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7/01/18 22:55:13
Name CoMbI COLa
Subject [질문] 한국말(한글 말고 언어)은 기원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자게에 나이 셈 법 글을 보다가 댓글에 있는 내용을 보고 질문 드립니다.
한글은 세종대왕께서 창제하신게 맞는데 그러면 우리가 쓰는 언어, 한국어는 누가 만들었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네요.

주변 국가인 중국과도 상당히 달라서 (심지어 어법상으로도) 중국말로부터 파생되었다고 보기도 좀 그렇고요. 자세한 내용은 아니더라도 간략하게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아니면 분석한 글이나 책을 추천해주셔도 좋습니다.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루빨리
17/01/18 22:58
수정 아이콘
중학교땐 우랄 알타이어계 언어 계통이라고 배웁니다만, 요즘 떠도는 이야기에 따르면 인도-아리안계 언어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더군요.
17/01/18 23:05
수정 아이콘
짧은 지식밖에 없어 원하시는 답변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만 일단 중국어는 중국-티베트 어족으로 분류됩니다. 언어는 누군가가 만든 게 아니라 마치 생물의 진화와 같이 변화해 왔습니다. 가령 한국어의 방언들을 보면, 지형적으로 고립되어 교류가 어려운 지역에서 발음이 변하거나 어법이 변하는 등 사투리가 발생했던 걸 볼 수 있습니다. 생물의 진화에서 고립이 같은 역할을 하는 것처럼요. 이 현상이 심화되면 같은 어족 안에서 새로운 언어가 나올 것이고(예를 들어 제주어가 있습니다. 다만 제주어가 단순한 지역 방언인지 한국어족 내의 다른 언어인지에 대해 이견이 있습니다.), 더욱 심화되면 아예 다른 어족으로 분류될 정도로 달라지겠죠. 오늘날이야 통신의 발달로 교류가 잦고(즉 고립이 사라짐.) 이로 인해 소수 언어들이 사어가 되고, 유력 언어들 중에서도 방언이 사라지는 양상을 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언어의 등장은 요원하겠죠. 그러나 먼 옛날 인류는 넓은 지구에 드문드문 퍼져 살았고 그나마 빙하기를 거치며 상당수의 인구가 줄었으리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고립된 부락이나 부족들을 많이 만들었겠고, 언어들이 갈라져 나왔으리라 생각합니다. 전공자 분들이 말씀 잘 해주시겠지만 제가 아는 선에서는 이 정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이야기도 재미있습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대만을 비롯 필리핀이나 인도네시아 등의 동남아 섬들 및 태평양의 군도들, 아프리카 연안의 마다가스카르 섬에까지 분포하는 넓은 어족입니다. 여기서 대만은 현재의 대만 주류인 중국인들이 아닌 대만 원주민들을 말하는데요, 대만을 강조한 건 대만에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하위 어파들이 전부 대만에 있기 때문입니다. 즉, 대만이 원조라는 거예요. 대만에서 퍼져 나간 원주민들이 태평양의 섬들과 마다가스카르 섬까지 거주하고 있다는 거죠. 그 섬들의 언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로 분류되는데, 이 어파가 속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다른 어파들은 대만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섬이란 고립된 조건에서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어떤 옛 언어가 각각의 언어들로 짧은 시간 안에 변한 게 재미있죠.
김치보단단무지
17/01/18 23:32
수정 아이콘
계통학적으로 한국어는 고립어입니다. 게르만어파, 슬라브어파, 로망스어군 등으로 묶어 설명할 수 있는 언어들과 달리 한국어, 일본어 등은 친척(?)이 없기 때문에 어디서 유래했다, 발전했다를 알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얘기하는 우리 민족(Ethnic Korean)이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특별한 이동 없이 꽤 오랜 시간을 정착 생활해서 고유의 언어가 발전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롤링스타
17/01/18 23:37
수정 아이콘
저 학부때는 한국어랑 일본어는 계통을 밝힐 수 없다고 배웠습니다. 윗 분이 설명해주신 고립어죠. 다만 알타이제어에 속할 가능성을 아예 버리지는 않고 연구 중이라고...
기본적으로 인도-유러피언 어족 등에 비해 남아있는 자료가 현저하게 적어서 연구하기가 쉽지 않다고 하네요. 요즘엔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졸업한 지가 꽤 됐으니...
CoMbI COLa
17/01/19 03:32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Philologist
17/01/19 04:05
수정 아이콘
한국어의 계통 연구는 1960년대 정도까지 '학문적으로' 불타올랐었습니다. 19세기 후반부터 한국어를 어딘가에 편입시키려는 노력이 있었고, 1930년대 람스테트, 1950년대 이후 그의 제자인 포페로 이어져 한국어 알타이어족설이 인기가 있었습니다(교과서에 나오는 우랄알타이 어족설은 심지어 그 이전의 학설입니다). 한국의 유명한 학자들도 한국어 계통 연구에 뛰어들었고 1960년대까지 붐을 이룹니다.
그런데 1970년대 포페가 한국어의 계통론에 대한 기존의 의견을 수정하였고, 심지어 '알타이 어족'이라는 것이 성립가능한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나오고 있으며, 그런 과정에서 계통 연구하던 한국인 학자들도 한국어 알타이 어족설을 수정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 한국어의 계통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는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몇 가지 원인이 지적 가능한데, 한 가지만 이야기하자면 인구어의 계통을 밝히는 데 사용했던 방법을 알타이 언어들에 대해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는 겁니다. 그래서 당시 계통론을 연구하던 분들도 우회적인 방법으로 연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요즘 한국어의 계통에 대해서는 비전공자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누구는 인도에 다녀오더니 인도어와 한국어가 관련이 있다고 하고, 누구는 중국 어디 소수민족과 한국어과 동계라고 합니다. 위에 인도-아리안 이야기를 하셨었는데, 인도아리안 설은 19세기~20세기 초반에도 나왔던 이야기로 기억합니다. 대표적으로 벵갈 어가 있죠. 뭐 수메르 어와 동계어 설도 있고 (...) 미국 쪽 역사언어학계에서는 아직도 한국어-일본어의 계통적 관련성을 찾고 있습니다. 최근에도 박사 논문이 하나 나왔네요. 대략 한국어-일본어-유구어의 공통조어를 설정하고 한국어가 먼저 떨어져나갔고 일본어 유구어가 늦게 분화했다고 봅니다. 뭐 사실 어떤 언어의 사전만 준다면, 현재 연구하는 방식으로는 한국어와 모든 언어의 접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겁니다.

요즘은 계통 연구보다는 지역 연구가 더 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여러 언어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어떤 식으로 발달을 했는가..를 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역 유형론(areal typology)이라고 하고, 한국어는 환태평양 언어권에 속해 있으며 해당 언어들과 어느 정도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7/01/19 04:41
수정 아이콘
최근에 나온 박사논문 제목을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전공자는 아닙니다만 스크랩 해 두고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96779 [질문] [하스스톤] 골드 사용에 관해서? [16] keycup5574 17/01/20 5574
96777 [질문] 불량 편의점을 신고하고 싶은데요. [15] 오쇼 라즈니쉬6544 17/01/20 6544
96776 [질문] PC견적 한번더 체크 부탁드립니다. [5] 건이강이별이3139 17/01/20 3139
96775 [질문] PS4 수리 문의드려요 [2] GMDSS3930 17/01/20 3930
96773 [질문] 스키장, 리조트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2] 하리네2491 17/01/19 2491
96772 [질문] 대만 공항 USD 환전 문의 (100달러 구권) [1] spike665688 17/01/19 5688
96771 [질문] 노가다 유경험자분들께 여쭙니다. [11] 꿈꾸는리토5286 17/01/19 5286
96770 [질문] 커뮤니티사기사건에 관해 [8] Paul Pogba3169 17/01/19 3169
96769 [질문] 공원에서 자는 사람 어디 신고해야하나요? [6] 카푸치노3679 17/01/19 3679
96768 [질문] 기본급과 상여금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4] 힘내고화이팅하자3575 17/01/19 3575
96767 [질문] 토니파커가 저평가받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9] 쿼터파운더치즈4034 17/01/19 4034
96766 [질문] 농구에서 S+ 한명이나 S 2명중 선택을 한다면.. [31] 마르키아르3965 17/01/19 3965
96765 [질문] 스마트폰쓰는데 자꾸 이어폰건들면 볼륨올라가고 구글런처가 멋대로 실행됩니다.. [5] cluefake11020 17/01/19 11020
96764 [질문] [급궁금] 나는 라면을 끓일 때 [48] Mindow3961 17/01/19 3961
96763 [질문] [LOL]혹시 롤하면서 이런 경험 있으신분 있나요? [20] ReSEt3396 17/01/19 3396
96762 [질문] 공연 전공이 알아야 할 상식 [1] 따루라라랑2322 17/01/19 2322
96761 [질문] 매장 알바하고 있는데 최저임금 관련해서 이게 무슨 말인지 좀 봐주세요. [9] 세오유즈키3299 17/01/19 3299
96760 [질문] [LOL] 이번 시즌 롤챔스 재밌나요? [10] 딴딴3674 17/01/19 3674
96759 [질문] 인터넷 결합상품 사은품?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The Warrior2589 17/01/19 2589
96758 [질문] bbq치킨 추천 부탁드립니다~ [26] 아리아리해15557 17/01/19 15557
96757 [질문] 대학원 진학 관련해서 고민이 많습니다. [25] anchored4596 17/01/19 4596
96756 [질문] OGG파일 루프를 만들고 싶습니다. [1] 이호철3217 17/01/19 3217
96755 [질문] 쉽게 만들수 있는 칵테일 뭐가 있을까요 [13] 기다4354 17/01/19 43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