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10/19 15:48
j를 저장하지 말고, counter 두 개 써서 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prime_count=0; for i = 2:n count =0; for j = 1:i if rem(i,j) = 0; count= count +1; end if (count>=2) 행렬(prime_count)=i; prime_count=prime_count+1; end 이런식으로 하시면 될 듯요
17/10/19 16:01
j값들을 굳이 저장하지 마시고 갯수만 세어보시면 됩니다. 행렬에 넣는건 p=[p, i] 뭐 이런식으로 뒤에 하나씩 넣으시면 되구요.
그리고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면 더 빠르게 구할 수 있긴 합니다. 이건 흥미가 생기시면 도전해보세요~
17/10/19 16:17
for문 하나만 써서 rem([5,5,5],[2,3,4]) 처럼 필요한 나머지를 한번에 구한다음 나머지에 0이 있냐 없냐로만 따져도 됩니다.
연구실에서 매틀랩쓸때 항상 for문을 최소화 하라는 얘길 지겹도록 들었어서 유의하시면서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아 남기고 갑니다.
17/10/19 21:25
http://studymake.tistory.com/436
break 구문 찾아보니 이렇게 하는 방법 말씀하신거 맞으시죠? 일리단님 덕분에 하나 더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