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2/08 14:53:44
Name 마늘빵
File #1 index.jpg (10.0 KB), Download : 65
출처 mlbpark
Subject [유머] 의외로 가격 메리트가 없는것.jpg


전자책으로 풀리면 엄청 저렴할거같은데 막상 가격보면 그런건 아님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2/08 15:02
수정 아이콘
진지하게 종이책 가격하고
별 차이 안 나는 이유가 뭔가요.
단비아빠
21/02/08 15: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겠죠.
결국 물건이라는게 많이 팔려야 박리다매로 가격이 떨어지는건데
요즘 추세는 그냥 책 자체를 잘 안보는거니까 이북이라고 해서
딱히 더 많이 팔릴 이유가 없습니다. 가격을 낮출 이유도 없구요.
그나마 종이책 시장을 완전히 몰락시키고 이북으로 확실하게
시장이 바뀌면 모르겠는데 아직도 종이책 시장이 훨씬 크죠.
여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째는 우리나라 이북 시장이 아직도 영세하고 파편화되어 있다는 점 (DRM문제)
둘째는 이북이라는게 생각보다 편리하지 않다는 근본적인 문제입니다.
물론 편리한 점도 많지만 종이책보다 불편한 점도 굉장히 많습니다.
이북의 불편한 점들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밝은 LCD화면으로 장시간 책을 읽는건 눈의 피로가 너무 크다는 근본적인 한계입니다.
태블릿과 핸드폰은 장시간 책을 읽기에 좋은 도구가 되기 어렵습니다.
그러다보니 전자종이를 쓴 전용단말기를 쓰게 되는데
이게 비싸고, 관리도 불편하며, 해상도도 떨어집니다. 화면도 칙칙하죠. 컬러는 당연히 안되고...
해상도 문제는 그나마 알파벳 쓰는 미국에선 덜한데
글자가 훨씬 복잡한 우리나라는 치명적이죠.
게다가 아직도 이북은 그냥 단순 글자 출력에만 치중하다보니
사진 좀 있고 레이아웃 좀 복잡한 책은 이북으로는 엄두도 안납니다.
사실 화면에서 이북이 종이책을 따라잡으려면 태블릿이
4K 해상도 OLED 패널 정도는 써줘야...
Ashen One
21/02/08 16:11
수정 아이콘
올레드는 번인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지 않나요?
홍콩야자
21/02/08 15:0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책장 공간을 아낄수 있어 좋은것 같습니다.
사당보다먼
21/02/08 15:05
수정 아이콘
30퍼정도 할인되는것 같은데 좀아쉽지만 그래도 종이책보다는 싸다고 생각합니다. 책통법으로 오래된책 세트로 떨이하는게 없어져서 아쉽습니다.
21/02/08 16:54
수정 아이콘
종이책 신간도 온라인에서 카드 할인이랑 겹치면 25% + 적립금이라.. 얼마 이상사면 추가 적립금도 붙고요.
뭐 그건 E북도 마찬가지지만 간편하게 휴대폰에서 가시성 해치지 않으면서 읽는게 아니면 공간장점만 남는거죠.
21/02/08 15:09
수정 아이콘
책에서 인쇄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지 않으니까요...
제로콜라
21/02/08 15:09
수정 아이콘
저작권을 개똥으로 봐서 비싸다고 느끼는게 아닐까요?
야크모
21/02/08 17:53
수정 아이콘
책에서 저작권이 차지하는 비용은 미미합니다. 제조/유통 마진이 대부분이에요.
21/02/08 15:09
수정 아이콘
절대적인 도서의 가격차이보다 E북을 구매해서 절약되는 물리적 공간의 비용을 추가해서 계산해보면 무시못할 차이가 납니다. 눈꼽만한 공간이라도 아쉬운 원룸 사는 사람들은 더더욱 그럴테구요.
시무룩
21/02/08 15:35
수정 아이콘
어떤 프로에서 책 한권당 평생 들어가는 보관비 계산하고 그랬다던데
본가에서 살때는 집이 넓은 편이라서 책 보관에 별 생각이 없었는데 원룸에서 자취하니까 책 둘 공간이 없더라구요
제가 책을 잘 안읽어서 그렇지 책 좋아하는 사람이었으면 꽤나 골치아픈 일이겠다 싶더라구요
비오는월요일
21/02/08 15:10
수정 아이콘
구글스토어나 애플스토어처럼 플랫폼 수수료가 비싸다거나...
맥크리발냄새크리
21/02/08 15:11
수정 아이콘
뭐야 댓글이 너무 진지하잖아??
21/02/08 15:12
수정 아이콘
시장이 작아서...
아웅이
21/02/08 15:14
수정 아이콘
반칙! 진짜 의외인거 가져오시면 어떡해요.
Lord Be Goja
21/02/08 15:16
수정 아이콘
색인속도와 공간의 차이..
내맘대로만듦
21/02/08 15:17
수정 아이콘
게임도 디스크나 디지털다운로드나 별 차이 없죠
21/02/08 15:19
수정 아이콘
책은 보관하기 위해 사는것입니다.(진지)
버트런드 러셀
21/02/08 18:58
수정 아이콘
책잘알 인정합니다
Janzisuka
21/02/08 15:22
수정 아이콘
큰 이사 몇번 할때마다 느낀거...전자책 사야지....
BlueTypoon
21/02/08 15:23
수정 아이콘
전자책이 도서정가제 영역 밖에있을땐 저렴하게 구매할 방법이 많았죠...
아밀다
21/02/08 15:28
수정 아이콘
애초 책이라는 물건은 그 안에 담긴 작가의 글이 가격의 핵심이어서 아닐까요. 종이값 그거 아껴서 파일로 만들어봐야 딱 전자책 가격 정도 될 듯.
21/02/08 15:32
수정 아이콘
정작 책의 인세 비율보면...
아밀다
21/02/08 15:34
수정 아이콘
음... 작가 말고 출판사도 먹여야 하니까...? 역시 너무 많이 먹나요.
뜨와에므와
21/02/08 15:58
수정 아이콘
아니요 유통이 다 쳐먹음
이교도약제사
21/02/08 16:31
수정 아이콘
전에 책 썼을 때 인세 10% (공동저자라 각각 5%씩 받았었는데..) 그게 잘 받은 편이라 하더라고요...;;;
HA클러스터
21/02/08 15:30
수정 아이콘
종이책 장서가는 부동산을 사고 유지할 돈이 있어야 가능한 겁니다. 책값따위...
그게 안되면 E북으로 가야죠.
김성수
21/02/08 15:32
수정 아이콘
도서수가 너무 적고 대부분 쪽수가 전자책 전용으로 표현되는 문제 때문에 좀 꺼려지더라고요. 저는 차라리 스캐너 사서 스캔하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근데 책을 원래 잘 안 읽어서..
21/02/08 15:35
수정 아이콘
"도서수가 너무 적고" 이게 핵심이죠.

읽고 싶은 책 검색해서 e북으로 나와 있었던 경우가 한 번도 없었던 것 같네요. ㅠㅠ
Lord Be Goja
21/02/08 15:33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죽간에서 종이책으로 전환될때는 어떤 분위기였을지 궁금하군요.책을 몇수레로 봤다는 의미가 달라질텐데..
StayAway
21/02/08 15:52
수정 아이콘
성숙한 독서문화의 완성은 구매와 전시에 있다..
외국어의 달인
21/02/08 15:58
수정 아이콘
저는 이북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공간을 압도적으로 덜 차지하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는 책넘길때 손으로 전해지는 느낌과 소리 그리고 형광펜 칠하고 간단하게 필기하고 나서 나중에 다시 봐야할때 빨리 찾기 편해서 종이책을 훨씬 선호합니다. 회사에 휴대폰 제외한 전자제품등을 가지고 출입을 못하게 하는게 이유이기도 하구요.
뜨와에므와
21/02/08 16:00
수정 아이콘
손맛을 뺀 나머지는 그냥 기기 다루는 숙련도의 문제네요
아이폰텐
21/02/08 16:01
수정 아이콘
책이 주는 물리적 매력이 내용적 측면만큼 크다고 봅니다
블레싱
21/02/08 16:04
수정 아이콘
이북을 찬양하면 국가보안법에 걸리기 때문입니다.
담원20롤드컵우승
21/02/08 17:49
수정 아이콘
앆.. 깔깔 웃었네요
양파폭탄
21/02/08 16:18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손맛을 말하지만, 지금 태어나는 세대는 책을 아주아주 불편하게 생각하겠죠
빵시혁
21/02/08 16:25
수정 아이콘
책장에 꽂혀있는거 볼때의 뿌듯함이 꽤 커서
전자책 한번도 안사봤네요
이교도약제사
21/02/08 16:3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출판했던 책, 처음 계약할 때 나중에 ebook 제작 얘기도 있었는데.
이야기를 들어보니, 출판용으로 디자인 작업한 거랑 별개로 eBook으로 따로 추가작업해야 한다고..
(실제로도 그럴겁니다. ePub로 변환하고 링크 넣고 이거저거 하는거 해놓은 책과 그냥 딸랑 pdf로 제공하는 책은 작은 화면의 폰으로 볼 때 가독성 차이가 심하니까요..)
웹소설 처럼 아예 처음부터 온라인으로 볼 걸 가정하고 작업 시작한 거면 모를까..
실물책과 eBook 두가지 버젼 있는건 그거 다 충당할 만큼 충분히 팔릴 책 아니면 굳이 작업을 안한다고...-_-;;
라쿤맨
21/02/08 16:37
수정 아이콘
사실 스포트웨어 엔지니어들이 너무 비싸져서 어느 정도 큰 스케일 아니면 전자화한다고 더 싸지는건 아닌거 같습니다
21/02/08 17:05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전자책이 비용이 많이 든다면 전자책 파는 타 국가에서도 별 차이 없어야 하는데 현실은 종이책 대비 우리보다 할인폭이 더 커서... 별로 와닿지 않습니다
양현종
21/02/08 17:38
수정 아이콘
전자책도 도서정가제 적용되지 않나요?
제랄드
21/02/08 18:07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어둠의 경로(...)로 보던 만화책을 얼마 전부터 일부러 전자책 사서 보고 있습니다만 가격이 아쉽긴 하죠. 뭐 시장 상황상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어떤 작품의 경우 그냥 나와주는 게 다행이라서 ㅡ,.ㅡ)
고물장수
21/02/08 18:26
수정 아이콘
책 시장은 이미 덕질이랄까 매니악한 시장이 됐습니다. 민트급으로 소장하고 뭐 이런게 중요함.

한편 전자책이 전자책답지 못합니다. 본문의 사진처럼 3d애니메이션이고 뭐고 전자책이 종이책의 불편함을 흉내내서야 당연히 종이책보다 후집니다.

전자책은 휴대성에서 극한의 이득을 봐야 하고 자동스크롤 텍스트리플로우 색인 번역 등 디지털이기에 가능한 뭔가가 있어야됩니다만
염병할 하나도 없습니다. 시장이 작으니 개발이 안되고 개발이 안되니 시장이 안커집니다.
drm 호환성 문제도 있고....



밀리의서재가 그나마 페이지넘김이 아닌 스크롤을 지원해서 외부 매크로로 자동스크롤을 구현하여 보고 있습니다.

외국어로 된 책을 읽을 때 사전으로 검색이 쉽게 되면 좋겠는데 일단은 똥카오가 다음 사전을 뿌숴버려서 실한 한국어 사전이 없는 상황입니다.
21/02/08 19:19
수정 아이콘
집에 공간 여유 없으면 필수입니다.. 전공관련 전문 서적 혹은 철학책 같이 두껍고 내용이 어려운 책들은 종이책으로 읽어야 하지만
대게 문학은 전자책으로 보는게 이득이라 잘 이용하고 있습니다
21/02/08 19:33
수정 아이콘
사서 읽는 사람도 가격이 싸길 기대하는게 아니죠.
그냥 들고다니기 편해서 사죠.
그말싫
21/02/08 21:04
수정 아이콘
규모의 경제에서 도서는 완전히 도태되었기 때문이죠.
독서 인구가 3천만명이었으면 9900원에 무제한 독서 같은 구독서비스 나왔을겁니다.
유념유상
21/02/08 22:11
수정 아이콘
이북 시장이 못큰이유는 출판책과 이북이 동시출판 못하게 막은거.
늦게 나온 이북조차 활인 못하게 막은거..
다시마두장
21/02/08 22:13
수정 아이콘
저도 결국 공간때문에 전자책으로 넘어가긴 했는데 가격이 지금의 10%만이라도 더 쌌더라면- 하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13052 [서브컬쳐] [귀멸의 칼날 스포]부탁이니 죽어다오 [9] 성아연12189 21/02/10 12189
413051 [기타] 현대차 vs 도요타 안전기능 비교..jpgif [24] TWICE쯔위11134 21/02/10 11134
413050 [기타] 한일관계가 최고조로 좋았던 시기 [36] 추천11820 21/02/10 11820
413049 [기타]  올해부터 개정된 북한의 법률 [40] TWICE쯔위11731 21/02/10 11731
413048 [서브컬쳐] 시마 회장 근황 [22] 블랙번 록10610 21/02/10 10610
413047 [텍스트] 신입공무원.. 짬처리..jpg [53] 마늘빵18197 21/02/10 18197
413046 [기타] 노트북이라면 이 정도는 되야지 않겠습니까?... [17] 우주전쟁8952 21/02/10 8952
413045 [기타] 이다영 사과문 재드래곤 탬플릿 버전.TXT [6] insane11213 21/02/10 11213
413044 [기타] 필요없는 물건을 찾게되는 시간..... [10] 사람은누구나죽습니다8335 21/02/10 8335
413043 [기타] 승리호 극장 개봉하면 더 벌었다vs적자였다 [31] 성아연9611 21/02/10 9611
413042 [게임] 어제 인방에서 화제된 인디겜 [29] 따라큐10957 21/02/10 10957
413041 [LOL] 윤수빈 아나운서와 함께해서 행복한 노페형님.jpg [12] insane11928 21/02/10 11928
413040 [기타] 2021 입시결과 [31] 피쟐러11333 21/02/10 11333
413039 [연예인] 어느 증시에 투자하시겠습니까 [23] 피쟐러10731 21/02/10 10731
413038 [스포츠] 직업에 진심인 편.gif [8] kapH9994 21/02/10 9994
413036 [서브컬쳐] 김성모 만화에서 '날 것'의 냄새가 나는 이유 [29] 성아연10192 21/02/10 10192
413035 [연예인] 오예스 CF 찍은 유세윤 [1] 욕심쟁이7781 21/02/10 7781
413034 [게임] 길티기어 신작에서 여전히 남아있는 진입장벽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8308 21/02/10 8308
413033 [유머] 같은 그룹 인스타 언팔했는데 불화설 안나는 이유.jpg [10] TWICE쯔위10844 21/02/10 10844
413031 [유머] 특이한 이름을 어떤 생각으로 지었을까? [39] Croove12072 21/02/10 12072
413030 [LOL] 어제 피넛 방송 썰 정리 [7] Soleil19962 21/02/10 19962
413029 [LOL] 19 20 21 LCK 스프링 4주차 순위표 [14] 김티모5975 21/02/10 5975
413028 [유머] 아내를 저장하기 [18] 퍼블레인10528 21/02/10 105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