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ordfish
13/05/10 20:41
김동준 해설의 스1 시절 말의 정확히 반대죠. 저그는 어느 종족을 못이기죠. 대신 화력과 체제 유연성이 엄청 좋잖아요.
Waldstein
13/05/10 20:49
방금 경기볼때도 불사조가 여왕도 잡고 군숙도 잡고 일벌레도 잡고 대군주도 잡고 하던데 확실히 저그가 까다로운점은 대공이고 즉 히드라 일정 수를

유지해야한다고 봅니다.
흐콰한다
13/05/10 20:58
어정쩡한 수의 히드라는 걍 인구수방해인데다 어차피 불사조한테는 끌려다니기 일쑤고...

좀전경기처럼 다수 여왕 타락귀가 훨 나아보이던데요.
포촉도 아끼지말고.
곡물처리용군락
13/05/10 21:00
위치선정 센스 좋네요 강동현
L.lawliet
13/05/10 21:00
강동현 자리 잘 잡았네요.
저퀴
13/05/10 21:02
오랜만에 7세트 접전을 보는 듯하네요.
가루맨
13/05/10 21:02
강동현 선수 역시 에이스 답네요.
L.lawliet
13/05/10 21:04
대장카드 박현우..
swordfish
13/05/10 21:04
IM 토스 vs 아주부 저그네요. 이건
흐콰한다
13/05/10 21:07
강동현 상대로는 안상원이 나와야 제맛인데ㅠ
흐콰한다
13/05/10 21:08
IM 대 엑시움에이서 경기 이후 처음일듯하네요.
곡물처리용군락
13/05/10 21:10
팀단위리그는 확실이 협회가 압도적이네요... 덧글수가..
L.lawliet
13/05/10 21:11
관중은 별로 차이 없는 것 같은데 온라인에서 관심도는 차이가 심하네요.
가루맨
13/05/10 21:13
근데 트위치 시청자 수는 평균적으로 GSTL이 더 많더군요.
팀 리그의 통합이 시급합니다.
swordfish
13/05/10 21:16
금요일이 사람은 가장 없는 거 같더군요.
그런데 LGIM은 팬이 많은 팀인데 안오는거 보면 IM의 팀전은 팬들도 포기한 거 같습니다.
L.lawliet
13/05/10 21:18
토요일날 보면 gstl 쪽이 관중이 더 많은 경우도 있으니까요.
swordfish
13/05/10 21:23
멸자 죽이네요.
곡물처리용군락
13/05/10 21:24
저글링이 주는 피해가 크네요. 강동현 유연해요
L.lawliet
13/05/10 21:26
폭풍함도 준비되고..강동현 선수는 무리군주, 감염충, 다수 여왕, 울트라 체제입니다.
가루맨
13/05/10 21:26
대장전 답게 경기력이 정말 좋네요.
swordfish
13/05/10 21:28
경기 정말 재미 있네요.
L.lawliet
13/05/10 21:28
박현우 선수도 오랜만에 좋은 경기력 보여주네요.
가루맨
13/05/10 21:29
감염충이 감테를 너무 많이 던진 게 아쉽네요.
swordfish
13/05/10 21:29
LGIM 벼랑 끝에서 살아 나네요.
곡물처리용군락
13/05/10 21:30
박현우 밀어버리면서 LG-IM이 승리하네요. 박현우 관뚜껑 박차나요?
swordfish
13/05/10 21:30
그래도 나름 이젠 차기 스타리거죠.
L.lawliet
13/05/10 21:30
정종현 선수가 엄지 손가락을 치켜 세워 잘했다고 해줍니다.
swordfish
13/05/10 21:31
현우 들로 팀 짜면 라인업이 저그 빼곤 좋은 편인거 같아요.
L.lawliet
13/05/10 21:36
이름에 '현'자 들어가는 선수들로..구성하면 테프저. 밸런스 완벽할듯 하네요. 저그에 강동현.이승현도 있고...크크
흐콰한다
13/05/10 21:36
군심에서 가장 재밌는 종족전으로 저프전을 꼽는 분들이 심심찮게 보이는데 방금 경기는 그분들 주장을 뒷받침해줄만한 경기였네요.
양측이 서로 다양한 고테크유닛을 조합해서 제대로 우주전쟁 벌이는 양상이 종종 나오는게 저프전이죠.
[스타2] 2013 BenQ GSTL Season1, LG-IM vs Azubu
PGR21 불판창입니다.
불판에 입력하는 내용은 전부 게시물에 기록되며
기존 피지알 댓글과 동일하게 취급하므로 매너있는 불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트위치 채널이름", "!유튜브 비디오ID" "!아프리카 채널명" 입력시 방송과 불판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