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10/19 09:28:26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323.0 KB), Download : 33
Link #1 이종격투기
Subject [스포츠] 2010년대 최고 스트라이커 논쟁.jpg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레반도프스키 591게임 412골 122어시스트
수아레즈 612게임 406골 231어시스트
저는 수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된장찌개
20/10/19 09:29
수정 아이콘
수아레즈라고 봅니다 ~
교자만두
20/10/19 09:29
수정 아이콘
축알못인데, 수아레즈는 크랙느낌나는데 레반도프스키는 그느낌이 안나요..
아라가키유이
20/10/19 09:33
수정 아이콘
누적의 레반도프스키, 임팩트의 수아레즈라고보는데
저는 임팩트 쪽이고 심지어 그 임팩트가 압살한다고 봐서..
특히 국대에서 18월드컵 레반도프스키를 잊질 못하겠네요. 여러가지 의미로
무적탑쥐
20/10/19 09:36
수정 아이콘
커리어로는 레반이 씹 압살아닌가여?
담배상품권
20/10/19 09:47
수정 아이콘
둘다 트레블 있고, 리그우승은 레반돕이 더 많은데 선수평가를 뒤집을정도로 많은건 아닙니다.
수아레스는 리그 우승 타이틀이 두번 부족하지만 코파 아메리카가 있고 레반돕은 국대 커리어가 부족하죠.
수플레
20/10/19 09:47
수정 아이콘
커리어도 비슷할걸요
챔스 1회 우승에 리그 4~5회 우승
아라가키유이
20/10/19 09:48
수정 아이콘
우루과이 데리고
월드컵 4강(포를란 다음 공헌), 코파 우승(MVP)로 커리어도 굳이 안딸린다 봅니다.
20/10/19 12:17
수정 아이콘
월드컵 공헌만 따지면 우루과이 4강은 수지의 핸들링이 결정적이었으니 포를란보다 높다고 봐도 크크
醉翁之意不在酒
20/10/19 09:49
수정 아이콘
혼자서 판을 바꿀수 있는 놈인가 아닌가의 차별이 결정적인거라....개인적으론 고민의 여지도 없이 수아레스입니다.
20/10/19 09:58
수정 아이콘
당장은 수아레즈인데 레반돕은 좀 더 롱런할 것 같네요. 지금은 2020년이라 2010년대라고 하면 당연히 수아레즈 뽑습니다.
네이버후드
20/10/19 10:08
수정 아이콘
수지요
포인트가드
20/10/19 10:13
수정 아이콘
이건 쌍벽급이라 참 애매하네요
위에 얘기대로 둘다 9번 롤 S급인데, 크랙느낌은 수아레즈고 뭔가 탄탄하고 간결하고 고공장악능력은 레반도프스키라 취향차 아닐까 생각합니다.
저는 갠적으로 클래식한 떡대있는 스트라이커 좋아해서 일단 레반도프스키에 한표요
실제상황입니다
20/10/19 10:33
수정 아이콘
레반돞스키가 발롱도를 받은 건 아니지만 사실상 발롱도르 받은 거라고 봐야죠. 수지가 그 정도로 최강자였던 시절이 있냐? 하면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물론 수지의 경쟁자는 전성기 메날두였다는 걸 고려해야겠지만요.
Energy Poor
20/10/19 10:39
수정 아이콘
골은 비슷한데 어시가 거의 2배 차이군요
포스핀
20/10/19 10:49
수정 아이콘
수아레즈 최근 몇년간 이름값 못한것도 고려해야죠.
꾸레분들도 팔자고 할 정도의 반응을 잊질 못하겠네요.
스토리북
20/10/19 10:51
수정 아이콘
이건 걍 쌍두마차 합시다.
그말싫
20/10/19 10:58
수정 아이콘
레반돞은 스쿼드가 안받쳐주면 못 쓸거 같아서 수지
루카쿠
20/10/19 11:59
수정 아이콘
정통 스트라이커는 레반돕, 크랙은 수아레스라 봅니다.
둘다 챔스도 똑같고, 리그 우승은 레반돕이 바이언 소속이었으니 레반돕이 더 많지만, 수아레스한테는 월드컵 4강과 코파 우승이 있죠.
그렇다면 커리어는 우열을 가리는게 어렵다 봐야겠고...
그러나 지금보다 훨씬 약했던 리버풀 멱살잡고 혼자 하드캐리한 임팩트는 레반돕한테는 없는 듯해서 저는 수아레스에 한표입니다.
그리고 어시 차이가 100개쯤 되는데 아무리 메시가 잘 넣은걸 감안해야 한다 해도 수지가 더 다재다능한 선수라 생각합니다.
치토스
20/10/19 12:20
수정 아이콘
수아레즈가 신계에 발 담궜던 시절 리버풀의 에이스도 맞았고
하드캐리 했던 경기들이 수도 없이 많았던것도 사실이지만
멱살 까지 잡았다기엔 그 시즌 제라드랑 스터리지도 1.5인분 씩은 했기 때문에 그 정도 표현까진 아닌것 같아요.
클로로 루실후르
20/10/19 13:03
수정 아이콘
에이.. 수지가 그시절 멱살캐리했다는건 부인하기어렵죠
루카쿠
20/10/19 13:43
수정 아이콘
흠 그럴까요? 당시 리그 31골은 모하메드 살라가 경신하기 전까지 최다 득점이었고,
수아레스가 나올 때와 나오지 않을 때 경기력 차이가 엄청났던 걸로 기억합니다.
프리킥까지 맡아서 차기도 했고요. 다른 시즌은 모르겠지만 그때 수아레스의 임팩트는 최고 잘나갔을 때 토레스, 살라 이상이었어요.
루카쓰
20/10/19 23:30
수정 아이콘
축구에서 그 정도했으면 멱살캐리가 맞다고 생각해요. 근10년간 리그에서 수아레즈 이상으로 팀을 캐리한 선수는 메시를 제외하고 없지 않나요?
냉정한테리블
20/10/19 12:57
수정 아이콘
누굴 선택해도 이해가 가는 수준
이혜리
20/10/19 12:58
수정 아이콘
누굴 선택해도 이해가 가고, 커리어나 실력은 수아레즈 손을 들어주고 싶은데,
수아레즈는 악동 싸이코 이미지고, 레반돕은 골 넣는 축구 도사 이미지라서 저는 레반돕 할래요.
루카쿠
20/10/19 13:46
수정 아이콘
악동 싸이코 인정... 그건 진짜 부인하기 어렵네요.
천혜향
20/10/19 14:22
수정 아이콘
뱀파이어는 극혐이라 레반도프스키 선택합니다.
20/10/19 14:40
수정 아이콘
스탯만 보면 걍 후자 압승아닌가요? 최근 폼은 전자가 더 나은거 같긴 한데 2010년대를 이야기하는데 있어 그건 중요한게 아닌듯하고, 인성문제도 스트라이커를 이야기하는데 이야기될 필요가 있나싶기도하고 그러네요.
20/10/19 15:11
수정 아이콘
수아레즈 한명 때문에 리버풀 경기 챙겨봤었네요
전성기엔 경이로운 수준이었죠
아기상어
20/10/19 18:08
수정 아이콘
최전성기에도 수아레스는 1920 레반돕만큼 지배력을 보인 적이 없었고 발롱 포디움 한번 든 적이 없죠.

레비가 누적이 밀리는 것도 아니고 레비 손 들어줍니다.
20/10/19 19:23
수정 아이콘
수아레즈 인성 때문에 싫어하지만 수아레즈요
팜블라드
20/10/19 21:04
수정 아이콘
전성기 기준이면 수아레스 뽑을거 같은데
2010년대라고 했으니............ 2010~2019년까지 다 통틀어서 본다고 하면 레반돕이 맞지 않나 싶기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163 [스포츠] [KBO] 5강 경우의 수 (10/23) [12] 4440 20/10/23 4440 0
54162 [스포츠] [크보] 양의지, 포수 최초 30홈런 100타점 [30] 길갈5657 20/10/23 5657 0
54161 [스포츠] KBO 박병호 부상 복귀 후 첫 홈런.gfy [10] 삭제됨4633 20/10/23 4633 0
54160 [스포츠] [KBO] 오늘도 기록을 만드는 롯데 자이언츠.gif [14] Alan_Baxter6213 20/10/23 6213 0
54159 [연예] [트와이스] "Eyes wide open" Jacket making film [4] 발적화3842 20/10/23 3842 0
54158 [연예] (약스압) 불금엔 유아 [62] 묻고 더블로 가!10802 20/10/23 10802 0
54157 [연예] [레드벨벳]슬기가 근본인 이유 [24] 풀캠이니까사려요10552 20/10/23 10552 0
54156 [스포츠] [MLB] 김광현 "힘들었지만 운이 따랐다." [17] 손금불산입7816 20/10/23 7816 0
54155 [스포츠] [KBL] 어제 경기 KTvsKGC 허훈 활약상(+버저비터) [23] 치토스4881 20/10/23 4881 0
54154 [스포츠] [해축] 이겼으니 장땡인가 아닌가.gfy [33] 손금불산입7356 20/10/23 7356 0
54153 [스포츠] [해축] 유로파 1골 2어시스트를 기록한 쿠보.gfy [8] 손금불산입5113 20/10/23 5113 0
54152 [기타] 언차티드 영화 [16] NetGO7922 20/10/23 7922 0
54151 [연예] 공동작업했던 성시경이 폭로한 아이유 인성 [66] BTS13924 20/10/23 13924 0
54150 [연예] 미국 대통령선거 분석방송에 등장한 BTS [19] 삭제됨8465 20/10/23 8465 0
54148 [스포츠] [해축] 손흥민 시즌 9호골.gfy [86] 손금불산입11621 20/10/23 11621 0
54147 [스포츠] [KBO] 오늘자 각팀 매직&트래직.JPG (펌) [19] 제랄드5294 20/10/23 5294 0
54146 [스포츠] 나승엽 계약관련 다른 팀 반응.AVI [72] 보라도리7472 20/10/23 7472 0
54145 [스포츠] [해외축구] 요즘 보면서 천재라고 느끼는 선수 [16] 아라가키유이8025 20/10/23 8025 0
54144 [연예] 남초발 까까미... 유노윤호... [23] Rain#19661 20/10/23 9661 0
54143 [연예] 최고의 여자솔로가 될 준비가 된 청하.jpg (feat. 아이유,태연) [34] VictoryFood101351 20/10/23 101351 0
54142 [연예] 이시국에 빛나는 현자 JYP 의 5년전 강의 [71] 덴드로븀14114 20/10/23 14114 0
54141 [연예] Message From EPIK HIGH [8] KIMTAEYEON6767 20/10/23 6767 0
54140 [연예] 메이크업 아티스트 아이돌 인성 폭로 레전드.jpg [43] insane16976 20/10/22 1697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