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8/09/24 03:28:55
Name 잔인한팩트폭력
Subject [질문] 무협 단체 용어 질문입니다.
무협지에 보면 00문 00파 00방 00표국 등등 어떤 세력이나 단체를 가리키는 말이 많은데 이중에서 궁금한 것이

1. 문파라 부르는데 00문 / 00파 로 구분할 때 단체의 어떤 차이로 인해 문/파가 구분되는지

2. 00방 방파할 때 방은 어떤 성격을 가진 단체를 방이라 하는가

3. 00보 보는 무엇인가.

이상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irrorShield
18/09/24 03:30
수정 아이콘
작가 마음입니다.
먼치킨
18/09/24 03:39
수정 아이콘
작가 마음인데,
D&D 세계관처럼
김용 세계관에서 정해져있는 단체명이 있긴 있죠.

구파일방의 경우에
아미파를 아미방이라고 부르거나
소림사를 소림파라고 부르면
좀 이상하게 느껴지긴 합니다.

그치만
정해진 단체명 외에는 작가 마음이지요.
18/09/24 03:44
수정 아이콘
전통에 따른 클리셰가 있긴한데 결국 작가 마음이죠.
18/09/24 04:00
수정 아이콘
작가마음이긴 합니다만 문파는 보통 기지가 있는 특정지명이나 문파이름이 붙는 강남,지리산 같은 느낌이고 방이나 표국은 메인기지가 있지만 평상시에 제자들이 흩어져서 활동하는 본사,지사 느낌이 있습니다.
방은 지금으로말하면 당이나 무리같은거죠.표국은 옛날 우체국같은거입니다.의뢰인한테서 돈을받고 물품이나 사람,소식같은거를 전달하던곳인데 다만 워낙에 난세였으니 어느정도 무장력이 필수였던거죠.
보는 성루,요새 라는 뜻느로 문파느낌이 더 강한경우입니다.
18/09/24 04:37
수정 아이콘
문: 가문 위주의 모임
파: 무공 전수를 위한 스승-제자로 이어지는 모임
방: 이익집단(조폭) 으로 무공전수는 별로 안함

이정도 느낌인데 애초에 무협작가 중에 이런거 신경 안쓰고 대충 집필하는 분들도 많아서 작품마다 다릅니다.
진하늘
18/09/24 06:21
수정 아이콘
문은 문주랑 아들딸이 잘나가고
파는 장문인과 제자가 짱이죠
방은 개방 말고는 대부분 흑도 쪽인듯..
솔로13년차
18/09/24 08:03
수정 아이콘
제가 느끼는 건,
일단 '파'는 연합체거나 그걸 토대로 하는 경우라고 봅니다. 9파1방이라 할 때의 9파는 소림사를 제외하면 다들 지역명으로 되어있는데요. 그 지역에 사는 무림인들의 집단을 뜻했다고 봐요. 처음에는 개인이나 소수집단의 연합이고 그래서 '파'라고 불렸는데, 거대연합을 만든 후에도 계속 그 이름으로 부르는 거죠. 소림사는 연합이 아니라 소림사 사찰 하나를 뜻하니까 '파'가 아니고요. 초기 무협설정에서 무림인들은 종교인(불교or도교)들이 많았기 때문에, 자연스레 혈연이 아니라 스승-제자로 이어지는 것이 주류가 되겠고요. 요즘은 안그런 경우도 흔한데, 그것도 설정붕괴라기보다 요즘의 9파는 오랜 역사를 지닌 거대문파니까 이름만 과거에서부터 내려오는 '파'를 가져올 뿐 형질은 바뀐 거라고 봐야겠죠.

'문'은 그런 의미에서 노멀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하오문'이란 표현도 있듯이, 그냥 일반적인 무림인 집단을 부르는 명칭이 '문'인거죠. 사찰이 아니니 '사'도 아니고, 여럿이 모인 것도 아니니 '파'도 아닌 거죠. '9파1방'이란 이름이 워낙 유명해서 그렇지, '문'이야 말로 문파를 지칭하는 이름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일반명칭.

'방'의 경우 마찬가지로 집단을 뜻하지만 이 경우엔 무뢰배집단이란 이미지가 강합니다. 우리야 그런 뉘앙스가 약하지만, 중국에서 '방'은 부정적인 뉘앙스를 지니고 있고요. 본래 한자는 그렇지 않습니다만, 대체로 '패거리'의 의미로 쓰입니다.

말하자면 무림인이 어엿한 문파를 세운다면 그 건 아마도 '문'이 되겠고,
무림인들이 그냥 모여서 같이 다니는 경우, 그것도 남들이 보기에 안좋은 경우라면 '방'이라 불릴테고,
보통은 지리일텐데 그냥 친분이 아니라 다른 것으로 묶인 집단은 '파'로 불리는 거죠.
하지만 시간이 흘러 하나의 거대문파로 자리잡는다면, 처음에 '방'과 '파'로 이름이 시작됐더라도 굳이 이름은 바꾸지않고 사실상의 '문'으로 있는 것이지 않을까.

'표국'은 배달업이라고 볼 수 있겠고, '세가'는 말 그대로 가문이죠. 다만 무협에서의 '세가'는 단순히 그 가문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식솔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냥 가문이라 할 수는 없겠죠.
18/09/24 08:35
수정 아이콘
문이 기본형이라고 압니다.
회는 문에서 일정 정도 이상 보이면 회라고 한다고 압니다.
방은 사업 집단을 방이라고 합니다.
파는 3대 이상 내려오는 연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압니다.
보는 특정 자리에서 무장 집단이 거주하는 성향이 강할 때 쓴다고 압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5084 [질문] 성악 배우신분들 있으신가요?? [11] 다미2316 18/09/25 2316
125083 [질문] 공적연금연계 이거 어떤가요? [4] 나를연애하게하라2214 18/09/24 2214
125081 [질문] 오사카,교토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워라밸2231 18/09/24 2231
125080 [질문] LOL 진 스킨 추천 부탁 드립니다. [20] 아크4186 18/09/24 4186
125079 [질문] 발치후 봉합부 실밥 푸는 기간이 보통 며칠정도인가요? [3] 거참귀찮네4216 18/09/24 4216
125078 [질문] 하이패스 없이 하이패스 전용으로 지나갔습니다. [3] Liberation2922 18/09/24 2922
125077 [질문] 유부남들의 인생목표는 자식 잘 키우는 건가요? [15] 메티스3401 18/09/24 3401
125076 [질문] 중고나라 거래 판매 처음해보려고 하는데 팁좀 주실 수 있을까요? [7] 삭제됨2210 18/09/24 2210
125075 [질문] (부동산초보) 전월세만기전 이사갈때 보증금 못받고 가도 되나요?? [5] Gra4766 18/09/24 4766
125074 [질문] 인터넷 전화를 해외에서 사용 가능 할까요? [2] 라캉~1632 18/09/24 1632
125073 [질문] 하스웰 리프레시? 4690에 이 메인보드 호환되나요? [3] 마스쿼레이드2476 18/09/24 2476
125072 [질문] 원룸 책상 위치 애매할까요? [6] 그냥가끔2326 18/09/24 2326
125071 [질문] 류현진 FA 얼마정도 받을까요? [11] 삭제됨3877 18/09/24 3877
125070 [질문] i5-8400을 아마존재팬에서 대강 23정도에 샀습니다 [6] 조말론2660 18/09/24 2660
125069 [질문] 동남아 풀빌라 가족여행지 추천부탁드립니다. [9] peongun3090 18/09/24 3090
125068 [질문] 모바일 cpu랑 데스트탑 cpu랑 공정하게 비교하는 방법 뭐 있을까요? [8] 트와이스정연1705 18/09/24 1705
125067 [질문] 플스4프로 용 모니터를 구입하려 하는데.. 감이 안옵니다. [5] JJakjin4931 18/09/24 4931
125066 [질문] 추석 직장상사 연락은 전화가 맞을까요? 문자(카톡)가 맞을까요? [5] 화이트데이5696 18/09/24 5696
125065 [질문] 타이어 업체에서 추석에 문을 여나요? [3] 카스가 아유무1592 18/09/24 1592
125064 [질문] 무협 단체 용어 질문입니다. [8] 잔인한팩트폭력3597 18/09/24 3597
125063 [질문] 어떤게 맞는걸까요 발그레 아이네꼬1635 18/09/24 1635
125062 [질문] 헬스케어 산업을 목표로 의대를 진학하는 것이 괜찮을까요? [20] 옥옥3494 18/09/24 3494
125061 [질문] 첫차 구매하려 합니다.(미혼 남자입니다.) [22] 별똥별3693 18/09/24 36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