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09/10 15:24:42
Name 방패연
File #1 111.JPG (164.6 KB), Download : 20
Subject [질문] [LOL] 핑 관련.. 인터넷/컴퓨터 어느게 문제일까요?


제 컴퓨터 사양입니다.
산지는 한 3~4년 됐습니다.

이정도면 롤 하는데 지장이 없어야된다고 보는데
이상하게 롤을 하다보면 핑이 100이상으로 튑니다. 심할 때는 300까지..
피시방 기준으로 8~10 사이가 나오고
저와 똑같은 시기에 케이스 빼고 똑같이 맞춘 친구도 9가 나온다는데
저는 정말 최적의 상태일 때도 14아래로 나온적이 없습니다.

무슨 차이일까요?
토렌트는 물론이거니와 따로 켜놓는 프로그램도 없고
프로세스 클린류 프로그램을 돌려도 그렇습니다.

인터넷은 SK브로드밴드
제 기억이 맞다면 흔한 100메가 광랜?인터넷인데
아파트도 아니고 그냥 다세대 주택가인데
연관이 있나요?
아니면 상품을 바꿔야 할까요?

5~6년 전에도 아프리카나 다음팟으로 방송하던 사람들이 널렸는데
3~4년 전에 산 컴퓨터는 처음 샀던 그 때도 그렇고 방송만 키면 핑이 튑니다.
물론 방송을 안 켜도 핑이 튀는 현상이 잦습니다.

SK에 문의를 넣어도 그쪽에선 문제 없고 P2P사용하시는지 라는 말만 들어왔는데

혹시 인터넷 문제라면 사용하시는 인터넷 상품 좀 추천부탁드립니다.
되도록이면 SK 인터넷 상품으로 추천 부탁드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edDragon
15/09/10 15:26
수정 아이콘
핑은 컴퓨터 문제가 아니라 회선 문제입니다.
저도 1년 전에 SK 브로드밴드 썼는데 핑이 자꾸 튀어서 KT로 갈아탔습니다.
핑 체크 검색하셔서 한번 해보시고 핑이 자꾸 튀시면 인터넷 회선 옮기시는걸 추천드립니다.
15/09/10 15:27
수정 아이콘
유선 인터넷은 KT밖에 답이 없습니다.
특히나 핑이 중요한 AOS / RTS / MOBA / FPS 장르 게임을 하실 때는... 그냥 KT 인터넷으로 바꾸시는 게 속 편하실 겁니다.
혹시나 메인보드 유선랜 단자 이상일 수도 있긴 한데, 저는 인터넷 회선 문제일 확률이 더 크다고 봅니다.
블루라온
15/09/10 15:28
수정 아이콘
게임 할때의 핑은 사는 지역에 따라서도 좀 차이가 있는 것 같더라구요. 브로드밴드와 KT 둘 다 써본 입장에서 KT가 훨씬 좋은 것 같습니다.
방패연
15/09/10 15:32
수정 아이콘
역시 KT로 갈아타야할까요
근데 저희집이 16년정도 매달 3만원씩 SK를 사용하다 이건 아닌거 같아서
올해 항의 후 요금을 만원대로 낮추고 IPTV를 추가했는데
올해 이랬는데 KT로 이동시 문제가 안 될까요?
Leeroy_Jenkins
15/09/10 15:34
수정 아이콘
물론 비싸지겠죠.
Leeroy_Jenkins
15/09/10 15:33
수정 아이콘
핑은 90% 회선문제입니다.
그리고 저도 SKT로 비슷한 고통 겪다가(제 경우엔 특정시간만 되면 회선이 아예 죽어버려서 원치않는 탈주를 했었죠.) KT로 갈아타고 고통에서 해방됐습니다.
15/09/10 15:35
수정 아이콘
핑은 컴퓨터 문제가 아니라 회선 문제입니다.
프로세스 클린 프로그램이라는 게 상주하는 그리드 딜리버리는 없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이겠죠? (그리드 스위치라던가)

저같은 경우 동일 증세가 있었고, 그리드 스위치 후 효과를 봤지만 이후에도 한차례 더 그래서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문의한 결과 '동네에 회선을 지나치게 많이 쓰는 사용자가 있을 경우 그럴 수도 있다'라는 희한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동일하게 SK를 사용중이며, 구를 옮겨 이사한 뒤로는 훨씬 더 낮은 핑 - 이전 집에서 문제없을 때 30~40핑, 지금 집은 기본 9~12핑 수준 - 으로 플레이하고 있네요.

아파트보다 오히려 다세대 주택이라 더 문제가 발생할 소지는 있습니다. 다세대 주택의 경우 주변의 사용자들을 모두 하나의 회선에 묶어버리는 시스템이다 보니..

위와 같은 문제가 있다보니 업체를 바꾸시려고 한다면 오히려 주변 다른 집에 물어보는 것이 더 신뢰도가 높습니다. 저만 하더라도 똑같은 SK인데 이전 집에서는 간헐적으로 핑이 높아졌지만 이사한 이후로는 그런 문제가 없으니까요.

덧붙여, 동일한 SK를 쓰시는 한, 사용중이신 인터넷 상품을 바꾸신다고 문제가 해결될 것 같진 않습니다. 결국 동네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업체로 갈아타시는 게 현실적인 정답이 되겠네요..
방패연
15/09/10 15:40
수정 아이콘
위약금 문제면 그냥 제가 내고 끝내면 그만인데
아무래도 부모님을 설득하려면 한달요금이 중요한지라
지금부터 바짝 알아봐야겠네요.
답변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SYN isana
15/09/10 15:58
수정 아이콘
전 그냥 kt로 바꿔버리고 요금 제가 냅니다. 지금은 행복하네요
하드코어
15/09/10 16:11
수정 아이콘
게임 하실분들은 가정집은 무조껀 KT 쓰셔야 합니다.
SK,LG 동네케이블 회사는 핑이 진짜 많이 튑니다..
신아영
15/09/10 16:32
수정 아이콘
핑튀는건 그리드때문에가 큽니다.
그리드스위치로 그리드를지워주세요
아팡차차찻
15/09/10 16:37
수정 아이콘
그래픽 카드때문에 핑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제 경험담이에요. 그래픽카드에 문제가 있을수도 있어요 정말입니다.
하다보면 갑자기 핑이 튀고 또 안정화 되고 이런게 반복되어서
인터넷 기사도 불러보고 했었는데 인터넷 기사도 이유를 알수없다는 말만 계속하고 답답했는데
글픽카드 교체하고 나니까 문제가 깔끔하게 해결되더군요.
15/09/10 18:22
수정 아이콘
이사하면서 LG로 갈아탄걸 무지하게 후회중입니다.
이사하기 전에는 정말 쾌적하게 했느데 이사하고 나서 집에서 하면 수시로 핑이 튀어서 랭겜을 겁이 나서 못 돌리겠어요ㅠㅠ
15/09/11 05:56
수정 아이콘
묻어가는 질문입니다. 저는 제 처제 컴터만 켜있으면 핑이 자꾸 튑니다. 그건 왜 그럴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19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220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936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7052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924
181186 [질문] 오디오 시스템에 관심이 생긴 오린이 입니다. backtoback134 25/07/20 134
181185 [질문] AR필름 위에 강화유리 부착해도 괜찮을까요 시린비166 25/07/20 166
181184 [질문] 가장 오래된 카카오톡 메시지는 언제적 메시지인가요? [3] 리락이482 25/07/20 482
181183 [질문] 항공사 마음대로 좌석 변경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추가도 있음) [16] 성야무인1339 25/07/20 1339
181182 [질문] 다음과 같이 문서 편집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 stayclever1258 25/07/20 1258
181181 [질문] 디즈니플러스에서 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 왜 사라졌나요? [3] 모찌피치모찌피치1959 25/07/19 1959
181180 [질문] 유머짤을 하나 찾습니다. [2] 토니토니쵸파1874 25/07/19 1874
181179 [질문] 유튜브 캠핑채널 좀 알려주세요 [13] 천재여우3205 25/07/18 3205
181178 [질문] KISA인터넷진흥원 보안패치 [7] 스터너2818 25/07/18 2818
181177 [질문] 케데헌이 지금 극장 개봉하면 흥행 얼마나 할 수 있을까요? [4] liten2969 25/07/18 2969
181176 [질문] 고1 남학생 향수 [10] 유사하2607 25/07/18 2607
181174 [질문] 이런 상황에서 대출 받기 가장 좋은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9] 원스2555 25/07/18 2555
181172 [질문] 휴대폰 구매 문의드립니다 [4] 하츄핑1464 25/07/18 1464
181171 [질문] 비올때 골프 복장 [10] nomark2022 25/07/18 2022
181170 [질문] 초가을에서 초겨울 일본여행을 갈 생각인데... [13] 히나1871 25/07/18 1871
181169 [질문] 선물계약은 몇 % 손실일 때 자동청산되는 것일까요...? [7] nexon2254 25/07/17 2254
181168 [질문] 노트북에서 CPU가 고장난 경우 [5] 카랑카1696 25/07/17 1696
181167 [삭제예정] 부모님 주선 소개팅(선?) 관련 [23] Da.Punk2378 25/07/17 237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