬럼프에 빠져있을때도 말했습니다.
그래도 그가 최고 라고.




  2.  헛소리. 말도 안되는 소리. 궁상맞은 소리.

   전 언제나 그의 등을 보아왔고, 그의 등에 손을 닿길 원하며 게임을 했습니다.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이 아닌, 그의 리플레이를 1배속으로 교전시에는 아주 느린 속도로
  몇번이고 몇번이고 돌려보며 흉내 내왔습니다.

   지금도 저에게 최강의 프로토스는 그 입니다.

  그때 저와 함께 이야길 하던 어떤이들은 그리고 저의 친구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아직도 5년도 더 지난 꿈같은 이야기를 하냐고, 니가 군대에 다녀온 사이 그의 모습이 스타리그에 3번 나온걸 알고나 있냐며.

   헛소리 하지 말라고 그럽니다.

   그리고, 2년 만에 찾아온 PGR  이나 각종 스타리그 관련 사이트에서 그의 이름을 찾긴 참 힘들었습니다.

  

  우습게도 제가 스타를 즐기면서 가장 기뻤던 순간은, 라이벌 을 이겼을때도, 동네 pc 방 대회에 나가서 우승한것도 아닌
한 명문 길드의 고수분께서 참 플레이가 그와 비슷하시네요. 라고 말해줬을때입니다.

  지금도 아직도 그의 등을 쫓고있어서 인진 모르겠지만, 원팩더블하는 테란 앞마당을 뚫어버리는게 너무나 익숙합니다.
내 손으로 동경하던 무언가를 만들어냈다는 사실이 너무 뿌듯합니다.

... 물론, ..이것도 한두번이지 나중에 가면 벙커 2개씩 짓고 버티더군요-_-; 그래도 계속 시도해봅니다.
스타리그 결승전 제 1경기에서 그분의 앞마당을 뚫고 들어가던 그 모습을 자꾸만 다시 보여달라고 제 혼이 졸라대기 때문에.






   3.   Hero.

   객관적으로 현 최강의 프로토스는 세명입니다. 물론 김택용선수와 송병구선수를 주로 논하게 되지만,
  프로리그의 활약이나 전체적인 승율로 놓고 봐서 오영종선수를 빼긴 힘들거 같더군요.

   그곳에 지나간 추억은 없습니다.
  너무도 빨리 지나가는 시간과 새로이 나타나는 우상들은,

   과거의 영웅을 잊혀지게 하고 '회상되는 존재'로 만들어버리니까요.


   어쩌면 영웅은 그가 한참 활약할때 보다는,
  두고두고 회자되면서 사람들에게 잊혀지지 않고 술안주 삼아 이야기될때 가장 아름답게 보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그의 닉네임은 비운에 가깝다고도 할수 있네요.

   늙어 병이들어도 황제는 황제이며,
  하늘이 내린 재능은 죽어도 중달을 내쫓은 제갈공명의 그것처럼 쉽게 바래지 않지만

   영웅은 마치 세피아색의 추억속에서만 살아있는 '움직일수 없는 동상' 과도 같은 것이 될수도 있으니까요.

  





   4. But.

  그러나 아직 그가 동상으로서, 굳어서 사람들의 흐릿한 기억속에서 회상되는 존재가 되긴 이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제가 좋아하는 선수들이 결승에 가서 활약하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건 저 또한 프로토스의 유저로서,
스타리그의 팬으로서 흐뭇하고 기분이 좋습니다.

  그럼에도 아직 그의 재현을, 강림을 다시 꿈꿔봅니다.
제 손으로 그려내는 어설픈 모습이 아닌,

   가장 프로토스가 힘들어할때 다시 부활하는 그런 영웅의 모습을 제 눈에 다시금 새겨보고 싶습니다.
  우습게도, 가을의 프로토스라는 로망을 아직 믿고있는 저는,

  제 가슴속의 로망이 다시한번 부활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수많은 우상들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이 순간에,
  오래되고 지나가면 갈수록 힘들어지는 이 시기에,
  가장 하기 힘들지도 모르는 것을 팬의 입장에서 강요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이제 영웅이여,
동상의 모습으로 존재하지 말고 그 날개를 펴고 다시 한번 날아올라주세요.


  
  5. epi.

   ... 어떤 이들과 친구들이 했던 말처럼.
  아직도 그 꿈을 버리지 못하는 나는 무던히도 궁상맞고 지질하기 그지없는,

   로망의 남자 인가 봅니다.
  첫사랑을 잊지 못하는 바람둥이 처럼요.
  



ps1. 거의 2년 6개월 만에 PGR21 에 다시 글을 써보는것 같은데, 제가 아는 분들은 ...죄다 어디가셨나요. ㅠ_-;

ps2. ...특정선수를 욕할 마음도 괜한 궁상으로  다른 분들 심기를 거스릴 생각이 없는 글입니다.
     단순히 한 선수의 팬으로서의 응원글로 봐주세요.

ps3. 그런데 ...예전엔 자게만 있지 않았나요?;;;

ps4. .. 그것까진 괜찮은데 예전들의 제 글들은 어디갔는지 원.. 게시판 초기화 했었나요?

* 메딕아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03-13 08:12)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구아르 디올라
08/03/08 01:27
수정 아이콘
제가 가장 좋아하는 박정석 선수 얘기군요.^^ 참 박정석 선수 운이 없다 그래야되나...분명 경기력은 차츰 나아지는거 같은데
요즘 예선 뚫기가 정말 힘든지라...이번에도 양대예선 모두 결승에서 떨어졌죠.....
그래도 은퇴하지 않고 계속 모습 보이는것만 해도 그저 반갑습니다. 박정석선수도 올드치고는 피지컬이 좋은 편이라 부활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08/03/08 01:35
수정 아이콘
저는 요즘 잘하는 선수들 참 많이 좋아하고 있어요. 제가 응원하는 선수들이 잘하고 좋은 성적을 내면 한없이 기쁘죠.
하지만 만약 박정석 선수가 다시 부활한다면, 그것만큼 기쁜 일은 없을 겁니다.
제가 스타를 보기 시작한 이유니까요^^ 글 쓰신 분처럼 저에게도 최고는 언제나 박정석 선수입니다.
마에스트로 박
08/03/08 01:36
수정 아이콘
박정석 선수...... 다음 스타리그에 복귀했을때만 해도 정말 기뻤었는데......

보고 싶네요.....
마에스트로 박
08/03/08 01:37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으로

강민의 후계자로 김택용

박정석의 후계자로 송병구
My name is J
08/03/08 01:39
수정 아이콘
ps1. 웹에서 2년 6개월이면 거의 10년 급-이죠.^^;;; 뭔가 예전에 봤던 닉네임같아서 댓글 답니다. 덥썩-

ps2. 첫사랑 첫마음- 잊혀지는것이면 얼마나 좋을까요. 홍홍홍-

ps3. 음...분리 되었습니다. 뭐...전 좀 불편하게 느끼고 있지만.^^;; 덕분에(?) 다소 안전하게 글을 읽을수 있어졌지요.

ps4. 계속 검색버튼을 누르면 나옵니다. 나올때까지! 누르세요~~
08/03/08 01:50
수정 아이콘
박정석선수의, 그리고 올드선수들의 팬으로써 추천한방꾹..
오르페우스
08/03/08 05:10
수정 아이콘
영웅토스 박정석선수 언젠가 부활의 날개를 펼치시길 바랍니다. 박정석선수의 한사람의 팬으로서 언제까지라도 기다리겠습니다.
remedios
08/03/08 07:00
수정 아이콘
박정석선수 다시한번 비상하시길~~
08/03/08 10:23
수정 아이콘
박정석 화이팅 ~
린카상
08/03/08 11:56
수정 아이콘
박정석 화이팅~~
린카상
08/03/08 11:56
수정 아이콘
박정석 화이팅~(2)
08/03/08 16:19
수정 아이콘
박정석선수, 언젠가.. MSL패자결승 경기였던가요? 최연성 선수와의 경기에서 정말 "우와 이걸 어떻게 이겨!"
그랬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만 해도, 영웅은 건재했는데요. 아휴.. 고작 2-3년 지났을 뿐인데..
이제는 방송경기에서 볼 수가 없네요.

박정석 화이팅~(4)
08/03/13 10:41
수정 아이콘
오프닝에서 헤드폰 하나 썼을 뿐인데...

다시 한번 써야지요...
08/03/13 10:52
수정 아이콘
박정석 화이팅~(5)

내가 좋아하는 게이머는 과거에도 현재도 미래에도

영웅 당신 한 명 뿐입니다.
슬픈비
08/03/13 11:56
수정 아이콘
박정석 스타리그에서 다시좀 보자.ㅠ

박정석 화이팅~(6)
08/03/13 13:00
수정 아이콘
오프닝에서 헤드폰 하나 썼을 뿐인데... (2)

다시 한번 써야지요... (2)

박정석 화이팅~(7)
영웅토스
08/03/13 21:17
수정 아이콘
아마 지금도, 영웅은 부활중이지 않겠습니까..? ^^

박정석 화이팅~(8)
08/03/13 23:07
수정 아이콘
네, 여전히 스타를 보는 이유의 팔할은 박정석 선수 때문입니다.
그를 기다립니다.

박정석 화이팅~(9)
08/03/13 23:21
수정 아이콘
상병정기 휴가나와있는 군인입니다....
송병구,김택용 두 선수의 경기들을 쭈욱봤는데... 재밌긴 하지만 뭔가 허전하다 했는데...
역시.. 제 마음속엔 영웅이...ㅠ,.ㅠ....
"첫사랑" 이부분에서 추천꾹입니다
08/03/14 02:06
수정 아이콘
이십 대 후반....아직도 스타 보냐며 놀리는 주위사람들의 비웃음에도 불구하고
혹여나 옛날경기라도 그 선수 경기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
무심코 게임채널을 틀고, 제일 먼저 스타 커뮤니티를 찾습니다...

영웅은...언젠가는 꼭 돌아올꺼라 믿기때문이죠...!
늘 그렇듯 , 벅찬 감동이 스며있는 절절한 승리와 함께...!
Shevchenko
08/03/14 10:37
수정 아이콘
저도 제가 스타리그를 보는 유일한 이유입니다
박정석선수를 기다리기 때문입니다.
박정석선수로 인해 스타를 시작했고,
수많은 경기들을 보면서 즐거워했고 감동받았었습니다.
이제 박정석선수 예선을 뚫고 꼭 다시 한번 우승해야합니다.
미친스머프
08/03/14 19:35
수정 아이콘
하나 둘 셋~~

박정석 화이팅~(10)
08/03/18 15:24
수정 아이콘
가장 남자다운 프로게이머 증슥이..
개인적으로 동생 삼고 싶습니다.
부활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98 홍진호, 정치 - 명승부를 기대합니다 [13] 나는 고발한다13056 08/03/26 13056
796 곰TV를 돌아보며… 4 - FACE OFF [5] 점쟁이10851 08/03/25 10851
795 곰TV를 돌아보며… 3 - 테란의 역습 [7] 점쟁이11220 08/03/25 11220
794 곰TV를 돌아보며… 2 - 플토의 시대 [2] 점쟁이10778 08/03/25 10778
793 곰TV를 돌아보며… 1 - 기적의 혁명 [11] 점쟁이12817 08/03/25 12817
792 (이영호+송병구)/김동수 [31] Judas Pain12972 08/03/21 12972
791 엄재경 해설위원을 지지합니다. [38] 문근영15094 08/03/19 15094
790 김택용의 장점 [38] 김연우16970 08/03/19 16970
789 게임 게시판의 공지사항 및 15줄 규정을 지켜주세요. [19] TaCuro8118 08/03/17 8118
788 이영호선수를 보며 이윤열선수를 느끼다. [39] Yes14903 08/03/17 14903
787 비수류의 정석화 [28] 김연우13577 08/03/14 13577
786 게임으로 자신을 알리고, 게임으로 한계에 도전하는 멋진 사나이... [33] 워크초짜17077 08/03/11 17077
785 PGR21 학업 청취도 평가 답안지 [13] 포로리9300 08/03/09 9300
784 최연성 당신에게 [28] 산화12581 08/03/08 12581
783 프로토스의 결승진출.. 아직 쓸쓸하다. [23] 뉴[SuhmT]12773 08/03/08 12773
782 이영호를 통해 그 시절을 회상하다 [14] 당신은저그왕10281 08/03/07 10281
781 제가 생각하는 프로게이머 역대 포스전성기 정리 (2008.03.07 업데이트) [16] 이영수`12573 08/03/06 12573
780 [L.O.T.의 쉬어가기] 난 진짜 e-Sports를 원한다!!! [6] Love.of.Tears.9283 08/03/05 9283
779 축제를 선택한 OSL 투기장을 포기한 MSL [55] Judas Pain16269 08/03/04 16269
777 이영호의 대플토 9연전을 본후 진지하게 생각해본 이영호의 빌드와 운영 [43] 휀 라디엔트18981 08/03/01 18981
776 PGR 스타크레프트 학업 성취도 평가 [37] 포로리11055 08/02/29 11055
774 그가 그랬으면 하는 이야기. 둘 [15] Ace of Base9510 08/02/26 9510
773 1년 전 오늘, 고작 스물 한살의 남자 이야기. [31] 포스13090 08/02/24 1309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