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08/22 17:45:00
Name 건이강이별이
Subject [질문] 일반적으로 제조업 원가율은 어느정도가 적정일까요?
가업을 이어가는 중인데 들어와서 보니 답답한 상황 같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연매출액은 200억가량입니다만 실원가율이 실판매단가의 80%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거기다 금융비용 이것저것 해보고 거래처 도산이라도 맞으면 남는게 거의 없습니다;; 작년엔 크게 맞아서 손해였구요
이런말 하면 안되지만 세금 때문에 대출 일으켜야할 상황까지 온적이 있어서 탈세라도 해야 하는거 아닌가 하고 고민도 했었구요.
수도권에 사는 제 친구가 다른 업종의 제조업을 하는데요(규모는 비슷하구요) 그 친구도 돈을 번다기보다 그냥 금융비용만 상환해가면서
버티면 오르는 땅값만 보고 한다고 하더라구요. 사정은 비슷한 거였죠.
나름 지역에서 평판도 좋았고 나쁜 얘기를 들은적이 없었는데 들어와서 보니 이런 상황이더군요....

대체 제조업의 적정 원가율은 어느정도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8/22 17:46
수정 아이콘
당연한 얘기인데 원가율은 낮으면 낮을수록 좋습니다.
적정한 원가율 따위는 없지요..

동종업계 평균 원가율 정도는 확인할 수 있겠지만
굳이 동종업게 평균 원가율을 벤치마크로 삼아야 할 이유도 없습니다.

자세한 사정을 잘 모르니까 자세히 얘기하기는 어렵지만
질문을
'동종업계 평균 영업이익률은 얼마일까?
(만약 동종업계 평균 영업이익률 대비 자사의 영업이익이 낮다면)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걸까?'
라고 바꿔보시고, 그 대답을 찾아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건이강이별이
14/08/22 17:54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 동종업계는 다 빠지고 싶어합니다... 우리가 그나마 좋은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일정하한선 두고 이 이하는 그냥 안하고 말거든요.
결국 시장논리인데 답답한 상황이라서요.. 매출처는 갑의 입장에 보통 대기업.
동종업계는 한때 좋다고 하니 우후죽순으로 뛰어들어서 서로 힘드니까 어떻게던 더 매출 올리려고 출혈경쟁.;;
원자재 매입처는 보통 대기업이라 우리가 갑이라고 하기도 힘들고;; 결국 오르게 되어있고

20년된 기업인데 그냥 직원및 관계자분들 다 신경쓰지 말고 나라도 살아야 하는가? 한숨만 나오는 요즘이네요..
제가 처음에 사회생활 시작했을때 나름 대기업이었는데 연봉이 2006년에 3100정도 됫습니다만.. 2010년에 이곳에 온후 처음 입사자 연봉이 1800정도더군요.
나중에 다 바꿔야지 생각했었습니다만 요즘은 안한게 아니라 못한거였구나 하는 현실을 알게 되더군요...
금요일=酒Day
14/08/22 18:37
수정 아이콘
질문과는 조금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친구 아버님이 특수분야의 제조업을 오래동안 하셨습니다.
특수분야라 진입장벽도 높고, 동종업계 초창기 멤버에 수완도 좋으셔서 크게 성공하셨습니다.
생산물량은 100% 대기업에 납품하는 업종이였는데, 갈수록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납품단가는 낮아져 고민하시다가,
결국 동종업계 1위업체에 사업일체를 넘기셨습니다. 동종업계 1위업체가 블랙홀처럼 거의 모든 경쟁업체를 잡아먹었다고 하더군요.
그리고는 몇 년전부터 건물지어 월세받고 노후를 보내십니다.
목 좋은 곳에 건물지어 월세받는 것이 가장 편하고 쉽게 돈버는 방법이라고 하시네요.
14/08/22 21:24
수정 아이콘
뭔가 획기적인 수익률 개선 방안(원가율 절감 방안이던지, 매출단가 상향 방안이던지)이 있지 않은 이상,
지금 상황이 그나마 좋을 때 출구전략을 마련하시고 실행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14/08/22 18:32
수정 아이콘
품종에 따라 천차만별인게 원가율이라 적정선은 없지만,

보통, 중소기업은 10~12%의 마진율, 중견기업은 8~10%의 마진율, 대기업은 6~8%의 마진율이면 장사를 '잘하고 있다'라고 평가를 받습니다.(원가율이 아니라 마진율입니다.)

그리고, 현재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공장은 자금회전을 위해 돌리고, 실제 이득은 공장부지 상승에 의한 부동산 수익이 주라고 보는게 맞을듯합니다. 요새 제조업(특히 하위레벨로 갈수록)은 제조업만해서는 먹고 살기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라..(납품업체의 단가후려치기가 극한까지 와있는 상태거든요..)
매너플토
14/08/22 20:59
수정 아이콘
통상적으로 세무조사 대상 업체에 선정 되지
않을려면 업계마다 다르지만 제조업은 통상 매출대비 3 프로가 순수익이여야 하더군요.
200억이 매출이면 6억정도는 순수익으로
신고되야 하는데 쉽지 않는 상황입니다.
제 주변 업체도 수익이 나지않으니 비자료
매출을 발생 시킬수 밖에 없는데 세무조사
당하면 몇년 번거 다 뱉더군요..
소나비가
14/08/22 23:15
수정 아이콘
80퍼센트라는 원가율에 어떤게 포함되고 어떤게 빠진건지 궁금하네요. 우리회사 계산 기준 원가율 80프로면 완전대박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198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216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93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704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920
181184 [질문] 가장 오래된 카카오톡 메시지는 언제적 메시지인가요? [1] 리락이92 25/07/20 92
181183 [질문] 항공사 마음대로 좌석 변경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추가도 있음) [12] 성야무인969 25/07/20 969
181182 [질문] 다음과 같이 문서 편집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1] stayclever1065 25/07/20 1065
181181 [질문] 디즈니플러스에서 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 왜 사라졌나요? [3] 모찌피치모찌피치1821 25/07/19 1821
181180 [질문] 유머짤을 하나 찾습니다. [2] 토니토니쵸파1800 25/07/19 1800
181179 [질문] 유튜브 캠핑채널 좀 알려주세요 [13] 천재여우3186 25/07/18 3186
181178 [질문] KISA인터넷진흥원 보안패치 [7] 스터너2806 25/07/18 2806
181177 [질문] 케데헌이 지금 극장 개봉하면 흥행 얼마나 할 수 있을까요? [4] liten2926 25/07/18 2926
181176 [질문] 고1 남학생 향수 [10] 유사하2579 25/07/18 2579
181174 [질문] 이런 상황에서 대출 받기 가장 좋은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9] 원스2532 25/07/18 2532
181172 [질문] 휴대폰 구매 문의드립니다 [4] 하츄핑1453 25/07/18 1453
181171 [질문] 비올때 골프 복장 [10] nomark2011 25/07/18 2011
181170 [질문] 초가을에서 초겨울 일본여행을 갈 생각인데... [13] 히나1858 25/07/18 1858
181169 [질문] 선물계약은 몇 % 손실일 때 자동청산되는 것일까요...? [7] nexon2239 25/07/17 2239
181168 [질문] 노트북에서 CPU가 고장난 경우 [5] 카랑카1685 25/07/17 1685
181167 [삭제예정] 부모님 주선 소개팅(선?) 관련 [23] Da.Punk2359 25/07/17 2359
181166 [삭제예정] 요즘 유행하는 환경부 스미싱 문자 질문입니다 [2] ...And justice1189 25/07/17 1189
181165 [질문] 디즈니 플러스 추천해주세요. [8] 오하이오1060 25/07/17 106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