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다시봐도 좋은 양질의 글들을 모아놓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02/22 14:11:11
Name 코세워다크
Subject 김두한의 죽음과 고혈압의 역사 (수정됨)
DsfdwDYUUAA4oYI.jpg

"1972년 11월 21일 김두한은 오랜 지병이었던 고혈압으로 쓰러졌다..."

허나 이는 사실과 약간 다르다. 실제로 김두한이 쓰러진 날은 1972년 11월 19일이다.

당시 김두한이 내원한 고려병원(현 강북삼성병원)의 응급실 기록에 의하면 김두한은 11월 19일 갑작스레 두통을 호소하며 구토를 한 뒤 의식저하가 있어 혼수상태로 응급실에 내원했다고 되어있다.

이후 그는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11월 21일 사망했다.

평소에 고혈압이 있었으며 갑작스런 두통 및 구토, 의식저하가 진행된 것으로 보아 뇌출혈로 인한 사망이 강력하게 의심된다


문득 김두한이 사망했던 50년 전의 고혈압 치료는 어떻게 이뤄졌는지 궁금해서 관련자료를 찾아봤다

그리고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1972년에는 고혈압의 진단기준 및 치료 지침이 없었다!!

5932eceed0297d7f3e1cd64b
(아니 의사양반 그게 무슨소리요!!)

최초로 고혈압 진단 및 치료 기준을 제시한 JNC (Joint national committee)의 고혈압 가이드라인 JNC-1은 1977년 첫 발표되었다.

Classification-of-diastolic-and-systolic-blood-pressure-according-to-JNC-Guidelines-1-to.png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혈압 진단기준인 수축기혈압/이완기혈압 140/90mmHg도 1993년에야 정립된 기준이다. 윗 표를 잘 살펴보면, 최초의 가이드라인인 JNC-1때만 해도 고혈압 진단기준이 이완기혈압(DBP)이 105이상인 경우였고 수축기혈압에 대한 기준은 아예 없었다...

1984년 JNC-3에 이르러 고혈압 진단기준이 160/90이 되었고 JNC-5(1993)에서는 140/90으로 하향조정되었다.

그럼 1977년 이전까지 고혈압 환자들은 어떤 치료를 받고 있었을까?

Nikolai-Korotkov.jpg
(니콜라이 코로트코프와 그가 개발한 수은 혈압계)

1905년. 혈관외과 의사인 니콜라이 코로트코프(Nikolai Korotkoff)는 지금과 같은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측정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혈압의 객관적 측정이 가능해지자, 혈압이 높으면 건강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겠다는 인식이 서서히 생겼다.

하지만 고혈압 치료법이 정립되는데에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는데, 이는 당대 의사들의 상당수가 고혈압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몸의 변화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이 이론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은 19세기 독일의 의사 루드위그 트라우베(Ludwig Traube)로 그는 해부를 통해 고혈압 환자들의 신장 동맥이 수축되어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신장에 더 많은 피를 보내기 위해 혈압이 높아진 것이며, 고혈압을 억지로 조절하면 도리어 신장에 피가 돌지 않아 장기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트라우베의 주장은 당대 지식인들의 지지에 힘입어 1940년대까지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는 풍조를 낳았다. 1920년대부터 일부 의사들이 혈압이 높은 환자에게 교감신경 절제술을 통해 혈압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우려하던 장기부전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고, 1928년 미국 보험협회에서 고혈압 환자들이 기대수명이 더 낮다는 통계를 내놓아도 고혈압에 대한 기존의 인식은 쉽게 바뀌지 않았다.

273C3C3F58D7C51F2B.jpg
(1945년 2월 얄타회담. 좌측부터 처칠, FDR, 강철의 대원수)

고혈압으로 인한 당대 최대 피해자 중 한명이 그 유명한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되시겠다. 평소 고혈압이 있었지만 치료를 받지 못했던 그는 당시 기록에 의하면 평소 혈압이 220/120mmHg까지 측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치의에게 건강에 별 문제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얄타회담 당시 이미 루즈벨트의 건강은 많이 악화되어있었다. 당시 윈스턴 처칠의 주치의는 '루즈벨트의 건강이 굉장히 좋지 않아보인다. 동맥경화가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아마 수 개월 이내에 사망할 것이다'라는 기록을 남겨놓았다.

실제로 회담 2개월 후 루즈벨트는 머리가 아프다는 말을 남기고 갑자기 쓰러졌다. 사인은 뇌출혈이었다. 사망 직전 혈압이 무려 350/190mmHg까지 측정되었다고 하니 머리 혈관이 고혈압을 감당할 길이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루즈벨트의 사후 3년이 지나 해리 트루먼 대통령에 의해 승인된 미국심장협회(United state national heart act)가 출범하였다. 그들은 프래밍험 연구(Framingham study)를 통해 '치료받지 않은 고혈압은 이른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놓았다. 이를 뒷받침하는 여러 연구들의 결과가 속속 나오며 고혈압 치료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다.



220px-James_Black.jpeg
(베타차단제 계열 혈압강하제 propranolol의 개발로 노벨상을 받은 영국의 제임스 블랙)

1947년 펜타퀸을 시작으로, 1950년대에 이르러 하이드랄라진, 레세르핀 등 여러 종류의 약이 고혈압 치료에 쓰이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초창기 약이 그렇듯이 이들은 매우 많은 부작용을 동반하여 환자를 힘들게하였다. 실제로 1960년대 초반까지 고혈압 치료에 관한 논쟁이 지속된 주요 이유가 고혈압 치료 약물의 부작용이 너무 크다는 것이었다.

이후 이뇨제, 베타 차단제가 고혈압 치료 약물로 등장하며 부작용이 적은 혈압 강하가 가능하게 됐다. 196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는 고혈압은 '약물로 안전하게 조절 가능한' 병이라는 인식이 퍼졌고 60년대 후반 또 하나의 OP 약물인 칼슘채널차단제가 등장하며 더욱더 다양한 치료가 가능해졌다. 1975년 최초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ACEi), 1986년 안지오텐신수용체차단제(ARB)가 시판되어 현재도 고혈압 치료의 기틀로 자리하고 있다.

155536_5b3334e8577d9.jpg

(나도 치료를 잘 받았다면ㅜㅜ)

다시 시계를 1972년으로 돌려보자. 당시 김두한을 비롯한 한국의 고혈압 환자들이 정확히 어떤 치료를 받았는지는 남아있는 기록이 많지 않아 알 수 없다. 다만 60년대에 개발된 이뇨제, 베타차단제 등이 쓰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1972년까지는 명확한 고혈압 치료 지침이 없었기에 현대 사람들의 기준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이뤄졌을 가능성은 낮다. 김두한의 경우 혈압을 잘 조절했다면 더 오래 살 수 있지 않았을까 추정한다.

혈압 강하제, 항생제, 당뇨약 등 현대 의학의 굵직한 발전은 대부분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이뤄졌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적어도 70년 전 미국 대통령보다 훨씬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진료 및 치료를 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것을 행운으로 여기며, 오늘도 우리의 혈압을 위하여 균형잡힌 식사와 적절한 유산소 운동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


같이 보기

Timeline of history of hypertension treatment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63852/


* 노틸러스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8-06 12:58)
* 관리사유 :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중이
19/02/22 14:14
수정 아이콘
빰빰빰빰 빰빰빰 빰빰빰빰 빰빰빰
첸 스톰스타우트
19/02/22 14:22
수정 아이콘
우우우우 우 우우 우 우우우 우
껀후이
19/02/22 16:33
수정 아이콘
큰 시련들이 내게 가져왔던 상처만이 나를 만들었지...?
이부키
19/02/22 14:15
수정 아이콘
두한아! 두한아!!
키비쳐
19/02/22 17:52
수정 아이콘
애비를 죽인 두한아!!
아, 이게 아닌가?
네오바람
19/02/22 14:15
수정 아이콘
약하다 욕하지마~
19/02/22 14:17
수정 아이콘
사딸라
강동원
19/02/22 14:19
수정 아이콘
마지막문단... 넘모 아프네요
오늘 저녁회식에 운동은 숨쉬기 운동(산소가 있으니 유산소 운동 맞죠?) 뿐이니...
Zoya Yaschenko
19/02/22 14:22
수정 아이콘
무산소 운동은 대체...
우와왕
19/02/22 14:44
수정 아이콘
이 세상 운동이 아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9/02/22 15:06
수정 아이콘
숨을 참으면서 해야하는 잠영!!
Zoya Yaschenko
19/02/22 14:21
수정 아이콘
필사적으로 다리를 떨고 있습니다.
여러분 운동하세요 운동.
19/02/22 19:18
수정 아이콘
다리떨면 뭐가 좋아지나요?
Zoya Yaschenko
19/02/22 19:20
수정 아이콘
혈액순환이죠!
답이머얌
19/02/22 19:23
수정 아이콘
뉴스에서도 나왔었는데 뉴스는 못찾겠고, 블로그 글이 뉴스와 거의 동일해서 링크 첨부합니다.

https://sunlightfill.tistory.com/741
날씨가더워요
19/02/22 14:26
수정 아이콘
키보드배틀과 함께 다같이 손가락 운동을. 다만 승자는 치매 예방 및 만병의 근원인 스투레수를 해소할 수 있으나 패자는 혈압이 상승할 수 있으니 고혈압환자께서는 각별한 주의 부탁드립니다.
19/02/22 14:31
수정 아이콘
에엑따
미사모쯔
19/02/22 14:38
수정 아이콘
바람처럼 스쳐가는 정열과 낭만아~~~~
Zoya Yaschenko
19/02/22 14:44
수정 아이콘
아직도 내겐 거친 꿈이 있어~ 이 세상 속에 남았지
키비쳐
19/02/22 15:31
수정 아이콘
기다리지 않는 세월 등 뒤로 하면서
러블세가족
19/02/22 16:18
수정 아이콘
얘들아 3년동안 수고했고 나중에 웃으면서 보자
인생은이지선다
19/02/22 16:25
수정 아이콘
우리 1년 더한다!
지금만나러갑니다
19/02/22 14:45
수정 아이콘
내용의 진지성과 댓글의 유머성이 어울리지 않은 이런 이질적인 느낌이란...
박찬호
19/02/22 14:57
수정 아이콘
수레바퀴가 돌아가고
IZONE김채원
19/02/22 15:12
수정 아이콘
피지알러들도 러닝머신 하면서 키배떠야죠. 러닝머신으로 가빠오는 호흡과 빨라지는 맥박 그리고 게시글과 리플로 인해 빡쳐서 두배로
빨라지는 호흡과 맥박을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그 뒤는 모리게씸다
19/02/22 17:13
수정 아이콘
팩폭 댓글 맞고 혈압 올라서 뇌출혈...(???)
Lord Be Goja
19/02/22 18:52
수정 아이콘
황신절 pgr 정전음모 사건
19/02/22 15:22
수정 아이콘
김두한만 보고 반사적으로 클릭했다가 고혈압 지식이 늘었네요.
박진호
19/02/22 15:29
수정 아이콘
이 글을 읽으니 문득 스크림 가면이 생각나네요.
곽철용
19/02/22 15:30
수정 아이콘
이 시대에 태어난 건 정말 행운입니다.
토니토니쵸파
19/02/22 16:18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류수정
19/02/22 16:48
수정 아이콘
하루살이다~
블루태그
19/02/22 17:36
수정 아이콘
김두한 어그로보소 엌크크크 사실상 인터넷 밈 대통령;
19/02/22 18:15
수정 아이콘
내가 고(혈압환)자라니!!
닭장군
19/02/22 18:26
수정 아이콘
똥산자!
19/02/22 18:42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요즘은 초반부터 복합제로 조절한다는데 현역 의사분 답변 기대해봅니다.
코세워다크
19/02/22 18:50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단일제로 시작하던 이전 guideline과 달리 최근에는 초치료부터 한알에 두 가지 성분이 포함된 복합제로 시작할 것을 추천하고 있죠.
남광주보라
19/02/22 18:45
수정 아이콘
썅! 두하니~ 고거 고혈압이 무슨 소리네?
19/02/22 18:52
수정 아이콘
Aㅏ, 당뇨약을 썼고 혈압도 낮췄어요. 혈압이 너무높아서 조금만 더 늦었어도 하마터면 큰일날 뻔 했습니다.
19/02/22 19:06
수정 아이콘
얼마나 나오셨길래..
로빈경
19/02/22 19:12
수정 아이콘
무슨! 이것은 좋은 글이다 순식간에 읽어버렸네 감사합니다
태연과 지숙
19/02/22 22: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기 혈압 오픈 하실분?
저는 30대후반인데
늘 기계처럼 120-80으로 살다가
몇 년 전부터 150-90이 되더군요. 술, 담배
그러다 양파즙 먹고 140-82 정도로 되더라구요. 오늘 주민센터에서 쟀어요. 2번 쟀어요. 오늘 콩콩절이람서요.
19/02/23 07:07
수정 아이콘
무...무슨! 심영물이 세상에 지식을 넓히는 현상 정말 마음에 듭니다.

유익한 글 감사합니다. 글이 너무나도 재미있었어요!
캐러거
19/02/23 08:43
수정 아이콘
김영철씨는 거의 인터넷 밈의 알파요 오메가네요

저도 항상 유전ㅠㅠ때문에 혈압 걱정해야해서 잘 보고 갑니다
잡동산이
19/02/24 09:11
수정 아이콘
순간 나레이션 양반이 등판하신줄 알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44 도서리뷰 - 이언 모리스,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46] 雲庭 꿈꾸는구보1802 22/02/19 1802
3443 (번역) 악마나 신을 법적으로 고소할 수 없는 이유 [5] Farce1610 22/02/19 1610
3442 F/A-18C를 만들어 봅시다. [13] 한국화약주식회사1487 22/02/17 1487
3441 해외직구대행 1년차 잡설 [33] 이러다가는다죽어1747 22/02/14 1747
3440 [슬램덩크 이야기]내 마음속 최고의 디펜서 허태환!! [73] BK_Zju1506 22/02/13 1506
3439 관심사 연표를 공유합니다(문학, 영화, 철학, 음악, 미술, 건축 등) [23] Fig.11809 22/02/10 1809
3438 [잡담] 과학상자 3호 [25] 언뜻 유재석1689 22/02/08 1689
3437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35] 푸끆이1572 22/02/06 1572
3436 배철수의 음악캠프 30주년 특별기획 - 배캠이 사랑한 음악 100(1) [18] 김치찌개1413 22/02/05 1413
3435 [성경이야기]모세의 죽음과 다음 지도자 [11] BK_Zju1118 22/01/17 1118
3434 이탈리아에서 날아온 작은 라팔을 만들어 봅니다 [28] 한국화약주식회사2239 22/02/04 2239
3433 어떻게 국내의 해양플랜트 업계는 망했는가? [30] antidote2449 22/02/04 2449
3432 [테크 히스토리] 22kg → 1kg 다이어트 성공기 / 노트북의 역사 [22] Fig.11968 22/02/04 1968
3431 기계공학과는 어쩌다 취업이 어려워졌는가? - 14학번 기계공학도의 관점에서 [68] 새강이2200 22/02/04 2200
3430 [성경이야기]솔직히 이집트 사람 입장에서 억울하지 않나? [25] BK_Zju7819 21/01/05 7819
3429 [스포]누가 좀 시원하게 까줬으면 좋겠는데... 지금 우리 학교는 [53] ipa3445 22/02/02 3445
3428 남산에서 바라본 사계절 [38] 及時雨1946 22/02/01 1946
3427 글 잘 쓰는 법 [24] 구텐베르크3043 22/01/28 3043
3426 [끄적끄적] 3살 아이는 티라노를 좋아한다. [35] 구준표보다홍준표2793 22/01/28 2793
3425 [성경이야기]지도자 훈련을 받는 요셉 [9] BK_Zju4108 20/12/22 4108
3424 [역사] 붕어빵 꼬리에 팥이 있어야할까? / 붕어빵의 역사 [30] Fig.11895 22/01/17 1895
3423 2년 간의 방송대 졸업 분투기 및 약간의 가이드 [32] Dr. ShuRA2051 22/01/16 2051
3422 상나라의 인신공양을 알아봅시다 [44] 식별2302 22/01/16 230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