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7/07 15:10:39
Name 김유라
File #1 Screenshot_20250707_150718_Samsung_Internet.jpg (59.5 KB), Download : 269
File #2 Screenshot_20250707_150758_Samsung_Internet.jpg (131.7 KB), Download : 267
출처 1차 디시 2차 개드립
Subject [유머] AI로 뽑은걸 그렸다고 표현하는게 제일 숨막힘.dc





생체AI 썼다고해서 그게 AI꺼냐고 흑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이퍼나이프
25/07/07 15:16
수정 아이콘
글을 썼어, 그림을 그렸어, 코드를 짰어 등등의 의미가 AI로 생성한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미가 확장될 것이라 생각하고
'수제 XXX' 처럼 직접 손으로 만든걸 특별취급 하는 식이 되겠죠
전기쥐
25/07/07 15:18
수정 아이콘
미술에서도 발상이 자기 것이면 다른 누구를 시켜서 그린 것도 "본인이 그렸다"라고 하지 않나요
스덕선생
25/07/07 15: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대표적인 사례가 조영남건이죠.
조영남이 비호감인것과 별개로, 자칭 미학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조영남 사기꾼이라고 욕하는건 솔직히 어이가 없었습니다.

당연하게도 실제 재판도 조영남이 이겼죠. 애초에 논란이 되고 말고 할 것도 없는거였으니.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07 15:37
수정 아이콘
보통은 제작햇다 만들엇다라고 하지 그렷다라고 하지 않죠 그렇게 말할순 잇어도 인정받지는 못할겁니다 아직은 그리다 라는 말은 실제 그 행위를 하는 걸로 받아들여지니까요
Ashen One
25/07/07 16:06
수정 아이콘
그 분야 내에서 그렇게 통용되고 있으면 그렇게 쓰는 겁니다. 외부에서 일반인들은 그런 의미로 쓰지않는다 해도 그 분야 내부에서 이미 그런 경우도 그렸다라고 말했다면 그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이고요. 조영남 건이 대표적이죠. 그 분야 내부적으로 이미 그런 경우도 그렸다는 범주에 포함하고 있었기에 그렸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07 16:17
수정 아이콘
그 결과 조영남은 그런 의미로 쓰지 않는 외부 일반인들에게 환불해주려고 재산 꽤 날리고 빚까지졌죠. 미술계에서 마무리 덧칠하고 싸인 남겼다고 내가 그렸다는게 통용된다면 미술계가 대중과 괴리가 있는 이유가 있군요
Ashen One
25/07/07 16:25
수정 아이콘
그렇다기보단 논란이 되었기에 문제가 된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연예인 이름값으로 유명한 그림이었고, 연예인 논란생기면 광고효과 떨어져서 소송걸리듯이, 그런 논란이 생겨서 그림값이 떨어졌으니까요. 그림값만 유지되었다면 문제삼을 사람 아무도 없었을테고요. 조수들이 그렸으니까 그 작가의 작품이 아니라고 한다면, 해당되는 작품들이 끝도 없을 겁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7/07 16:35
수정 아이콘
머 어차피 미술품도 하나의 상품이란 측면에서 말씀하신 것에 동의합니다만 미술계는 크레딧이 너무 무시되는 거 같습니다
티아라멘츠
25/07/08 00:10
수정 아이콘
딱히 미술계만 그런것도 아니고 알렉상드르 뒤마 작품 중에 후기 작품은 대필작가들 감독해서 공장을 돌린 경우가 많습니다.
에스콘필드
25/07/07 15:19
수정 아이콘
나중에는 그렸다의 의미가 확장될 수 도 있겠네요~
캡틴리드
25/07/07 15:20
수정 아이콘
어떤 사업이나 건설 등을 실제로 실무자나 일용직들이 해도 사업 책임자나 기안자가 '이거 내가 한거야'라고 하는걸 이상하다 생각하지않잖아요. 개인적으로는 같은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닉네임을바꾸다
25/07/07 15:35
수정 아이콘
이건가...
TempestKim
25/07/07 16:14
수정 아이콘
그런 경우는 보통 내포된 함의를 서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인데
지금 그렸다 썼다의 경우 그런 의미의 내포를 구성하기 이전이라 오는 혼란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문학, 예술계에서 아이디어만 구상하고 대리작가를 두는 경우에 대한 논란이 근래 점화되었던 적이 있으니 그쪽에서 정의된 바를 따르거나 아니면 같이 점화되거나 할 여지도 있겠다 싶구요.
25/07/07 15:38
수정 아이콘
응 교신저자~(교신도 내가했음)
아즈가브
25/07/07 15:47
수정 아이콘
저작권 같은 것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25/07/07 15:52
수정 아이콘
본인이 (제작)한건 맞고 그린 건 아니라고 하죠.
리얼로 그리시는 분들을 위해, 그렸다는 표현 자체를 확장 시켜버리는 건 좀 별로네요. 자연스레 그렇게 되면 어쩔 수 없지만요.
25/07/07 15:56
수정 아이콘
지금은 "그렸다"는 에바고 "만들었다", "제작했다"는 ok 정도인게 일반적인 정서긴 하겠지만
금방 뒤섞일거라고 예상합니다. 각종 그래픽관련 툴이나 프로그램을 쓴다고 "그렸다" 라는거에 거부감을 가지지 않듯이
raindraw
25/07/07 16:12
수정 아이콘
조수들을 시켜서 미술품을 만들었으면 본인 작품이라고들 하더군요. 그렸다는 단어만 확장하면 딱 맞는 예 같습니다.
서린언니
25/07/07 16: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로댕이나 루벤스가 문하생들이 그리긴 했는데...
그렇다고 조영남이 그렸다고 하기엔 좀 그렇고...
감독님들이 처음부터 그리거나 촬영하진 않지만 그래도 손을 대긴 대거든요
예전에 유튜브 '크리에이터' 논쟁이 있던 생각 나네요
그땐 탐탁치 않았는데 스트리머들 노력하는거 보면 크리에이션 맞는거같긴 하구요...
수작업때 에어브러시 첨 나왔을때 예전 선배들이 붓으로 일일이 그려야지 그딴거 쓰면 버릇 나빠진다 하셨다고
나중엔 ai도 그렸다는 말 나올 거 같아요...

/ “AI를 사용해 만든 결과물에 ‘그렸다’는 표현을 써도 되는가?”라는 질문은,
결국 창작에서 ‘노력’과 ‘의도’, ‘통제력’이 어디까지 개입되었는가에 달려 있다.

과거의 기술 변화(에어브러시, 디지털 툴), 예술가들의 작업 분업 구조,
그리고 유튜브나 스트리머를 통한 창작의 인식 변화를 보건대,
AI도 향후 하나의 창작 도구로서 자리잡고,
그에 따른 표현 방식(‘그렸다’, ‘만들었다’)도 사회적으로 정착해갈 가능성이 크다. /

지피티한테 정리해보라고 하니까 이렇게 했네요
디쿠아스점안액
25/07/07 19:47
수정 아이콘
막줄로 완성된 댓글...
25/07/07 16:38
수정 아이콘
곧 이런 논의가 아무 의미가 없을 정도로 AI가 밀려올거라고 생각합니다.
25/07/07 17:15
수정 아이콘
용어야 확대되기 마련이죠
서양에선 두유도 밀크라고 부르는것처럼 AI로 만든 예술작품도 그렸다고 커버해줄지도요
Dummy9th
25/07/07 18:51
수정 아이콘
사실 두유는 한자로도 콩젖이긴 합니다 크크크
지구돌기
25/07/07 23:51
수정 아이콘
이미 작년 초에 호주 멜버른에 있는 네셔널 갤러리에 갔더니 AI로 생성한 사진전을 열고 있었습니다.

당시 전시된 작가 검색하니 전시했던 작품 일부가 작가 홈페이지에 있네요.
https://kevinabosch.com/civics.html
티아라멘츠
25/07/08 00:11
수정 아이콘
곧 있으면 AI로 그렸다고 할 거 같긴합니다
지금은 뽑았다는 표현을 쓰는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7473 [게임] (약후?) 가슴이 웅장해지는 블아 신규 스킨 [3] 묻고 더블로 가!409 25/07/20 409
517472 [기타] 회사 생활 [4] 퍼블레인1067 25/07/20 1067
517471 [유머] 한섭에서 중국어 쓰라는 채팅에 바로 급발진.mp4 Myoi Mina 1227 25/07/20 1227
517470 [방송] 아동극하다가 연기의 벽을 느낀 윤경호 [1] 명탐정코난1094 25/07/20 1094
517469 [기타] 넘사벽으로 벌어진 TSMC와 삼성파운드리의 격차 [15] Heretic2435 25/07/20 2435
517468 [유머] 방울토마토 올라간 케이크.jpg [6] 핑크솔져2657 25/07/20 2657
517467 [기타] 디카페인커피라고 방심하면 안되는게 [16] Lord Be Goja3711 25/07/20 3711
517466 [유머] 가족여행 금지어 [12] Croove3225 25/07/20 3225
517465 [기타] 지붕위라고 곰을 함부로 놀리면 안되는 이유.mp4 [18] insane3479 25/07/20 3479
517464 [기타] 자동차 관리법 개정 관련 비슷한 영상 [31] 김삼관4343 25/07/20 4343
517463 [유머] 환타광고도 이젠 디지털시대 [5] 김삼관3174 25/07/20 3174
517462 [텍스트] (517458관련) 요즘 유행이라는. 알고리즘. 저도 한번 사봤읍니다. ^^;; [6] 마포구 보안관2636 25/07/20 2636
517461 [게임] 스파6 Blink Respawn Top8 [3] STEAM1617 25/07/20 1617
517460 [유머] 복잡다난했던 키위의 개명사 [21] 어강됴리7004 25/07/20 7004
517459 [게임] 요즘 게임들 설명문 특 [14] STEAM6082 25/07/20 6082
517458 [유머] 요즘. 데몬헌터?가 유행이라고 하더니 참 어이업읍니다 [22] 매일7565 25/07/20 7565
517457 [LOL] EWC 쵸비 펜타킬 [9] 하이퍼나이프4824 25/07/20 4824
517456 [유머] 오늘자 로또 대박.jpg [28] 김유라9387 25/07/19 9387
517455 [기타] 호랑이가 담배피던 시절 [20] 퍼블레인5443 25/07/19 5443
517453 [유머] 상상으로 보는 미국의 항복 선언 [2] 두드리짱6655 25/07/19 6655
517452 [유머] 의외로 카레에 들어가면 안되는 재료 [62] 퍼블레인7795 25/07/19 7795
517451 [유머] ?? : 어휴, 말을 말자 [23] Croove7070 25/07/19 7070
517450 [기타] 정신나간것같은 울릉도 삼겹살 1인분 [70] 정공법11356 25/07/19 113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