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2/13 10:38:22
Name Liverpool FC
Subject [질문]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떴습니다.
아반떼 AD 타고 있는데

어제 앞타이어 두개 다 공기압이 낮다고 경고등이 뜹니다.

혹시나 싶어 발로 차보고 손으로 눌러봤는데

타이어가 살짝 들어가기는 하는데

공기압이 많이 낮은 느낌은 아닙니다.

이 상태로 100키로 가까이 주행해야하는데 위험할까요?

타이어 공기압이 낮을 경우 운행중에 어떤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ohn Snow
17/02/13 10:40
수정 아이콘
저도 아반떼 AD 타고 있습니다. 9월에 차량 구매했는데 11월~12월 사이에 날 추워지니까 타이어 공기압 뜨더라고요.
바로 현대차 정비소 가서 왜 산지 2~3달 밖에 안된 차가 공기압이 낮아지냐 물어보니까 날 추워서 그런거라고 하더라고요.
부모님 차를 많이 타고 다녔는데 (SM5), 예전 차량에는 타이어 공기압 표시가 안나와서 그럴거라고 하더군요.

장거리 운전이시라면 블루멤버스??맞나 정비소 근처 가시면 그냥 바로 자전거 바람 넣듯이 넣어주니 걱정되신다면 그리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바닷내음
17/02/13 10:42
수정 아이콘
심할 경우 운행중 공기가 빠진쪽에 차가 쏠리겠죠. 위험합니다.
경고등이 들어온 정도가지고는 위험할리는 없겠지만 냅두면 위험해질 요지는 있습니다.
주행하시다가 가까운 서비스센터나 카센터에 가서 공기 좀 넣어달라고 하세요. 웬만하면 무료로 해줍니다.
서낙도
17/02/13 10:43
수정 아이콘
공기압 낮은 느낌이 안난다면 일반적 운행 100KM 위험성은 거의 없습니다.
낮은 공기압으로 운행중 위험은 잘 모르겠고, 타이어 마모는 빨리 됩니다.
그리움 그 뒤
17/02/13 10:45
수정 아이콘
위험합니다.
저도 2년 전에 고속도로 주행중에 타이어공기압 경고등이 떠서 마침 바로 앞에 휴게소가 있길래 거기서 보험사 호출해서 봤더니
뒷바퀴 타이어 안쪽이 굉장히 많이 찢어져 있더군요.
출장 나오신 분이 기겁을 하면서 바로 타이어 바꾸라고 하더군요.
그 당시 제 타이어가 런플랫 타이어였고, 고속도로가 막혀서 저속운행하고 있어서 다행이었지 아니였으면 고속도로에서 타이어 터졌을 수도 있었다고 하더군요.
찢어진 모양, 상태로 봤을때 꽤 시간이 된 것 같은데... 웃긴건 1개월 전에 자동차검사, 정비소에서 아무 이상 없다고 했다는 겁니다.
타이어 안쪽이 찢어진거라 대충보고 괜찮다고 한거에요.

바로 정비소 가서 타이어 상태 꼼꼼하게 확인해보세요.
클레멘티아
17/02/13 10:45
수정 아이콘
블루핸즈 가면 공짜로 해줍니다. 겨울이라서 그래요
덴드로븀
17/02/13 10:52
수정 아이콘
TPMS 가 있다면 심각하게 위험할거 없긴 한데 주변에 아무 정비소나 타이어샵 같은데 가셔서 바람좀 넣어달라고 하면 귀찮은 표정과 함께 넣어줄겁니다.
까만 눈동자를
17/02/13 11:07
수정 아이콘
블루핸즈 필요없습니다. 아무정비소가 가서 공기압이 낮아서 그런데 좀 넣어주시면 안될까요? 내지는 제가 넣을테니 공기압 세팅만 좀 해주시면 안되겠습니까 라고 해주면 공기압 세팅 해주고 그냥 넣으면 됩니다. 그냥 꽁자가 힘들다면 고속도로중에 공기압 넣을수 있는 휴게소를 검색하신 후 해당차량의 적정 공기압을 핸드폰으로 확인하신 후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넣으면 됩니다.

그리고 경고등 떴으면 넣으세요. 제조사에서 괜히 경고등을 만든게 아닙니다. 위험하니까 만든겁니다.
17/02/13 11:15
수정 아이콘
추워서 그런거면 달리는동안은 타이어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다시 팽팽해집니다.
하지만 윗분 말씀처럼 어디가 찟어지거나 한 거라면 위험할 수 있으니 찝찝하시거나 주행중에 뭔가 이상이 감지되시면 바로 점검을 받아보세요.
17/02/13 12:47
수정 아이콘
저도 겨울만되면 경고뜨더군요.. 고속도로타실일있으면 휴게소들러서 셀프로 넣으시면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7989 [질문] 많은 텍스트 문서를 차례로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7] 호가든2846 17/02/13 2846
97988 [질문] 물리 관련 질문입니다 [6] UniYuki3283 17/02/13 3283
97987 [질문] 평발이 신을만한 런닝화가 있을까요? [8] Kobe8184 17/02/13 8184
97986 [질문] 비포장 이사 비용 질문드립니다 [6] 카버4927 17/02/13 4927
97985 [질문] 코어와 쓰레드에 관한 의문입니다. [12] 동원사랑3096 17/02/13 3096
97984 [질문] 실업급여 관련 질문입니다 [9] 곰비3884 17/02/13 3884
97983 [질문] 국내 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별 많이 보이는곳) [3] 김밥이좋아3800 17/02/13 3800
97982 [질문] 분실폰 소액결제 관련 질문입니다. [2] ryn2721 17/02/13 2721
97981 [질문] 연신중학교가 씨름으로 유명한가요? [2] 토구백3909 17/02/13 3909
97980 [질문] [사진] 눈썹문신?그리기? 질문입니다. [6] 스테비아3519 17/02/13 3519
97979 [질문] [디아3] 야만용사 질문드려요. [2] 그란디아3089 17/02/13 3089
97978 [질문] QHD모니터가 QHD 설정이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17] 이슬먹고살죠12865 17/02/13 12865
97977 [질문] 대한민국이 넘사벽 1위인 것은? [43] possible5458 17/02/13 5458
97976 [질문] 동수저, 은수저의 기준이란!? [35] 부처16469 17/02/13 16469
97975 [질문] PGR분들이 보시기에 이정도면 흙수저라고 보시나요? [47] 마르키아르5185 17/02/13 5185
97974 [질문] 요즘 대학등록금이 얼마하나요 [6] 물푸레나무3876 17/02/13 3876
97973 [질문] 대출상담사? [8] 천둥3527 17/02/13 3527
97972 [질문] 여행용 캐리어 브랜드 비교 질문드립니다~ [13] classic7802 17/02/13 7802
97971 [질문] 사랑니 안뽑았는데 사랑니 발치증상 발생했습니다. [7] Jan6947 17/02/13 6947
97970 [질문] 외국에 있는 분과 카톡전화 연결방법 [3] 래쉬가드4270 17/02/13 4270
97969 [질문] 7700 VS 7500 VS 6600 [12] 아이러브스타4668 17/02/13 4668
97968 [질문] SBS 대통령 면접? 보신분 계신가요? [11] Secundo4677 17/02/13 4677
97967 [질문] 운동하고싶은데 뭐부터 시작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3] 난나무가될꺼야3446 17/02/13 34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