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3/06/29 14:08:58
Name bifrost
Link #1 http://www.statiz.co.kr
Subject [스포츠] WAR 순으로 골든글러브를 준다면? (포수편) (수정됨)
재미 삼아 WAR 순으로 골든글러브를 준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상상에서 정리해 본 글입니다.
기존의 골든글러브 수상자들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WAR 순으로 골든 글러브를 주자고 주장하는 글은 더더욱 아닙니다.
(그러면 투표가 무슨 의미가 있고 각 선수들의 스토리가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그저 재미 삼아 정리해 본 글이라는 점 이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실제 수상자와 WAR 1위가 다른 경우 (괄호안은 WAR)
1982년 김용운 (0.82) / 이만수 (4.12) - 이 당시 골든글러브는 수비율로 수상, 베스트 텐은 이만수
1988년 장채근 (3.99) / 이만수 (5.35)
1989년 유승안 (4.76) / 이만수 (5.07)
1990년 김동수 (4.89) / 이만수 (5.63)
1991년 장채근 (2.80) / 이만수 (6.08) - 장채근 타율 .235 / 이만수 타율 .317
1992년 장채근 (4.78) / 이만수 (4.83)
1995년 김동수 (3.47) / 박경완 (4.29)
1996년 박경완 (3.66) / 임수혁 (5.04)
1997년 김동수 (3.77) / 박경완 (4.75)
1998년 박경완 (3.84) / 김동수 (5.50)
2001년 홍성흔 (1.72) / 박경완 (5.32) - 박경완 포수 최초 20/20 달성
2003년 김동수 (4.27) / 진갑용 (4.75)
2004년 홍성흔 (6.17) / 박경완 (8.36) - 홍성흔 최다안타 1위 (165) / 박경완 최다홈런 1위 (34)
2006년 진갑용 (3.19) / 홍성흔 (3.65)
2009년 김상훈 (1.24) / 정상호 (2.28)
2016년 양의지 (4.87) / 강민호 (5.02)
2021년 강민호 (3.88) / 최재훈 (3.90)

* 2002년 진갑용 - 유일무이 약물 적발 당해 수상



11회 수상
이만수 (5회)

6회 수상
박경완 (4회) / 강민호 (-) / 양의지 (7회)

4회 수상
김동수 (7회)

3회 수상
진갑용 (-)

1회 수상
임수혁 (0회) / 홍성흔 (2회) / 정상호 (0회) / 조인성 (-) / 최재훈 (0회)

0회 수상
김용운 (1회) / 장채근 (3회) / 유승안 (1회) / 김상훈 (1회)

이만수의 어마무시한 위엄... 진짜 WAR 순이라면 11년 연속 골든글러브;;;



<데이터 정리 시리즈>
주말리그 개편 이후 전국대회 고교별 우승 횟수 - https://pgr21.com/spoent/76448
재미로 보는 KBO 40주년 레전드와 WAR - https://pgr21.com/spoent/76586
KBO 40주년 레전드 올스타들이 가장 많이 거쳐간 프랜차이즈는? - https://pgr21.com/spoent/76627
WAR 순으로 골든글러브를 준다면? (투수편) - https://pgr21.com/spoent/7703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06/29 14:16
수정 아이콘
피자도형이 저기에...!
23/06/29 14:22
수정 아이콘
크크크 이 시리즈 글의 최대 수혜자가 아닐지.....
시나브로
23/06/29 14:2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23/06/29 14:18
수정 아이콘
포수 보는 양준혁..
웸반야마
23/06/29 14: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만수 저평가 진짜 어마어마하죠
커하 WRC+가 204.6이고
커리어 평균이 무려 159 입니다

농담으로 포수마스크 낀 이대호라 하는데, 커하도 커리어평균도 KBO 이대호보다 더 잘치죠

커리어평균 타격스탯이 올시즌으로 데려와도 3위네요
23/06/29 14:26
수정 아이콘
감독을 해서 그런 것 같아요....
숫자로만 봐도 이렇게 어마무시한데
실제로 그 시대에 야구를 봤으면 덜덜덜... 이건 뭐 야구의 신이죠.
시나브로
23/06/29 14: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테니스 코치님 전 프로 출신에 이만수 감독님 연배이신데 제가 KBS N SPORTS 한국 프로야구 레전드 이만수 다큐멘터리 얘기하니까 이만수 신이라고 하셨었습니다 정확히 흐흐

화이트삭스 코치 시절에 이만수 코치님보고 니가 쳐 보라고 해서 연속 홈런 쳤더니 인정받았다는 인터뷰도 생각나네요.
시나브로
23/06/29 14:30
수정 아이콘
보면서 기본 재능에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잘한다는 생각이.. 제가 접하고 아는 것만 무릎팍도사 이만수 편이나, 신인 프로야구 선수 상대 홍성흔 강연이나 박경완이나

타 포지션도 마찬가지고요.
네이버후드
23/06/29 14:39
수정 아이콘
김성근 이야기 때문에 그래요 그냥 한국포수 탑이죠
23/06/29 16:31
수정 아이콘
마이크 피아자 커하 WRC+가 183 평균이 140임을 감안하면
엄청난게 맞죠..

문제는 전성기시절에 한국시리즈 우승이 없어서
당시 삼성이라는 팀과 함께 주축선수로서 저평가 받는건데
그게 타격이야 흠잡을게 없음에도 팀 투수진의 문제를
포수리드라는 크보에서 과대평가된 항목으로 같이 짊어지기도 했고
또 도루저지도 통산 저지율로 보면 나쁜게 아닌데
하필 전성기 끝자락에 열린 91년 한일슈퍼게임에서 일본선수들의 스피드를 감당하지 못하면서
마치 커리어내내 도루저지가 약점인듯 인식되버린 점도 있죠..

그래도 프레이밍을 제외한 포수수비에 대한 과대평가가 많이 깍여나간 시대이니만큼
앞으로 점점 평가가 올라가기는 할겁니다..
피아자 역시 박찬호시절에나 그랬지 요즘에 저평가하는 사람들은 없죠...
약때문에 까긴 깝니다만...
세인트
23/06/29 14:24
수정 아이콘
아 임수혁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23/06/29 14:39
수정 아이콘
정리하면서 임수혁이란 글자가 나와서 깜짝 놀랐습니다.
별 거 아닌 글이지만 야구도 곧잘 했던 선수로 기억되길 바랍니다.
최종병기캐리어
23/06/29 14:37
수정 아이콘
해태 왕조 버프로 제일 피해본게 이만수 선수네요.

김동수, 박경완은 사이좋게 퐁당퐁당 나눠 먹으라고 한거 같고..
스마스마
23/06/29 14:56
수정 아이콘
2001년은 팬인데도 부끄럽네요. 미안해요 박경완 코치님...
23/06/29 15:02
수정 아이콘
포수는 아무래도 조악한 WAR로만 판단하기 힘든건 있는데 박경완 홍성흔은 레전드긴 하네요
박경완이 이만수처럼 포수로서는 별로였다(그게 맞고 안 맞고간에) 그런 이미지였던거도 아니고..
23/06/29 15:29
수정 아이콘
뜬금없는 피자신 크크 09년에 잘하긴 했었죠
23/06/29 15:39
수정 아이콘
과거의 포수 골든글러브는 개인 성적보단 팀 성적으로 줬다는게 드러나는 리스트 인 것 같네요.
보통은 우승 팀 포수가 수상했고, 우승 팀 포수의 개인 성적이 미달이면 그 다음으로 좋은 팀 성적 포수가 많이 받았네요.
그래서 2004년이 특이한 것 같습니다. 홍성흔이 최초로 포수 최다안타 타이틀을 따내긴 했지만 홈런왕에 1위팀 포수 박경완을 제칠 정도는 아니었는데...
멍차이
23/06/29 15:50
수정 아이콘
04박경완은 sk시절입니다
23/06/29 16:03
수정 아이콘
아. 맞다! SK로 이적했었죠. 착각했네요. 감사합니다.
이시하라사토미
23/06/29 15:51
수정 아이콘
15년 16년은 두개다 강민호가 받는게 맞다고 봅니다.

지금에서야 스탯티즈가 war 부분이 업데이트가 되어서(정확히 뭐가 된지는 모르지만) 양의지가 높지만 수상 당시는 강민호가 더 높았죠.

16년도는 강민호가 95게임만 나오는 바람에 아예 후보에서 제외 되었는데 이는 KBO 규정상 골글 후보는 전체 시즌의 2/3를 나와야되는 규정 때문이죠.
하지만 108경기를 나온 양의지보다 13경기나 적게 나온 강민호가 23이닝이나 수비이닝은 더 많습니다. 참으로 아이러니하죠.
에바 그린
23/06/29 15:57
수정 아이콘
저 시절에 홈런왕 받고도 못받은건 참 신기한거같아요 크크크크
미디어 프렌들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미리 보여준 선수 아닌가 크크크크
더치커피
23/06/29 16:15
수정 아이콘
포수가 유독 이런 사례가 많네요
23/06/29 16:30
수정 아이콘
투수도 뭐 만만치 않.......
지니팅커벨여행
23/06/29 19:01
수정 아이콘
09년 이도형이 포수였나요?
포수로 뛴 이닝이 많지 않을텐데 포수로 분류되네요.
스타나라
23/06/29 23:14
수정 아이콘
꿈만 꾸던 주전포수 이도형을 실현했던 해였습니다.
타격에 개안을 하면서 이듬해에는 1루수로 정착시키나 했지만...1루수비중 불의의 부상을 당했고 이듬해 FA계약을 하지못해 은퇴당합니다.
결론 : 09이도형은 포수 맞았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3/06/29 23:4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당시 김상훈이 우승 포수이기도 했지만 포수난이 가장 심했던 해라 규정타석을 채운 포수가 김상훈이 유일했고, 수비이닝도 2위와 현저하게 차이날 정도라 다들 김상훈 골글에 별 이견이 없었는데 말이죠.
이도형이 포수도 봤지만 지명이나 1루로 자주 나왔던 것 같고 골글 후보도 아니어서 그렇게 느꼈네요.
스타나라
23/06/30 00:48
수정 아이콘
부상으로 시즌아웃되서 출전 경기수가 100경기가 안될겁니다. 골글 기준에 만족 못했었을거에요.
23/07/03 16:41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지적이 맞았습니다.
2009년 이도형 선수가 출장한 경기 수는 98게임.
이 중 포수로 출장한 경기 수는 54게임에 불과했습니다.

2009년 포수 WAR 1위를 이도형 -> 정상호 (2.28)로 정정하였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7] jjohny=쿠마 20/05/10 198872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26258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43712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15080 0
83600 [연예] 키스오브라이프 'Sticky' M/V [4] Davi4ever126 24/07/01 126 0
83599 [연예] 2024년 6월 5주 차트 : 에스파 6주 1위! 뉴진스 3위-권은비 19위 진입 Davi4ever102 24/07/01 102 0
83598 [스포츠] [KBO] 각 팀별 월별 성적 [8] nearby827 24/06/30 827 0
83597 [스포츠] [K리그] 작년/올해 20라운드 순위 [6] TheZone497 24/06/30 497 0
83596 [스포츠] 프로야구 순위, 다음주 일정.jpg [40] 핑크솔져2961 24/06/30 2961 0
83595 [스포츠] [해축] ??? : 아직은 빅게임이 아니다.mp4 [2] 손금불산입2140 24/06/30 2140 0
83594 [스포츠] [UFC] GOAT 논쟁에 기름을 끼얹기 시작한 [18] 갓기태4011 24/06/30 4011 0
83593 [스포츠] "한국 보고있나" 제시 마치가 이끄는 캐나다, 칠레 제치고 역대 최초 '코파 8강' 쾌거 [18] 강가딘6681 24/06/30 6681 0
83592 [스포츠] [NBA] 르브론 $51.4m 연봉을 포기하고 선수 옵트아웃 옵션 실행 [40] kapH5978 24/06/30 5978 0
83591 [스포츠] [MLB] 오타니 모닝콜 26호 [11] kapH4934 24/06/30 4934 0
83590 [스포츠] 유로 2024 16강 2경기 독일 vs 덴마크.gif (용량주의) [25] SKY924514 24/06/30 4514 0
83589 [스포츠] 유로 2024 16강 1경기 스위스 vs 이탈리아.gif (용량주의) [15] SKY924721 24/06/30 4721 0
83588 [연예] [성시경]Go for a Walk(산책) [2] kogang20012860 24/06/29 2860 0
83587 [스포츠] [K리그] 기나긴 전북전 무승을 끊어낸 FC 서울 [30] 及時雨4374 24/06/29 4374 0
83586 [스포츠] 팀당 2경기씩 끝난 코파 아메리카 2024 조별리그 현황 [3] nearby2986 24/06/29 2986 0
83585 [스포츠] [KBO] 키움 도슨 단일시즌 최다 안타 페이스 [14] 손금불산입4210 24/06/29 4210 0
83584 [스포츠] [KBO] 외국인 선수도 밀당이 필요해 [13] 손금불산입4093 24/06/29 4093 0
83583 [스포츠] [해축] 비니시우스 발롱도르 조준 중.mp4 [11] 손금불산입2909 24/06/29 2909 0
83582 [스포츠] 바둑 / 제 2회 난가배 4강 신진서 vs 딩하오가 진행 중입니다. [10] 물맛이좋아요4189 24/06/29 41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